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65763
· 쪽수 : 502쪽
· 출판일 : 2024-08-30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한국 독자를 위한 서문
감사의 글
도입
1부 경험에 대한 특정 관점으로 시작하기
1장 경험
2장 지식
3장 체현
방법론 노트
2부 시간성
4장 한가운데서
5장 기억
6장 세대 간 연결성
방법론 노트
3부 전경 안팎에서 살아가기
7장 장소
8장 공동체
방법론 노트
4부 상상력, 탐구, 경이로움과 놀이성: 리미널리티와 불확실성으로 들어가기
9장 상상력
10장 탐구와 경이로움
11장 불확실성과 리미널리티
12장 놀이성
방법론 노트
5부 관계성
13장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전경
14장 헌신, 책임, 의무
방법론 노트
에필로그
참고문헌
역자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식은 “한 사람의 존재를 구성하는 모든 경험에 스며들어 있다. 그 의미는 개인의 경험적 역사에서 파생되며, 그러한 경험의 관점에서 이해된다” … 우리는 내러티브의 체현(embodiment)에 주목한다. 이 체현은 우리 삶의 생생한 모습과 침묵 속에서 모두에서 볼 수 있다.
경험에 대한 이러한 관점에는 삶이 항상 한가운데 있고, 경험은 항상 진화하며, 경험은 경험 위에 쌓인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경험은 항상 만들어지고 있는 무엇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면서 형성되고 재형성되는 것이다. 경험은 고정된 것도 아니고 확실한 것도 아니다.
학교 교육이라는 제도적 내러티브 안에서 학교 상담교사로 일하던 진의 삶은, 동료 교사들의 삶과는 다른 제도적 시간성에 의해 형성되었다. 교사들의 경험은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의 시간 주기와 연간 학년별 시간 주기에 따른 샌드라의 진전을 평가하고 성적표를 작성할 필요성에 의해 형성된 것이지, 단축된 삶의 한가운데 있는 샌드라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