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원서발췌 수경주](/img_thumb2/979112889820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91128898204
· 쪽수 : 471쪽
· 출판일 : 2024-01-30
책 소개
목차
하수(河水)
속수(涑水)
분수(汾水)
문수(文水)
제수(濟水)
청수(淸水)
심수(沁水)
기수(淇水)
탕수(湯水)
원수(洹水)
탁장수(濁漳水)
이수(易水)
구수(滱水)
성수(聖水)
누수(㶟水)
누여수(㶟余水)
포구수(鮑丘水)
대요수(大遼水)
낙수(洛水)
이수(伊水)
곡수(穀水)
위수(渭水)
양수(漾水)
단수(丹水)
여수(汝水)
영수(潁水)
유수(洧水)
거수(渠水)
수수(睢水)
문수(汶水)
술수(沭水)
거양수(巨洋水)
치수(淄水)
면수(沔水)
회수(淮水)
운수(溳水)
비수(肥水)
강수(江水)
엽유하(葉楡河)
이수(夷水)
자수(資水)
상수(湘水)
진수(溱水)
뇌수(耒水)
절강수(浙江水)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기수는 다시 동쪽으로 흘러 우측에서부터 천원수(泉源水)와 만난다. 천원수는 두 곳에서 발원을 하는데, 그중 하나는 조가성(朝歌城)의 서북에서 발원해 동남쪽으로 흘러간다. 이곳의 어떤 노인이 새벽에 강을 건너고자 했지만 강물을 무서워했다고 한다. 주왕(紂王)이 이렇게 무서워하는 이유를 묻자 좌우의 신하들이 아뢰길 “노인의 골수(骨髓)가 충실하지 않기 때문으로 한랭(寒冷)한 기온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라고 했다. 이에 주왕은 그 노인을 잡아서 다리를 잘라 그의 골수를 확인했다.
낙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정(黃亭)의 남쪽을 지나다가, 물줄기가 다시 동쪽으로 흘러 황정계수(黃亭溪水)와 합류한다. 황정계수는 제호산(??山)에서 발원을 한다. 제호산에는 두 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높고 가파르기가 마치 산 정상이 하늘과 닿아 있는 듯하고, 산벼랑은 직접 구름과 닿아 있다. 이곳에는 거대한 바위에 딛고 올라갈 수 있는 계단도 없었다. 그래서 원숭이도 민첩성을 잃고, 날다람쥐가 가볍게 움직이는 재능을 발휘할 수 없을 정도였다.
물줄기의 기슭을 따라서 염정(鹽井)이 100여 개 있고, 소금을 생산해 파(巴)와 천(川) 지역 일대에 공급한다. 소금의 알갱이가 큰 것은 1촌(寸)의 방형(方形)이고, 중간이 (소금 기둥으로) 솟아 있어 그 모양이 마치 펼쳐 놓은 우산 같았다. 그래서 이름을 산자염(傘子鹽)으로 불렀던 것이고, 어떤 것은 우산 같지는 않더라도 반드시 방형의 모양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다른 소금과는 구별이 되었다. 왕은(王隱)은 《진서(晋書)·지도기(地道記)》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탕구(湯口)에 유입된 지점에서 43리 되는 지점에 돌들이 있는데, 이를 물에 삶으면 소금이 되었다. 큰 돌덩이는 1승(升) 정도이고, 작은 것은 주먹만 한 것으로 이를 삶아서 증발시키면 소금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