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28884504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0-05-30
책 소개
목차
서문
01 읽기능력의 발달
02 읽기능력의 구성 요인
단어 인식 능력
독해력
03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구성
수준별 어휘 목록
수준별 지문
04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활용
현재 아동의 읽기능력 수준 파악
읽기 과정에서 아동의 강점과 약점 분석
읽기 문제의 원인과 지도 방법 모색
05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시행 방법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시행 방법
검사 준비
검사 절차 및 소요 시간
06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 결과 분석 사례
읽기 부진의 초등 6학년 학생
기초 학력이 부족한 초등 중학년 학생
난독이 의심되는 초등 중학년 학생
외국어 영향을 받은 초등 저학년 학생
07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개발 과정
예비 검사
1차 검사
2차 검사
참고문헌
부록: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지
리뷰
책속에서
읽기 속도는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읽기 속도는 독자가 글을 읽는 목적과 선택한 읽기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을 위해 글을 읽는 독자는 자료의 내용이 어려우면 천천히 읽을 것이다. 텍스트의 구조와 내용의 친밀성, 저자가 선택한 어휘 수준에 의해 결정되는 텍스트 난도는 읽기 속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한편 읽기 속도는 읽기 방식(음독 혹은 묵독), 독자의 연령과 인지 처리 속도, 사용한 읽기 전략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읽기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다양하기 때문에 읽기 속도에 대해 엄격한 규준을 만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아동의 읽기능력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평가를 통해 수집되는 자료의 성격에 따라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로 구분한다. 양적 평가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사용해서 필요한 정보를 양적으로 수집하는 것을 말한다. 양적 평가는 과학성과 정밀성에도 불구하고 평가 대상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밝히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질적 평가는 관찰과 기록 등을 통한 언어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말한다. 질적 평가는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상당히 많이 의존한다. 따라서 평가 대상의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으나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소지가 있다. 또한 평가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는 상호 보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