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과학철학
· ISBN : 9791128897924
· 쪽수 : 126쪽
· 출판일 : 2023-11-15
책 소개
목차
경험과 이론의 종합
01 자기 인식
02 문화
03 기관투사와 공진화
04 손 도구와 형식적 유사성
05 사지척도와 추상적 유사성
06 시각·청각 장비와 무의식적 기관투사
07 크레인, 증기기관, 전신
08 기계 기술과 황금 비율
09 언어
10 국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카프가 ≪기술철학 개요≫에서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명제는 ‘정신의 모든 활동은 인간이 자기 신체를 복제하는 활동이며, 그 결과물은 복제된 자기 신체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인간은 자기 신체를 객관 세계 속에 그대로 복제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말하자면 인간은 외부 세계에 자신의 분신, 인조인간을 제작하려 한다. … 카프가 보기에 인간의 문화사는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자기 신체를 모델 삼아 자기 바깥에 복제물을 제작해 온 과정이다. 학문 활동을 포함해 인간 활동 모두는 무의식적 혹은 자연 발생적 복제 작업이다. 자연과학이 낮은 수준에 불과했을 때에도 인간은 잘 알지도 못한 채 자기 신체 구조나 그 작동 방식을 복제했다. 카프는 여러 기술 제작물을 근거로 이를 증명하려 한다.
_ “경험과 이론의 종합” 중에서
인간은 단순히 결여를 보충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술과 더불어 변화하는 자신을 강화·확대하기 위해 기술을 제작한다. 자기 보충이 아니라 자기완성, 자기 확대, 이를 통한 자기 인식이 기술 제작의 근본 의미다. 기술을 제작하게 되면 그에 맞춰 인간은 공진화한다. 즉 기술은 인간이 지배할 수 있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상호작용해야 할 상대방이다. 기술을 통해 다른 능력치를 획득한 인간은 새롭게 변화한 자신의 기관을 다시 복제하고, 이로써 단순히 힘을 쓰던 과거에서 벗어나 힘과 지성의 균형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인간은 기술과 적절히 관계 맺어야 한다. 기술은 인간의 능력을 확대하는 만큼 인간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_ “03 기관투사와 공진화” 중에서
카프는 지금까지 인간이 다루어 온 도구와 기계가 점점 더 정신화한다고 평가한다. 여기서 ‘정신화’한다는 것은 신체 기관 또한 정신화의 정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는 의미다. … 손 도구에서 증기기관, 전신망으로 발전하며 기술은 거친 신체 기관의 복제에서 신경망 속 전기 신호 전달의 복제에 이르렀다. 전기 신호는 분명히 물리적 현상이며, 이를 복제하는 것은 손이나 발을 복제하는 것과 차이가 그리 크지 않은 듯하다. 하지만 전기 신호는 단순히 물리적인 것이 아니다. 우리의 의식에서 전기 신호는 일정한 ‘생각’으로 드러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전기 신호를 복제하는 것은 우리의 생각을 복제하는 것이다. 전신은 정보 전달, 즉 우리의 생각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물리적 복제와 다르다. 이 점에서 카프는 전신을 통해 기술적 대상이 “정신의 투명한 형식 영역”을 복제하는 것으로 나아간다고 규정한다.
_ “07 크레인, 증기기관, 전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