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5790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19-06-10
책 소개
목차
PART 01 재난관리의 학문 13
CHAPTER 01 학문으로서의 재난관리 14
1. 개 설 14
2. 재난관리학 발전과정 및 접근방식 15
3. 다학제적 재난관리 학문분야 20
4. 전문영역으로서의 재난관리학 23
5. 주요 재난관리 이론 25
6. 요약 및 결론 27
PART 02 재난관리의 기초 35
CHAPTER 02 재난관리의 개설 36
1. 재난 관련개념의 정의 36
2. 재난발생과 위험평가 46
3. 현대사회와 재난환경 54
4. 재난관리 의의와 철학 55
5. 요약 및 결론 62
CHAPTER 03 재난 위해(Hazard)의 분류 및 종류 68
1. 개 설 68
2. 재난의 분류체계 68
3. 재난 위해의 종류 71
4. 요약 및 결론 83
CHAPTER 04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 86
1. 재난관리행정의 세대구분 86
2. 제1세대 재난관리행정: 건설행정(1948.11.4~1991.4.22) 88
3. 제2세대 재난관리행정: 지방행정(1991.4.23~2004.5.31) 90
4. 제3세대 재난관리행정: 전문행정(2004.6.1~현재) 93
5. 요약 및 결론 99
CHAPTER 05 재난관리 법령체계 103
1. 분류 체계 103
2. 기본법 체계 103
3. 개별법 체계 104
4. 요약 및 결론 105
CHAPTER 06 재난관리 정부 조직 및 기구 107
1. 분류 기준 107
2. 「정부조직법」에 근거한 상설 재난관리조직 108
3.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근거한 비상설 재난관리기구 111
4. 요약 및 결론 125
PART 03 재난관리의 단계 127
CHAPTER 07 재난예방 128
1. 개 설 128
2. 재난예방의 개념 129
3. 재난예방의 방법 131
4. 요약 및 결론 136
CHAPTER 08 재난대비 138
1. 개 설 138
2. 대응계획의 수립 및 점검 138
3. 투입자원의 확보 및 관리 146
4. 대응절차의 훈련 및 교육 148
5. 비상근무태세의 유지 151
6. 요약 및 결론 152
CHAPTER 09 재난대응 154
1. 개 설 154
2. 재난징후 예고시간의 차이에 따른 대응방식 155
3. 다양한 참여기관의 종합적인 활동영역인 재난대응 155
4. 재난사태 선포와 긴급조치 160
5. 재난현장에서의 응급조치 162
6. 요약 및 결론 167
CHAPTER 10 재난복구 171
1. 개 설 171
2. 재난복구사업의 종류 172
3. 재난지역의 지정 ‧ 선포 174
4. 재해복구지원의 종류 189
5. 국민성금 모금활동 197
6. 요약 및 결론 199
PART 04 협력적 재난관리 203
CHAPTER 11 민관협력 204
1. 개 설 204
2. 재난관리 주체에 대한 동서양의 패러다임 차이 205
3. 재난관리 분야에서 민관의 임무와 역할 207
4. 재난관리 분야에서 비정부기구(NGO)의 임무와 역할 210
5. 민관협력 추진체계 216
6. 요약 및 결론 219
CHAPTER 12 국제협력 222
1. 개 설 222
2. (정부간) 국제기구의 역할: UN 시스템 중심으로 223
3. 비정부 국제기구의 역할: 국제적십자사연맹 중심으로 235
4. 국제재난시 우리나라의 긴급구호체계 236
5. 요약 및 결론 243
PART 05 재난관리의 현안 247
CHAPTER 13 기업재난관리(BCM) 248
1. 개 설 248
2. 업무연속성관리의 개념 및 효과 249
3. 업무연속성관리를 위한 관계법령: 기업재해경감법 251
4. 국가차원의 기업재난관리표준 운영 252
5.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 및 이행 254
6. 기업재난관리를 위한 정부지원 255
7. 요약 및 결론 256
CHAPTER 14 재난보험 258
1. 개 설 258
2. 재난보험의 분류 259
3. 자연재난에 대한 보험 261
4. 인적재난에 대한 보험 264
5. 요약 및 결론 268
CHAPTER 15 재난심리 270
1. 개 설 270
2. 재난단계별 심리변화 271
3. 재난심리회복지원을 위한 상담활동 274
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 정신보건의학적 치료 278
5. 요약 및 결론 282
CHAPTER 16 위험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284
1. 개 설 284
2. 전통적 위험지각 이론 286
3. 위험의 사회확산 이론 288
4. 문화와 위험의 관계 289
5.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290
6. 재난과 언론의 관계 291
7. 요약 및 결론 297
CHAPTER 17 재난관리의 미래 300
1. 미래사회의 재난환경 변화양상 300
2. 재난관리 미래과제 및 대응방안 301
3. 요약 및 결론 305
부 록 307
재난 위해의 종류에 대한 상세설명 308
색 인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