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28860263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0-03-17
책 소개
목차
2020년 개정판에 붙여
개정판 머리말
part 1 예술경영 개관
01 예술경영의 생성과 필요성
예술경영의 생성
예술과 경영의 접목과 확산
예술경영의 필요성
02 예술과 경영
예술경영의 다양성 이해
내 · 외부적 환경 요소
시장의 실패
수익 발생의 필요성
03 예술경영의 발달 과정
예술경영 발달사 이해
예술경영의 본질과 문화예술기관의 특성
예술경영의 발달과 예술경영자
예술경영의 요소
04 문화경제의 가치와 예술문화의 경영
문화경제의 가치
문화예술의 가치 확산
part 2 예술경영 조직의 운영
05 예술경영 전략 수립과 콘셉트
예술경영의 목표와 전략 수립
예술경영의 콘셉트
06 예술경영 환경 분석과 조직 구성 요소
예술경영의 환경 분석
문화예술기관의 조직
조직의 구성 요소
07 인적자원의 관리와 운용
인사관리의 목적
성과와 직능
동기부여와 예술경영 전략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08 기업 마케팅의 변화와 전망
기업 마케팅의 변화와 예술경영 활동
기업 정체성과 대응 전략
기업문화와 예술경영
예술경영 의사결정과 전략경영
part 3 예술경영의 마케팅
09 마케팅 일반론의 이해
마케팅의 개념
경영사고 변화와 방법론의 진화
예술경영 마케팅의 트렌드
10 예술시장과 예술 마케팅
예술 마케팅의 개념
대중·표적 마케팅과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표적 마케팅
시장 선정과 포지셔닝
11 관객 조사와 관객 개발
관객의 논리 이해
문화소비자의 행동이론 고찰
문화소비자 커뮤니케이션 전략
예술경영의 프로모션 관리
12 예술경영 의사결정과 시장조사
예술경영의 의사결정과 마케팅 정보
예술경영 시장조사
예술시장 수요의 측정과 예측
13 예술경영의 재무관리
예술경영 재무관리 개념
예술경영 재무관리 과정
예술경영의 비용관리
part 4 예술경영과 문화산업
14 문화산업의 형성과 예술경영
문화산업의 형성
문화산업과 문화 요소
문화예술의 산업적 변화와 융화
15 예술경영과 문화산업
예술경영과 문화산업
예술경영, 산업경영, 문화산업의 속성 비교
문화산업의 원소스멀티유스
문화산업의 특성과 전망
part 5 예술경영의 e비즈니스 전략
16 인터넷 가상공간의 등장과 의미
인터넷의 등장
e비즈니스와 예술혁명
예술경영의 e비즈니스 전략 과정
e비즈니스 홍보 전략
e펀드레이징과 스폰서십
인터넷 기반 정보화 시대의 예술경영적 대안
17 예술경영과 기업 스폰서십
예술경영과 기업 스폰서십
기업의 스폰서십 참여 결정 요인과 속성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술경영은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흐름을 주요 키워드로 독립적 성향의 시기를 그 출발점으로 하여, 예술과 경영이라는 둘 이상의 분야에 걸치는, 즉 여러 분야와 관계있는 학제적인 성향을 띠는 시기로 발전하였다. 더불어 현대에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복합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혼합적 성향으로 정착되었다. 그래서 기술과 문화가 융합·통합·복합(convergence)하는 시기와 접목하여 4차 산업 시대에 진입하여 더욱 주목받는 분야가 되었다.
-“1장 예술경영의 생성과 필요성” 중에서
현재는 이질적인 것을 연결하여 ‘문화와 경제’, ‘예술과 경영’ 등처럼 새로운 사상과 가치관을 생성하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예술경영의 기본적인 역할은 예술가가 전념하여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 주고 소비자의 만족을 창출하는 행위인 것이다. 예술가의 재능, 자본과 조직 그리고 작품을 즐기는 관객의 세 가지 요소를 유기적으로 만드는 것이 예술경영의 기본이다.
-“04 문화경제의 가치와 예술문화의 경영” 중에서
기업 차원에서 예술이 기업 환경과 기업문화에 기본적인 자원을 제공하는 이유는, 점차 늘어나는 예술에 대한 수요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이고 잠재적인 파급효과가 소비자의 기호를 형성하고 있다. 나아가 하나의 집합체로 새로운 표적 시장으로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업 이미지 향상, 광고, 판촉 활동, 그리고 섭외 활동 등에서 기업은 문화예술을 활용해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08 기업 마케팅의 변화와 전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