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화교사

한국화교사

양소전, 손옥매 (지은이), 조영래 (옮긴이)
학고방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31,500원 -10% 0원
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한국화교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화교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9950008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23-02-15

책 소개

양소전楊昭全, 손옥매孫玉梅 교수가 저술한 《조선화교사朝鮮華僑史》를 완역한 것이다. 한중 화교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과정에 주목하면서 고대와 근대 및 현대를 관통하는 통사적 사관으로 한국 화교사의 큰 흐름을 기술했다.

목차

서론 12
1. 화교의 명칭과 의미 12
2. 화교의 역사적 역할 12
3. 화교사의 역사적 지위 13
4. 한국 화교사의 시대구분 17
5. 한국 화교사의 특징 19

제1장 한국 역사와 지리 개황 23
제1절 지리 개황 24
제2절 역사 개황 25
1. 한국의 고대사 25
2. 한국의 근대사 27
3. 한국의 현대사 32

제2장 고대 시기 한국의 화교 45
제1절 은말殷末에서 남북조南北朝 시기 46
1. 은말殷末과 주초周初시기 46
2. 진秦나라 시기 55
3. 서한西漢 시기 58
4. 동한東漢에서 남북조南北朝 시기 63

제2절 수隋에서 송宋까지 66
1. 수당隋唐과 오대십국五代十國 시기 66
2. 북송北宋과 요遼나라 시기 74
3. 남송南宋과 금金나라 시기 103

제3절 원元에서 청淸 중기까지의 한국 화교 108
1. 원元나라 시기 108
2. 명明나라 시기 한국 화교 125
3. 청淸 초기와 중기의 한국 화교 143

제3장 한국 근대 화교사(1) : 1840~1910년 165
제1절 근대 한국 화교사의 시대구분과 한국 화교의 특징 166
1. 근대 한국 화교사의 시대구분 166
2. 근대 한국 화교의 특징 169

제2절 《중국조선상민수륙무역장정》과 《중한통상조약》 173
1. 《중국조선상민수륙무역장정中國朝鮮商民水陸貿易章程》 173
2. 《인천구화상지계장정仁川口華商地界章程》 185
3. 《보호청상규칙保護清商規則》과 《화상조규華商條規》 190
4. 《중한통상조약中韓通商條約》 197
5.《인천․부산․원산과 중국의 조계장정仁川․釜山․元山中國租界章程》 208

제3절 1882~1910년 한국 화교의 상황 217
1. 자연조건 217
2. 경제상황 235
3. 교육 상황 266

제4장 근대 한국 화교(2) : 1910~1931년 6월 269
제1절 1910~1931년 한국 화교의 기본상황 272
1. 인구와 본적 272
2. 분포 277
3. 직업분포 286

제2절 경제와 교육 상황 289
1. 경제 상황 289
2. 교육 상황 318

제3절 일제의 한국 화교 정책과 화교의 항일 투쟁 320
1. 중화민국의 화교 정책 320
2. 일제의 조선 화교 규제와 박해 321
3. 한국 화교의 항일투쟁 332

제5장 근대 조선 화교 (3) : 1931년 7월~1945년 335
제1절 만보산 사건과 1931년 한국의 화교 배척 336
1. 만보산 사건 336
2. 1931년 한국의 배화排华참사 361
제2절 1931~1945년의 한국 화교 384
1. 자연 상황 384
2. 경제상황 396
3. 교육상황 412
4. 한국 화교의 항일투쟁 425

제6장 현대 북한의 화교 433
제1절 북한 화교의 상황 434
1. 일반개황 434
2. 경제상황 436
3. 문화와 교육 상황 443
4. 문화 체육 활동 454
5. 여론과 선전 활동 456

제2절 북한 화교와 중국 457
1. 화교연합회 457
2. 북한 화교의 애국운동 459

제7장 현대 한국 화교 469
제1절 한국 화교의 일반개황 470
1. 화교 인구와 본적 470
2. 인구 분포와 직업 471
3. 화교 사회와 자치단체 477

제2절 경제와 문화 상황 479
1. 경제상황 479
2. 교육상황 485
3. 문화와 체육 489

부록 한국 화교사 대사기大事記 491

저자소개

양소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양소전楊昭全 교수는 한족漢族 출신으로 1933년 하북성河北省에서 출생했고, 1958년에 북경대학교 조선어학과를 입학했다. 졸업 후에 길림성吉林省 사회과학원 산하 조선연구소 연구원으로 한국사와 한중관계사 등의 분야를 연구했다. 저자는 자생적으로 한국어 전공을 통해 한국사와 한중관계사를 연구한 중국의 1세대 연구자로 분류된다. 저자는 일찍이 중국조선사연구회 상무이사 등을 역임했고, 1993년에는 한국의 국사편찬위원회 초청으로 중국지역 사료조사위원의 역할을 5년 동안(1993~1998년) 수행했다. 아울러 한국독립기념관이 초빙하는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의 연구위원을 1993년에서 1996년까지 약 3년 동안 담당했다. 그리고 1995년에는 한국의 한국정신문화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전신)에서 1년간 방문학자로 한국에서 학술 활동을 직접 수행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1993~2007년 사이 5차례 한국을, 1988~1992년 사이에 3차례 북한을, 1989년에는 일본 등을 각각 방문해 국제학술 활동에 참가했다. 이처럼 저자는 한중일 3국의 학술교류와 학술 자문역할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시각과 균형 잡힌 관점을 겸비했다. 한국 화교사에 대한 관심은 이미 1979~1990년 사이에 10여 편의 논문을 통해 발표하기도 했다. 저자의 주된 연구 분야는 한중 문화교류사, 한국독립운동사, 한국 통사로 통사적 관점을 견지하며 중국에서 전개된 3.1운동, 항일투쟁, 독립운동, 중국 내 한국 임시정부, 한국 화교사 등에 관한 다수의 저술을 출간했다. 특히 저자의 저술은 이미 국내에 번역되어 소개되기도 했는데 《중국에 있어서의 한국독립운동사》(정신문화연구원, 1996), 《조선의용군 항일전사》(고구려, 1995) 등이 있다.
펼치기
손옥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손옥매孫玉梅 선생은 1950년생으로 길림성 장춘長春에서 출생한 여성 연구원이다. 1974년 외국어 대학교를 졸업했고, 길림성 사회과학원의 “조선 및 한국연구소”에서 다년간 전문연구원을 역임했다. 저술로는 《중조변계사中朝邊界史》(공저)가 있고, 논문으로는 〈조선화교의 항미원조 중의 공헌朝鮮華僑在抗美援朝中的貢獻〉 등이 있다.
펼치기
조영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의 베이징대학교 역사학과에서 중국 고대사를 전공했다. <북조(北朝) 시기 잡호(雜戶)의 연구>로 석사 학위를, <북위(北魏) 탁발(拓跋) 통치 집단의 형성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베이징수도사범대학교 역사학과 객원교수를 거쳐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와 경희사이버대학교, 숭실사이버대학교 등에 출강했다. 현재는 중국 산동성 제남대학교(濟南大學校)의 산하 ‘환황해지역연구센터’의 초빙연구원으로 재직 중에 있다. 중국 고대사 가운데 특히 진한(秦漢)과 위진남북조사(魏晉南北朝史)의 통치 집단의 형성과 민족 문제에 관심을 두고 북방 민족의 정권 수립과 지역화 과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아울러 선진(先秦) 시기의 제자백가의 사상과 목록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특히 역사 문헌학적인 지식을 근간으로 역사 문헌의 체계적인 분류와 문헌 사료의 효율적인 이해와 활용에 관한 문제를 주의 깊게 보고 있다. 역서로는 《중국학 개론》, 《신자》, 《제갈량 문집》, 《한국화교사》, 《중국가보학 통론》(공역) 등이 있으며, <16국 시기 호군제(護軍制) 연구−호한 분치(胡漢分治)를 중심으로>, <盛樂及代北地區與拓拔鮮卑的建國>, <중국 소수민족 정책과 민족 간부 양성>, <‘신중화주의’ 속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사부(史部)의 분류 체계에 관한 기원 연구>, <중국 역사지리 문헌의 문헌학적 분류와 그 기원의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956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