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산운영관리

생산운영관리

(제4개정판)

유영목, 안영진, 홍석기 (지은이)
박영사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990원
32,0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3,000원 -10% 1650원 28,050원 >

책 이미지

생산운영관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산운영관리 (제4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30317199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3-02-24

책 소개

본서는 대학교 전공교재로서 교수법 및 교육효과를 증대하고자 강의를 담당하시는 분께는 MS Powerpoint로 만들어진 강의안을 제공한다. 또한 연습문제 및 아래 한글로 작성한 답안을 제공한다.

목차

제1편 생산운영관리의 체계

제1장
생산운영관리 소개 및 최근 동향
Operations Management

1.1 생산운영관리 소개 6
1.1.1 생산운영관리의 중요성  6
1.1.2 생산운영관리의 정의  8
1.1.3 생산운영관리의 목표  10
1.2 생산운영시스템 12
1.3 생산운영관리의 발전과정 15
1.4 생산운영관리의 최근 동향 27
1.4.1 4차 산업혁명  28
1.4.2 경영프로세스의 유연성  29
1.4.3 서비스산업의 부상  30
1.4.4 정보기술의 발전  37
1.4.5 저탄소녹색사회  39
1.4.6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40
1.4.7 플랫폼 비즈니스  41
1.5 본서의 구성 42


제2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친환경 생산운영관리
Operations Management

2.1 기업의 사회적 책임 46
2.1.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무엇인가?  46
2.1.2 CSV  50
2.1.3 사회적 가치  52
2.2 환경경영 53
2.2.1 환경경영의 필요성  56
2.2.2 환경경영시스템  58
2.3 SCEM 60
2.3.1 환경친화적 디자인  62
2.3.2 폐기물관리  64
2.3.3 환경라벨링  66
2.3.4 청정생산  68
2.3.5 녹색구매  69
2.3.6 전 과정평가  70
2.4 ESG 72


제2편 전략적 생산운영

제3장
생산운영전략
Operations Management

3.1 전략적 의사결정의 체계 82
3.1.1 기업전략  83
3.1.2 비즈니스전략  85
3.1.3 기능부문전략  86
3.2 경쟁능력의 차원 88
3.2.1 경쟁능력의 차원  88
3.2.2 경쟁우선순위관계 이론  95

3.3 생산운영전략의 구성과 실행 100
3.3.1 시장지배적 전략과 자원기반 전략  100
3.3.2 생산운영전략 실행성과의 측정  102
3.3.3 생산운영전략의 의사결정  104
3.4 생산운영전략의 역동성–와해성 혁신전략 112


제4장
품질경쟁력
Operations Management

4.1 품질의 의미 118
4.2 검 사 120
4.2.1 검사의 정의  120
4.2.2 검사의 종류  122
4.3 통계적 품질관리 123
4.3.1 통계적 품질관리의 의미  123
4.3.2 관리도  124
4.3.3 샘플링검사  127
4.4 Total Quality Management 128
4.4.1 TQM의 정의  128
4.4.2 TQM의 특성  129
4.4.3 TQEM  130
4.5 ISO 인증 132
4.5.1 ISO 9000  132
4.5.2 ISO 14000  133
4.5.3 ISO/TS 16949  133
4.5.4 ISO 22000  134
4.5.5 ISO 26000  134
4.6 안전관리시스템 135
4.7 서비스품질 137
4.7.1 서비스품질의 속성  137
4.7.2 SERVQUAL  139



제3편 생산시스템 설계

제5장
제품 및 서비스설계
Operations Management

5.1 제품설계의 의의와 중요성 150
5.2 설계전략: 마케팅 및 생산전략의 통합 152
5.3 유형재화의 제품개발과정 154
5.3.1 고객욕구 파악  155
5.3.2 아이디어창출  156
5.3.3 제품선정  157
5.3.4 타당성조사  158
5.3.5 예비설계  160
5.3.6 실 험  161
5.3.7 최종설계  161
5.4 제품개발방법: 동시공학 164
5.4.1 제조를 위한 설계  165
5.4.2 가치공학과 가치분석  166
5.4.3 품질로바스트 설계  167
5.4.4 품질기능전개  168
5.4.5 CAD/CEA와 3D 프린팅  170
5.4.6 표준화  175
5.4.7 모듈러 설계  176
5.4.8 PLM  177
5.5 서비스설계 178
5.5.1 서비스를 설계할 때 고려하여야 할 점  179
5.5.2 서비스다발  180
5.6 서비타이제이션과 프로덕타이제이션 182
5.7 공개혁신과 메타 이노베이션 184





제6장
프로세스설계
Operations Management

6.1 프로세스의 의미 190
6.1.1 생산량  191
6.1.2 품질수준  192
6.1.3 기계의 유형  192
6.2 제품의 물적 흐름에 의한 프로세스의 종류 194
6.2.1 단속프로세스  194
6.2.2 라인프로세스  195
6.2.3 프로젝트  198
6.2.4 프로세스의 비교  198
6.3 수직적 통합 202
6.3.1 후방통합  202
6.3.2 전방통합  204
6.3.3 공동회사  204
6.3.4 소유/임대 결정  205
6.4 생산과 재고전략 205
6.4.1 재고생산  205
6.4.2 주문생산  206
6.4.3 재고생산 및 주문생산의 비교  207
6.4.4 조립주문생산  207
6.5 프로세스 선택: 제품-프로세스 전략 208
6.6 프로세스 설계도 210
6.7 서비스 프로세스 설계 211
6.7.1 서비스 매트릭스  212
6.7.2 서비스업체에서의 프로세스도  214
6.8 매스 커스터마제이션 215
6.9 프로젝트 경영 217
6.9.1 프로젝트 계획수립  218
6.9.2 프로젝트 일정수립  220
6.9.3 프로젝트 통제  223
6.9.4 핵심경로와 프로젝트 완료시간  224
6.9.5 PERT/CPM의 한계와 핵심체인 프로젝트관리  230

제7장
생산능력, 입지 및 배치설계
Operations Management

7.1 생산계획의 구성 236
7.2 생산능력계획 238
7.2.1 생산능력의 의미  238
7.2.2 생산능력계획의 중요성  239
7.2.3 생산능력의 측정  239
7.2.4 생산능력의 종류  240
7.2.5 피크생산능력과 안정생산능력  242
7.3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 243
7.4 생산능력전략 246
7.4.1 일시적 확장전략  246
7.4.2 점진적 확장전략  247
7.5 생산량의 확장 248
7.6 서비스업체의 생산능력계획 249
7.7 설비입지 251
7.7.1 입지결정의 중요성  251
7.7.2 설비입지의 목적  252
7.7.3 설비입지결정 단계  254
7.7.4 설비입지결정의 종속성  257
7.7.5 서비스업체를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요소  258
7.7.6 빅데이터를 활용한 입지 선정  260
7.8 설비배치의 의의 261
7.9 설비배치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262
7.10 배치의 일반적인 형태 264
7.11 작업의 흐름에 의한 설비배치의 유형 266
7.11.1 프로세스별 배치  266
7.11.2 제품별 배치  268
7.11.3 고정위치배치  270
7.11.4 서비스업체의 배치  271
7.11.5 셀룰라배치 및 그룹 테크놀로지  272

제4편 생산계획 및 실행 시스템

제8장
SCM
Operations Management

8.1 SCM의 개념과 전략 282
8.1.1 공급사슬의 개념과 목표  282
8.1.2 공급사슬 조정의 중요성  284
8.1.3 SCM의 정의  290
8.1.4 SCM 전략 결정요소  291
8.1.5 SCM 전략 상황모델  293
8.1.6 SCM 체계  296
8.2 SCM과 정보기술 300
8.3 공급사슬 위기관리 302
8.3.1 글로벌경영과 공급사슬 위기관리  302
8.3.2 공급사슬의 탄력성  304


제9장
수요예측
Operations Management

9.1 수요예측의 필요성과 수요변화의 이해 310
9.1.1 수요예측의 필요성  310
9.1.2 수요예측과정의 단계  311
9.1.3 예측모형의 선택  313
9.1.4 시계열변화의 특성  314
9.2 수요예측 기법 316
9.2.1 정성적 예측기법  316
9.2.2 시계열 예측기법  318
9.2.3 인과형 예측기법  329
9.3 예측모형의 평가 334
9.3.1 예측오차  334
9.3.2 예측오차의 측정  335
9.3.3 예측오차의 추적  339
9.4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요예측 340

제10장
재고관리
Operations Management

10.1 재고의 이해 346
10.1.1 재고의 특성  346
10.1.2 재고의 유형  349
10.1.3 재고측정치  351
10.2 재고관리 시스템 353
10.2.1 EOQ 모형  353
10.3 재고관리의 실행 358
10.3.1 고정주문량 시스템  358
10.3.2 고정기간 재주문 시스템  360
10.3.3 고정주문량(Q) 시스템과 고정기간(P) 재주문 시스템의 비교  362
10.3.4 혼합형 재고시스템  362
10.3.5 ABC분류기법  365
10.3.6 VMI  368
10.3.7 CPFR  369


제11장
생산계획 시스템과 MRP
Operations Management

11.1 생산계획 시스템의 구성 374
11.2 총괄계획 375
11.2.1 S&OP와 총괄계획  375
11.2.2 총괄계획의 의미와 목표  376
11.2.3 총괄계획의 전략적 대안  377
11.2.4 총괄계획의 전략적 방향  380
11.3 MPS의 수립 381
11.3.1 MPS의 목표  382
11.3.2 MPS의 시간구역  382
11.3.3 MPS의 작성절차  383
11.3.4 ATP수량  384
11.3.5 개략적 생산능력계획  386
11.4 MRP 시스템 388
11.4.1 MRP 시스템의 출현배경  388
11.4.2 MRP 시스템의 목표  389
11.4.3 MRP 시스템의 구성체계  391
11.4.4 MRP 시스템의 주요 출력정보  401


제5편 프로세스 혁신 시스템

제12장
ERP, e-Operations와 스마트 공장
Operations Management

12.1 ERP 시스템의 정의 408
12.2 ERP의 출현환경 409
12.2.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발전  409
12.2.2 경영환경의 변화  410
12.3 폐쇄형 MRP 412
12.4 MRP Ⅱ 413
12.5 ERP 415
12.5.1 ERP의 응용  418
12.5.2 ERP의 구현  420
12.5.3 ERP의 지속적인 진화  421
12.5.4 ERP와 MES의 연동  423
12.6 오퍼레이션 혁신 424
12.7 e-Operations Management 426
12.7.1 e-Operations의 정의  426
12.7.2 e-Operations Management의 필요성  428
12.8 스마트 공장 431
12.8.1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공장  431
12.8.2 주요 국가의 스마트 공장 구축계획  432
12.8.3 스마트 공장 개념  434
12.8.4 스마트 공장의 기반기술  436
12.8.5 IT와 OT의 통합  438
12.8.6 Tesla Production System  440

제13장
초일류 오퍼레이션 프로세스 혁신
Operations Management

13.1 적시생산시스템 446
13.1.1 적시생산시스템의 정의  446
13.1.2 적시생산시스템의 구성요소  448
13.1.3 전통적 생산시스템과 JIT의 비교  453
13.1.4 JIT에 의한 생산계획 및 통제  454
13.1.5 서비스시스템에서의 JIT의 적용  458
13.2 린 생산 및 린 경영 466
13.2.1 린 생산의 정의  466
13.2.2 7가지 낭비  467
13.2.3 Lean의 5가지 원칙  469
13.3 프로세스 혁신 472
13.3.1 프로세스 혁신의 중요성  472
13.3.2 프로세스 혁신 기법  474
13.3.3 프로세스 혁신과 기업문화  481
13.3.4 프로세스의 투명성  482
13.4 4차 산업혁명 483
13.4.1 3D 프린팅  484
13.4.2 인공지능  486
13.4.3 유비쿼터스 컴퓨팅  489
13.4.4 WMNs  490
13.4.5 바이오 테크놀로지  490
13.4.6 사무자동화  491



<부록-1> 정규확률분포표 495
영문색인 497
국문색인 503

저자소개

유영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 학사와 석사를, 미국 네브라스카 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를 수여받았습니다. 현재 단국대학교 교수로서 생산운영관리, 생산전략, 서비스 품질경영 등을 학부와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생산관리학회, 한국경영과학회, 한일경상학회, 미국 DSI학회, GMRG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비스 품질경영」, 「경영통계학」, 「서비스 코어 11」, 「서비스 경영」, 「성공기업의 딜레마」, 「서비스 수익모델」, 「물류관리의 종합적 이해」, 「경영학의 이해」, 「해방경영」 등의 저서와 역서를 공동 집필한 바 있습니다. 본 저서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나 기타 제안하실 사항이 있으시면 저의 전자우편주소인 ymyu@dankook.ac.kr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펼치기
안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서 학사를,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경영학 석사와 박사를 수여받았습니다. 현재 단국대학교 경영학부 명예교수로서, 한국생산관리학회와 한국구매조달학회의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CPIM(Certified Production and Inventory Manager)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대해 의문점이 있거나 또는 상의할 용건이 있으신 분은 저의 이메일 주소인 yjahn@dankook.ac.kr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펼치기
홍석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를, 미국 네브라스카 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를 수여받았습니다. 현재 단국대학교 교수로서 생산운영관리, 서비스경영론 등을 학부와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생산관리학회, 대한경영학회, 한국서비스경영학회,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한국생산성학회, 한국산업경제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 CFPIM(Certified Fellow in Produc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자격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저서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나 기타 제안하실 사항이 있으시면 저의 전자우편주소인 skhong017@dankook.ac.kr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8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