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군인과 국가

군인과 국가

(민군 관계의 이론과 정치)

새뮤얼 헌팅턴 (지은이), 정한범, 이수미 (옮긴이)
박영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3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0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군인과 국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군인과 국가 (민군 관계의 이론과 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91130316642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3-01-05

목차

서론 국가 안보와 민군 관계

민군 관계의 중요성 4

제1부 군사 기관과 국가: 이론적 및 역사적 관점

제1장 직업으로서의 장교직 / 9
전문성과 군대 9
직업의 개념 10
군사 전문직 12

제2장 서구 사회에서 군인의 부상 / 19
새로운 사회 유형 19
용병과 귀족의 직분 20
18세기 귀족 제도 21
전문직 이전의 이상: 군사 기술과 타고난 천재 27
전문성의 기원 29
전문 기관의 출현, 1800-1875 37
유럽의 전문성: 업턴 장군(General Upton)의 요약, 1875 50
직업 윤리의 공식화: 클라우제비츠(Clausewitz)의 봄 크리즈(Vom Kriege)에서 전쟁의 자율성과 종속성 51

제3장 군인 정신: 직업 군인윤리의 보수적 현실주의 / 55
군인 정신의 의미 55
전문 군인 윤리 58

제4장 권력, 전문성, 이데올로기: 이론상의 민군 관계 / 73
문민통제의 다양성 73
민군 관계의 두 가지 차원 78
객관적인 문민통제의 균형 85
민군 관계의 패턴 87

제5장 독일과 일본: 실제 민군 관계 / 89
독일과 일본의 양상 89
독일: 직업군사주의의 비극 90
일본: 정치적 군국주의의 연속성 112

제2부 미국의 군사력: 역사적 경험, 1789-1940

제6장 이념적 상수(불변성): 자유주의 사회 대 군사 전문주의 / 127
미국 민군 관계의 역사적 불변성 127
미국에서 자유주의의 만연 127
군사 문제에 대한 자유주의적 접근 132
자유주의 정치의 군사 영웅 140

제7장 구조적 불변성: 보수적 헌법 대 문민통제 / 145
헌법상 객관적인 문민통제의 부재 145
헌법제정자와 문민통제 146
민병대 조항과 군사 연방주의: 제국 내의 제국 150
권력 분립: 국군에 대한 이중 통제 157
총사령관 조항: 정치-군사 위계질서 163
문민통제 및 입헌 정부 168

제8장 남북 전쟁 이전의 미국 군사 전통의 뿌리 / 170
미국 군국주의의 세 가지 요소 170
연방주의의 실패: 해밀턴의 무산된 전문성 171
기술주의 172
대중주의 178
전문 직업 의식 185

제9장 미국 군인직의 창설 / 195
비즈니스 평화주의의 지배: 산업주의 대 군국주의 195
고립의 세월: 어둠과 밝음 199
창조적인 중심: 셔먼(Sherman), 업튼(Upton), 루스(Luce) 202
전문성의 제도 208
미국 군대 정신의 형성 223

제10장 신해밀턴 타협의 실패, 1890-1920 / 236
신해밀턴주의(Neo-Hamiltonianism)의 본질 236
마한과 우드: 군사 공보실의 비극 239
사회와의 무산된 동일시, 1918-1925 247

제11장 양차 대전 사이의 민군 관계의 불변성 / 253
사업 개혁에 대한 적개심과 군사적 전문성 253
개혁 자유주의: 군국주의의 실용적 사용 254
군사 기관 258
미국 군인 윤리, 1920-1941 265

제3부 미 민군 관계의 위기, 1940-1955

제12장 제2차 세계 대전: 권력의 연금술 / 277
전면전에서의 민군 관계 277
군사적 권위와 대전략의 영향력 279
전시 권력에 대한 군사적 조정 286
경제 동원에서의 민군 관계 296
조화와 악랄함의 열매 300

제13장 전후 10년의 민군 관계 / 303
민군 관계의 대안 303
민군 관계에 대한 전후 관점 304
미국 사회에서 군사적 영향력 311

제14장 합동참모본부의 정치적 역할 / 328
정치적 역할: 실질적이고 옹호적 328
트루먼 행정부의 합동참모본부들 330
한국 전쟁: 장군, 군대, 그리고 대중 339
아이젠하워 정부의 첫 2년 동안 합동참모본부 343
결론 350

제15장 권력 분립과 냉전 방어 / 351
권력 분립의 영향 351
권력 분립과 기능의 분리 351
권력 분립과 군사적 전문성 361
권력의 분리와 전략적 일원론 366

제16장 민군 관계의 부서구조 / 375
전후 10년의 조직 문제 375
합동참모본부: 법적 형태와 정치적 현실 378
감사관: 국방부의 초자아 382
장관의 역할 385
사무실의 필요성 392

제17장 새로운 균형을 향해 / 399
안보를 위한 필수 조건 399
사상적 환경의 변화 400
보수주의와 안보 405
군사적 이상의 가치 407

후주 409

저자소개

새뮤얼 헌팅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 분야에 혁명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미래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의 틀을 제시한 세계적 석학. 군사정치학과 비교정치학 분야에서 뛰어난 학문적 성과를 올리고 이론정치와 현실정치를 두루 체험한 정치학자로 평가받는다. 1927년 뉴욕에서 태어나 1946년 예일대학교를 졸업한 뒤 시카고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 하버드대학교에서 23세의 젊은 나이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0년부터 1959년까지 하버드대학교, 1959년부터 1962년까지 컬럼비아대학교 정치학 교수로 일했고, 하버드대 국제관계연구소 소장과 존 올린 전략연구소 소장, 미국정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전략촌’ 정책을 수립하기도 했으며, 휴버트 험프리 부통령과 지미 카터 대통령의 고문관, 지미 카터 행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내기도 했다. 1970년에는 워렌 만셀과 함께 〈포린 폴리시Foreign Policy〉를 발간해 국제정치 학술지 운영에도 참여했다. 1963년에는 다시 하버드로 돌아와 연구와 후학 양성에 매진하며 만년을 보내다가, 2008년 81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저서로 《문명의 충돌》《문화가 중요하다》《제3의 물결》《정치발전론》《문명의 충돌과 21세기 일본의 선택》《미국정치론》《군과 국가》 등이 있다.
펼치기
정한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 현재 한국국방우주학회 회장, 국가우주위원회 안보우주개발실무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등을 맡고 있으며,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총무이사, 국방부 민관군위원회 위원,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육군발전자문위원, 국방대학교 국방정책센터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동아시아 전략평가,’ ‘국가안보론,’ ‘국제정치학: 인간과 세계’ 등이 있다. University of Kentucky에서 정치학 박사, 고려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펼치기
정한범의 다른 책 >
이수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하와이대학교 힐로캠퍼스의 부교수인 이수미는 중재와 협상을 포함한 국제 분쟁 해결을 연구한다. 이 교수의 연구논문은 International Interactions, Foreign Policy Analysis, Negotiation Journal, International Negotiation 및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와 같은 학술지에 게재되었고 SUNY Press와 Lexington Books에 책을 출판했다. 또한 한국국제교류재단의 Fellowship of Field Research, 미국 교육부와 칠레 Fulbright Commission이 개최한 Fulbright-Hays Seminar Abroad Program, 태국에서 개최된 Asia Pacific Higher Education Research Partnership의 Emergent Scholar Seminar 등 다양한 펠로우십을 수혜했다. 이 교수는 University of Kentucky에서 정치학 박사, University of Missouri에서 정치학 석사, San Jose State University에서 정치학 학사를 받았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