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4476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22-08-20
책 소개
목차
플랫폼 사회의 도래
01 플랫폼의 정의와 유형
02 플랫폼의 특성
03 플랫폼의 핵심 메커니즘
04 데이터 감시
05 프라이버시 침해
06 데이터 독점
07 데이터화된 주체
08 집단 극화와 다양성의 약화
09 디지털 시민성
10 플랫폼 사회와 이용자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플랫폼의 핵심 운영원리는 데이터의 대량 수집과 상업적 활용이다. 플랫폼은 디지털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용자의 모든 행동을 추적해 디지털 흔적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 가공해 상업적 이익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알고리즘,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지능정보기술이다.
_ “02 플랫폼의 특성” 중에서
개인의 모든 일상적 삶과 행동을 추적하여 데이터로 변환하고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해 거래할 수 있는 상품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개인행동을 예측하는 플랫폼 메커니즘은 명백한 감시의 유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플랫폼에 의한 데이터화는 개인을 통제하는 감시의 한 형태인 동시에, 주보프가 주장한 것처럼, 감시자본주의의 핵심적인 요소다
_ “04 데이터 감시” 중에서
알고리즘 기술의 가치가 플랫폼 경제에서 높아지는 이유는 바로 자동화의 효과 때문이다. 기계학습과 디프러닝을 통해 고도화된 알고리즘이 데이터를 분석, 가공하여 맞춤형, 개인화 상품을 생산해 내는 일은 인간 노동이 우위를 갖기가 어렵다. … 프리랜서와 비정규직을 디폴트로 하는 소위 ‘긱경제(gig economy)’의 폐해는 플랫폼 산업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_ “06 데이터 독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