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학교로 들어간 AI](/img_thumb2/979112889832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8327
· 쪽수 : 114쪽
· 출판일 : 2024-01-30
책 소개
목차
AI와 미래 교육
01 AI와 학습
02 AI 리터러시
03 AI와 학습 동기
04 AI 기반 스토리텔링
05 AI 활용 글쓰기
06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07 AI와 메이커 교육
08 AI 로봇과 교육 현장
09 AI와 인성 교육
10 생성 AI 활용 작품
저자소개
책속에서
AI 리터러시는 현재 교육의 필수 구성 요소로 점점 더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에 효과적으로 통합하려면 기술적, 윤리적,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는 다면적 접근이 필요하다. AI 리터러시를 교육에 통합할 때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알고리즘 편향 그리고 인공지능의 결정 과정에 대한 투명성 등 다양한 윤리적 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개인 데이터가 어떻게 수집되고 사용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교육과정에 통합되어야 한다. AI 리터러시의 효과는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과 AI에 대한 인식에 의해 중재될 수 있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이 AI 기술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AI 리터러시 교육은 단순히 기술적 지식 전달을 넘어서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 그리고 윤리적 판단 능력 등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01_“AI 리터러시” 중에서
교육에서는 메타버스 활용의 장점을 3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교육 격차를 줄일 수 있다. 메타버스는 시공간의 제약이 없이 아바타로 콘텐츠에 의존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따라서 자유롭게 교육 메타버스에 정부나 공공기관 주도의 콘텐츠를 탑재하여 개인의 관심사에 따라 서비스하면 교육 격차를 해소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둘째,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맞는 인재 양성이 가능하다. IT 강국인 대한민국에서 이를 활용하여 메타버스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세계 시장으로 뻗어 나가는 K-문화를 전파할 수 있다. 게임, 웹소설, K-무비, K-드라마, K-팝 등 다양한 K-영상 콘텐츠를 만들어 내어 좋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상상력의 발현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인간이 호기심을 갖고 메타버스에서 끊임없이 새롭고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하며 상상력을 펼치는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상력은 문화로, 콘텐츠 자산으로 축적된다.
-06_“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중에서
메이커 교육에서 AI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학생의 개별 능력과 요구 및 노동 시장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학습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AI 활용 능력을 향상하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이 더 나은 질문을 할 수 있다. 메이커 교육 훈련은 학생들의 전기 공학 및 컴퓨터 프로그래밍 내용 지식을 크게 확충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한다. 메이커 교육이 컴퓨터 기술을 배우는 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 습득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컴퓨터를 다루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학습 부담이 증가하여 학습 장애에 직면할 가능성이 더 높고 자신감이 떨어진다.
-07_“AI와 메이커 교육”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