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 미술평론가.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강원대 명예교수이다.
이광래의 또 다른 저서들 :
• 『건축을 철학한다』, 책과나무, 2023.
• 『고갱을 보라』, 책과나무, 2022.
• 『미술과 무용, 그리고 몸철학』, 민음사, 2020.
• 『미술과 문학의 파타피지컬리즘』, 미메시스, 2017.
• 『미술 철학사 1·2·3』, 미메시스, 2016.
• 『미술의 종말과 엔드게임』, 미술문화, 2009.
• 『미술을 철학한다』, 미술문화, 2007.
• 『해체주의와 그 이후』, 열린책들, 2007.
• 『한국의 서양사상 수용사』, 열린책들, 2003.
• 『프랑스철학사』, 문예출판사, 1992.
•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에서 성의 역사까지』, 민음사, 1989.
펼치기
이영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뉴욕주립대학교(빙햄턴) 철학과에서 과학철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한 이후, 현재 동국대학교 철학과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체화인지학회 회장과 East Asian Society of Philosophical Practice의 공동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베이즈주의』, 『신경과학철학』, 『입증』(공저), 『과학혁명』(공저), 『체화된 마음과 세계』(공저) 등이 있으며, 확률추론, 신경철학, 인지과학, 체화인지, 철학상담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조창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문과와 동 대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로이파나 대학교에서 『현대의 멜랑콜리적 구성과 상징. 헤겔의 현대비극 개념』(2014)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부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예술철학과 기술철학, 사회철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예술의 종말과 현대예술』(2019)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기술철학 개요』(2021), 『기술철학 입문』(2021), 『늙어감에 대하여』(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정성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국어학 전공)를 받았다.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사업 HK교수로 언어 중심 인문치료 연구와 실천 활동을 진행하였다. 현재 강원대 일반대학원 인문치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인문치료학회장과 2023년 강원대 선도연구센터(CRC)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소통의 인문치료》(2017), 《디지털 시대의 정체성과 위험성》(2022,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홍단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인문치료·문학치료·글쓰기치료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초연결시대 인간-문학-치유》, 《초연결시대 인간-미디어-문화》(공저), 《초연결시대 타자와 이질성》(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주자학에서 진리(道)와 예술작품의 존재론적 관계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산동사범대 한국어과 외국인교수, 성균관대 BK21 연구교수를 거쳐
2014년부터 조선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인류세의 ‘유학적’ 의미>(2022), <1인 가족 시대에 ‘유교적’ 삶의 의미 모색>(2020), <격물(格物)과 윤리적 딜레마>(2019), <성리학에서 ‘애틋함’의 자리는 어디일까>(2017), <공자의 뒷담화와 그 피드백 효과>(2017), <서(恕)와 죄수의 딜레마>(2015) 등이 있다.
펼치기
김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베이징대학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BK21+ 철학상담치료 인재양성 사업팀에서 연구교수를 지내며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기반한 철학상담 이론 및 방법론 연구에 몰두했다. 현재는 같은 대학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초연결시대, 이질성과 공존의 치유인문학’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초연결시대의 증후들》(2022, 공저), 《동서 철학상담 10강》(2000, 공저), 옮긴 책으로 《법으로 읽는 중국 고대사회》(2000,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