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로그시대의 인적자원관리

디지로그시대의 인적자원관리

(제5판)

박성수, 황호영, 이경근, 전명숙, 채준호 (지은이)
박영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400원 -10% 1120원 19,040원 >

책 이미지

디지로그시대의 인적자원관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로그시대의 인적자원관리 (제5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30309347
· 쪽수 : 594쪽
· 출판일 : 2020-03-10

책 소개

제5판에서는 제4판에서 다루어졌던 내용 가운데 시대적 상황에 맞지 않거나 진부한 내용은 과감하게 삭제하였으며, 변화된 법적.제도적 환경에 맞추어 관련내용과 통계자료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인적자원관리와 관련된 최신의 이슈와 내용을 개정판에 담았다.

목차

01부 인적자원관리의 이해
CHAPTER 1 인적자원관리의 의의와 환경
제1절 인적자원관리의 본질 5
1. 사람인가, 조직인가/5
2. 이제는 사람이 경쟁력이다/7
3. 인사관리에서 인적자원관리로/9
4. 인적자원관리의 변천/11
제2절 인적자원관리의 환경 15
1. 일반환경/15
2. 노동시장환경/18
3. 내부환경/19
제3절 인적자원관리의 체계와 과제 23
1. 인적자원관리의 체계/23
2. 인적자원관리의 학습방향/29

CHAPTER 2 직무관리
제1절 직무관리 41
1. 직무의 요건과 직무관리/41
2. 직무관리의 핵심영역/42
제2절 직무분석 43
1. 직무분석이란?/43
2. 직무의 구조/43
3. 직무분석의 효과/45
4. 직무분석의 절차와 방법/47
제3절 직무평가 55
1. 직무평가의 의의/55
2. 직무평가요소와 가중치의 결정/56
3. 직무평가의 방법/58
4. 직무등급의 결정/60
제4절 직무설계 61
1. 직무설계의 개념과 목적/61
2. 직무설계의 방법/62

CHAPTER 3 인적자원계획
제1절 인적자원계획의 의의와 과정 77
1. 인적자원계획의 의의와 중요성/77
2. 인적자원계획의 과정/78
제2절 인적자원의 수요예측 80
1. 인적자원 수요예측이란?/80
2. 인적자원 수요예측방법/80
제3절 인적자원의 공급예측 84
1. 인적자원 공급예측이란?/84
2. 내부공급예측/85
3. 외부공급예측/89
제4절 인적자원 수요와 공급의 대응 91
1. 수요와 공급대응의 절차/91
2.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경우/91
3.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93
제5절 정원관리 94
1. 정원관리의 의의와 기능/94
2. 정원계획/95
3. 정원산정의 방법/96

02부 확보관리
CHAPTER 4 채용관리
제1절 채용관리 107
1. 채용관리의 의의 및 중요성/107
2. 채용 시 고려사항/109
제2절 모집활동 112
1. 모집의 의의 및 중요성/112
2. 모집전략/113
3. 모집활동/117
제3절 선발관리 123
1. 선발의 의의/123
2. 선발의 기준/124
3. 선발의 절차/125
4. 선발시험과 면접/130
5. 선발도구의 합리적 조건/141
제4절 배치관리 143
1. 배치관리란?/143
2. 적정배치의 방법/143
제5절 채용관리의 새로운 이슈 148
1. NCS기반 채용관리/148
2. 역량면접/149
3. 직무에세이/150
4. 창의성 면접/151

CHAPTER 5 인사이동
제1절 인사이동의 의의와 목적 161
1. 인사이동이란?/161
2. 인사이동의 목적/162
3. 인사이동의 구분/163
제2절 전환관리 165
1. 전환관리란?/165
2. 전환관리의 목적/166
3. 전환의 유형/166
4. 전환관리의 원칙과 실시/169
제3절 승진관리 173
1. 승진관리란?/173
2. 승진의 방침과 유형/174
3. 합리적 승진관리를 위한 제안/181
제4절 징계관리 183
1. 징계관리란?/183
2. 징계관리의 효과/183
3. 징계관리의 설계/184
4. 징계의 형태/185
제5절 이직관리 187
1. 이직의 개념과 효과/187
2. 자발적 이직의 관리/189
3. 비자발적 이직의 관리/192

03부 개발관리
CHAPTER 6 인사평가
제1절 인사평가의 본질 209
1. 인사평가의 개념/209
2. 인사평가의 목적/211
3. 인사평가에 대한 다양한 쟁점/213
제2절 평가관리시스템의 설계와 운용 216
1. 평가관리시스템과 평가관리절차/216
2. 평가기준과 평가표준의 결정/218
3. 평가시기/222
4. 평가주체/223
5. 평가방법/228
6. 평가결과의 조정/238
7. 평가결과의 피드백과 조치/239
제3절 부서(팀)단위의 평가 242
1. 조직평가의 필요성/242
2. 조직평가체계/242
3. 조직평가와 개인평결과의 결합/244
제4절 효과적인 평가관리 245
1. 평가오류의 유형/245
2. 효과적 평가관리를 위한 관점과 주의사항/248

CHAPTER 7 교육훈련 및 개발
제1절 교육훈련의 본질 261
1. 교육훈련의 의의와 중요성/261
2. 교육훈련의 목적과 기대효과/263
제2절 교육훈련의 주체와 대상 266
1. 교육훈련의 주체 및 형태/266
2. 교육훈련의 대상/268
제3절 교육훈련의 방법 및 평가 273
1. 교육훈련의 방법/273
2. 교육훈련의 평가/276
3. 교육훈련의 바람직한 방향/279
제4절 인적자원개발의 의의 280
1. 개발의 정의와 훈련과의 차이/280
2. 개발의 기대효과/281
제5절 인적자원개발의 과정 282
1. 인적자원개발 절차/282
2. 개발필요성 분석/283
3. 개발방법과 선택/285

CHAPTER 8 경력관리
제1절 경력관리의 이해 297
1. 경력관리의 의의/297
2. 경력관리의 목적/298
3. 경력관리의 필요성 및 효과/299
4. 경력의 유형들/299
5. 경력개발의 기본원칙/303
6. 경력개발활동 및 시스템/304
제2절 개인차원에서의 경력관리 307
1. 개인적 차원에서의 경력계획/308
2. 경력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309
3. 경력관심의 변화/311
제3절 조직차원에서의 경력관리 314
1. 조직차원의 경력관리의 정의와 절차/314
2. 조직차원의 경력관리의 한계와 필요성/315
3. 조직과 개인의 경력욕구의 조정과 통합/316
제4절 경력개발의 제도와 실천기법 317
1. 경력개발의 제도/318
2. 경력개발의 실천기법/320
제5절 경력관리의 성공요건과 최근 이슈 322
1. 경력관리의 문제점과 성공요건/322
2. 경력관리의 최근 이슈/324

04부 보상관리
CHAPTER 9 임금관리
제1절 임금관리의 의의 335
1. 임금관리의 중요성과 목표/335
2. 임금의 정의/338
3. 임금관리의 기본원칙/342
제2절 임금수준의 적정성 345
1. 임금수준의 의의/345
2. 임금수준의 결정원리/346
3. 임금수준의 결정이론/348
4. 임금수준의 관리전략/349
제3절 임금체계의 공정성 350
1. 임금체계의 의의 및 구성/350
2. 기본급의 관리/352
3. 부가적 임금/358
4. 임금구조/360
제4절 임금형태의 합리성 361
1. 임금형태의 의의/361
2. 임금형태의 유형/362
제5절 임금관리의 최근 이슈 370
1. 연 봉 제/370
2. 임금피크제/373
3. 경영자 보상/378

CHAPTER 10 복지후생
제1절 복지후생의 의의와 효과 387
1. 복지후생의 의의/387
2. 복지후생의 효과/389
제2절 복지후생제도의 유형 392
1. 법정 복지후생/393
2. 법정 외 복지후생/402
제3절 복지후생 실시전략과 효율적 관리 407
1. 복지후생제도의 설계/407
2. 새로운 복지후생제도의 모색/410
3. 복지후생제도의 효율적 관리/416

05부 유지관리
CHAPTER 11 안전보건관리
제1절 안전보건관리와 산업재해 429
1. 안전보건관리의 의의/429
2. 한국의 산업재해 현황/430
3. 산업재해의 원인과 예방/436
제2절 산업안전관리 438
1. 산업안전관리의 접근방법/438
2. 산업안전관리의 유의사항/441
제3절 보건관리 443
1. 보건관리의 의의/443
2. 보건관리의 대상/444
3. 보건위생에 대한 대책/446

CHAPTER 12 노사관계관리
제1절 노사관계의 의의와 발전과정 455
1. 노사관계와 고용관계/455
2. 노사관계의 당사자/456
3. 노사관계의 발전과정/456
제2절 노동조합의 기능과 유형 458
1. 노동조합이란?/458
2. 노동조합의 기능/460
3. 노동조합의 유형/461
4. 숍 제 도/465
5. 노동조합과 관련된 주요 제도변화/466
제3절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468
1. 단체교섭의 개념과 기능/468
2. 단체교섭의 유형/469
3. 단체협약의 체결/471
제4절 노동쟁의와 쟁의행위 473
1. 노동쟁의란?/473
2. 우리나라의 쟁의조정제도/473
3. 쟁의행위/475
4. 부당노동행위/477
제5절 경영참가 480
1. 경영참가란?/480
2. 경영참가의 유형/480

06부 인적자원관리의 과제
CHAPTER 13 국제화시대의 인적자원관리
제1절 국제인적자원관리의 과제 491
제2절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영역 495
1.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접근방법/495
2. 국제인적자원의 관리대상/500
3. 국제인적자원의 관리활동/504
4. 국제인적자원관리와 문화/513

CHAPTER 14 인적자원관리의 최근 이슈
제1절 비정규직의 인적자원관리 521
1.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의/521
2. 우리나라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형태/524
3. 비정규직 고용의 효과/525
4.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적 대응방향/528
제2절 다문화 사회에서의 인적자원관리 534
1. 외국인 근로자의 활용과 현황/534
2. 우수 외국인 인력 유치 필요성/537
3. 외국인 근로자 고용상의 문제점/538
4. 외국인 근로자 고용과 인적자원관리/539
제3절 고령화시대의 인적자원관리 542
1. 고령사회의 도래/542
2. 고령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544
3. 중고령자 인적자원관리의 요건/546
제4절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적자원관리 550
1. 4차 산업혁명과 동인/550
2. 4차 산업혁명과 노동환경의 변화/552
3. 4차 산업혁명과 인적자원관리/556

찾아보기 565

저자소개

박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경영학사)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경영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경영학박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연구 교수 한국인사관리학회장, 대한경영학회장 전남대학교 기획연구실장, 경영대학장 및 경영대학원장 정부혁신관리위원회 위원, 노동부 고용정책심의회 위원, 고용노동부 고용노동정책자문회의 위원 사단법인 한국산학협동연구원장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교수 한국경영사학회장 광주전남연구원장 현) 전남대 명예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인적자원관리(공저, 법문사, 2001) 한국을 빛내는 CEO(Ⅱ)(공저, 명경사, 2004) 새로운 인적자원관리(공저, 전남대학교출판부, 2005) 기술경영을 위한 인사조직론(공저,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1) CEO, 공자에게 길을 묻다(공저, 매일경제신문사, 2013) 디지로그시대 사람이 경쟁력이다(샘물) 2019 한국기업 퇴직금제도의 연금화방안 한국기업의 경영참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실학자 최한기 인정에 관한 소고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임금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강진병영상인의 역사적 재조명 등 다수
펼치기
채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Warwick(영국) 국제정치학 학사 University of Manchester(영국) 경제사회학(개발학) 석사 University of Warwick(영국) 국제정치학(노동 정치 및 노사관계) 박사 행정자치부 전문위원, 삼성경제연구소(SERI) 인사조직실 수석연구원 현)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인사혁신처 공무원보수위원회 위원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정책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전북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전북노동고용포럼 대표 [주요저서 및 논문] 국가의 제도화 수준과 노동조합의 대응에 따른 정의로운 전환의 유형화 연구(공저, 노동정책연구, 2022) 오줌인현잡기: 콜센터 노동실태와 정책대안(공저, 매일노동뉴스, 2022)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 유형분류와 직무만족 및 우울 수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공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021) 지역일자리와 사회적 대화 연구(공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2020) 어서 와요 노동존중 CSR(공저, 해피스토리, 2017) 공공부문 임금체계 개선방안 연구(공저,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2017)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Labour Relations Since 1997 영국 공무원 단체교섭제도의 한국적 함의 영국의 경제위기 극복과 근로시간 유연화 전략: 근로시간단축제도를 중심으로 등 다수
펼치기
황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경영학사) 전북대학교 대학원(경영학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경영학박사) 미국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객원교수 뉴질랜드 Lincoln University 객원교수 대한경영학회 회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한국인사관리학회 회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회장 한국경영경제학회 회장 현)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명예교수 전북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주요저서 및 논문] 현대인적자원관리(공저, 박영사, 1998) 한국기업의 임금격차요인에 관한 연구 효율임금이론의 제가설 검토 산업민주주의에 관한 고찰 등 다수
펼치기
이경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경영학사) 전남대학교 대학원(경영학석사, 경영학박사)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Canada) 연구교수 한국인사관리학회, 한국인사·조직학회 이사 대한경영학회, 한국경영사학회 부회장 현) 순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중소기업의 창업과 경영(공저, 박영사, 2005) 경영의 이해(공저, 박영사, 2006) 중고령자 인적자원관리(공저, 한국노동연구원부설 뉴패러다임센터, 2008) 상호작용적 공정성지각이 고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하의 과업수행, 맥락수행과 상사의 주관적 평가 간의 관계와 인상관리행동의 조절효과 조직구성원의 자발적 협력행동에 대한 사회적 동기의 효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부심과 존중감의 역할 등 60여 편
펼치기
전명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행정학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Industrial Relations(석사, 박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최저임금위원회 공익위원 한국지역고용학회 회장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편집위원장 가족친화인증위원회 위원(여성가족부) 현)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여성건설근로자 취업현황과 정책방안(공저, 2020) 지역노동시장분석: 최근 지역고용동향 이슈를 중심으로(공저, 2019) 미국 공공부문노동운동과 단체교섭 및 분쟁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격차축소를 위한 임금정책 Equal Employment Policies in Korea Employment & Skills Strategies in Korea 등 다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65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