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클라우스 슈밥의 위대한 리셋

클라우스 슈밥의 위대한 리셋

(제4차 산업혁명 × 코로나19)

클라우스 슈밥, 티에리 말르레 (지은이), 이진원 (옮긴이)
메가스터디북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클라우스 슈밥의 위대한 리셋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클라우스 슈밥의 위대한 리셋 (제4차 산업혁명 × 코로나19)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29707079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1-02-01

책 소개

세계경제포럼 회장이자 ‘제4차 산업혁명’ 주창자인 클라우스 슈밥이 쓴 《클라우스 슈밥의 위대한 리셋》은 코로나19가 미래 세계에 미칠 광범위하고 극적인 영향, 그리고 ‘뉴노멀’ 시대를 살아가야 할 정부, 기업, 개인을 위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담은 책이다.

목차

저자 한국어판 서문
추천사| 클라우스 슈밥의 혜안을 통해 절대 혼돈 시대의 생존 전략을 찾다_ 최재붕

도입_ 우리가 사는 세상을 ‘리셋’해야 하는 지금

Part 1. 거시적 차원의 리셋

Chapter 1. 개념 체계 - 오늘날의 세계를 정의하는 세 가지 특성
1. 상호의존성
2. 속도
3. 복잡성

Chapter 2. 경제적 리셋
1. 코로나19 경제학
불확실성 | 성장을 위해 여러 생명을 희생시키는 경제적 오류
2. 성장과 고용
경제성장 | 고용 | 미래의 성장은 어떤 모습일 수 있을까?
3. 재정과 통화 정책
디플레이션이냐 인플레이션이냐? | 미국 달러의 운명

Chapter 3. 사회적 리셋
1. 사회적 리셋의 의의
2. 불평등
3. 사회 불안
4. ‘큰’ 정부의 귀환
5. 사회계약

Chapter 4. 지정학적 리셋
1. 지정학적 리셋의 의의
2. 세계화와 민족주의
3. 글로벌 거버넌스
4. 커지는 중국과 미국의 경쟁
5. 취약 국가와 쇠퇴 국가

Chapter 5. 환경적 리셋
1. 환경적 리셋의 의의
2. 코로나바이러스와 환경
자연과 동물매개 감염 질병 | 대기 오염과 팬데믹 위험 | 봉쇄와 탄소 배출
2 코로나19가 기후 변화와 기타 환경 정책에 미치는 영향

Chapter 6. 기술적 리셋
1. 기술적 리셋의 의의
2.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불확실성 | 성장을 위해 여러 생명을 희생시키는 경제적 오류
3. 접촉자 추적과 감시
4. 디스토피아 위험

Part 2. 미시적 차원의 리셋 - 산업과 기업
Chapter 1. 미시적 트렌드
1. 디지털화의 가속
2. 회복력 강한 공급망
3. 정부와 기업
4.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와 ESG

Chapter 2. 산업적 리셋
1. 사회적 상호작용과 탈고밀도화
2. 행동 변화 - 영구적 대 과도적
3. 회복력

Part 3. 개인적 차원의 리셋
Chapter 1. 인간성의 재정의
1.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들
2. 도덕적 선택

Chapter 2. 정신건강과 웰빙
1. 팬데믹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Chapter 3. 우선순위 변경
1. 우선순위의 변화
2. 창의성
3. 시간
4. 소비
5. 자연과 웰빙

결론
감사의 글
주석

저자소개

클라우스 슈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계경제포럼, 일명 ‘다보스포럼’의 창립자이자 회장. 1938년 독일 태생으로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에서 행정학 석사, 프리부르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스위스연방공과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2년 제네바대학교에 최연소 교수로 임용되었다. 이후 학자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활동하면서 세계 경제 발전에 헌신하며 국제 분쟁 해결에 노력해왔다. 1971년 클라우스 슈밥이 창립한 세계경제포럼은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민관 협력을 위한 국제기구로, 전 세계의 비즈니스·정부·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 그룹의 리더들이 함께 모여 국제·지역·산업 어젠다를 구축하고 그 해법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중립적이고 공정하며 그 어떤 정치적·국가적 이익에도 치우치지 않고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이 단체는, 클라우스 슈밥의 리더십 하에 다양한 협력과 국제적 발의를 통해 세계 각국의 조정 및 화합을 이끌어왔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을 통해 클라우스 슈밥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주창하여 전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으며, 그 해 포럼의 공식 도서였던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은 28개국에서 출간되어 100만 부가 넘는 판매고를 기록하였다.
펼치기
티에리 말르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개인 투자자, 글로벌 CEO, 오피니언 리더,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예측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 '먼슬리 바로미터Monthly barometer'의 창립자이자 CEO다. 세계경제포럼 글로벌 리스크 네트워크Global Risk Network를 설립해 이끌었고, 다년간 포럼의 프로그램을 총괄했다. 프랑스 소르본대학교와 사회과학고등연구원을 거쳐 옥스퍼드 세인트 안토니 칼리지St Antony’s College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쳤으며 경제학과 역사학 석사, 경제학 박사 학위를 갖고 있다. 투자은행, 싱크탱크, 학계에서 두루 경력을 쌓았고 프랑스 총리실에서도 3년간 근무하였으며, 여러 권의 경영과 학술 서적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이진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IMF 시절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에서 한국 경제 위기 극복 상황을 대외에 알리며 국가 신인도를 제고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인정받아 장관상을 수상했다. 세계적인 뉴스 통신사인 Reuters 통신 한국지사 한글뉴스팀 기자로 거시 경제와 채권 시장을 취재하다 국제 뉴스팀 팀장을 맡아 약 15년 동안 글로벌 금융ㅇ경제 뉴스를 우리말로 기사화했다. 이후 홍콩 온라인 언론사인 ‘아시아 타임스’에서 주로 중국 경제 흐름을 분석하다 국내 최대 자본 시장 전문 매체인 ‘더벨’의 제휴사인 캐피탈 커넥트에서 총괄이사직을 겸하며 국내 자본 시장 소식을 해외 투자자에게 전달했다. 현재는 외신 번역과 기사화 및 모니터링 전문업체 ㈜에디터제이더블유 대표로 일하면서 ESG 전문 매체인 ‘ESG 경제’와 주식 전문 매체인 딜사이트경제TV 객원 기자로 경제와 주식 관련 기사를 쓰고 있다. 20년 넘게 Reuters, Bloomberg, The Wall Street Journal, The Financial Times, CNBC 등을 통해 글로벌 금융ㅇ경제 뉴스를 모니터링하고 우리말로 기사 화하면서 항상 투자자에게 실질적으로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한다. 『심리투자 불변의 법칙』, 『경제학 콘서트 2』, 『비트코인, 이더리움 그리고 최후의 승자』, 『투자의 배신』, 『부의 속성』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포함해 지금까지 100권 넘는 경제ㅇ경영 분야 도서를 우리말로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팬데믹 상황이 끝나지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잘 통제되고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사라지고 나면, 이 위기를 극복한 한국은 분명 더 강해질 것입니다. 과거로 돌아가거나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일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회복력이 있는 사회와 경제를 구축함으로써 ‘위대한 리셋’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거라 확신합니다. … 팬데믹이 지난 후 세계는 두 가지 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하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와 경제를 보다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하며, 회복력이 있는 미래로 이끄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를 더 위험하고, 불안정하며, 점점 더 살기 어려운 세상으로 인도할 길입니다. 한국은 이미 분명하게 첫 번째 길을 선택하였습니다."
- ‘한국어판 서문: 한국의 독자들에게’ 중


“각국 정부들이 경기 침체가 재앙적인 불황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으려고 애쓰고 있으며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을 것 같았던 조치들이 전 세계적 표준이 되는 건 이제 당연해졌다. 이번 사태로 촉발된 대량 해고와 기업 부도가 급증하는 것을 예방하거나 저지하기 위해 정부가 ‘최종 지급자(payer of last resort)’ 역할을 해야 한다는 요구가 앞으로도 점점 더 늘어날 것이다.”
- ‘재정과 통화 정책’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9707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