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주적 거버넌스와 비다수주의 기관

민주적 거버넌스와 비다수주의 기관

(쟁점과 과제)

강명훈, 강민성, 강상원, 김다은, 김영재, 박정구, 윤성현, 조인영 (지은이), 박종민, 윤견수 (엮은이)
박영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주적 거버넌스와 비다수주의 기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주적 거버넌스와 비다수주의 기관 (쟁점과 과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2282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5-05-20

책 소개

3개 편, 8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은 민주적 거버넌스의 도구로서 비다수주의 기관의 한계와 조건을 다룬다. 제2편은 우리나라 비다수주의 기관의 한계와 과제를 다룬다. 제3편은 과학기술 거버넌스와 시민 참여 거버넌스에서 비다수주의 기관의 한계와 역할을 다룬다.

목차

제1편 민주적 거버넌스의 도구로서 비다수주의 기관

제1장 정치의 양극화, 민주적 거버넌스 및 비다수주의 기관
Ⅰ 머리말 3
Ⅱ 선거민주주의의 한계 4
Ⅲ 차별화된 기관 신뢰 7
Ⅳ 기관 신뢰의 당파적 차이 13
Ⅴ 당파적 양극화와 공론의 분열 18
Ⅵ 민주적 거버넌스: 기관 균형 21
Ⅶ 집행적 권력의 분립과 비다수주의 기관 25
Ⅷ 시민 참여와 비다수주의 기관 28
Ⅸ 민주적 거버넌스의 정당성: 투입, 과정 및 산출 31
Ⅹ 맺음말 33

제2장
전문성, 민주주의 그리고 자율성
Ⅰ 들어가며 37
Ⅱ 주인-대리인 관계에서의 비대칭 정보 문제 해결 43
1. 동맹원칙 44
2. 재량권 제한 48
3. 신뢰할 수 없는 약속 이행의 문제 51
Ⅲ 관료의 자율성 53
1. 거래적 권위와 인가된 수용 53
2. 평판에 기반한 관료의 자율성 55
Ⅳ 결론 59

제3장
독립행정위원회의 설치 · 운영 입법에 대한 헌법학적 검토
Ⅰ 서론 63
Ⅱ 독립행정위원회의 범위와 설치 요건 65
1. 현행법상 독립행정위원회의 범주 65
2. 독립행정위원회의 근거와 설치 기준 71
Ⅲ 독립행정위원회의 요건: 기준별 75
1. 독립성 75
2. 전문성 79
3. 신규성 혹은 비전형성 86
4. 다수 전문가의 합의(행정적 숙의) 87
5. 정치적 중립성 92
Ⅳ 결론 95

제2편 비다수주의 기관 사례 연구

제4장
비다수주의 기관의 정당성과 독립성: 국민권익위원회 사례
Ⅰ 서론 101
Ⅱ 이론적 논의 103
1. 비다수주의 기관 103
2. 반부패 기관 107
Ⅲ 국민권익위원회의 정당성과 독립성에 관한 논쟁 111
1. 구성과 기능 111
2. 조직 구조와 독립성에 관한 논쟁 113
3. 조직 기능과 전문성에 관한 논쟁 119
Ⅳ 국민권익위원회의 과제: 평판 기반 자율성 125
Ⅴ 결론 및 제언 131

제5장
규제 기관의 제도적 특성과 문책성의 한계: 방송통신위원회 사례
Ⅰ 들어가는 글 135
Ⅱ 이론적 배경 138
1. 규제 기관의 제도적 설계 138
2. 규제 기관의 제도적 특성 141
3. 규제 기관의 문책성 146
Ⅲ 사례 분석 150
1. 제도적 설계 150
2. 제도적 특성 155
3. 문책성 기제 158
Ⅳ 정리하는 글 165

제6장
비다수주의 기관의 전문성과 독립성: 통계청 사례
Ⅰ 서론 169
Ⅱ 선행 연구 173
1. 비다수주의 기관으로서의 통계 기관 173
2. 독립행정기관의 전문성과 독립성 174
3. 통계 기관의 전문성과 독립성 비교 176
Ⅲ 분석틀 및 지표 178
Ⅳ 통계청의 전문성과 독립성 180
1. 전문성 분석 180
2. 독립성 분석 189
Ⅴ 결론 및 제언 203

제3편 비다수주의 기관의 한계와 역할

제7장
과학기술 거버넌스에서 비다수주의 기관과 경계 조직
Ⅰ 서론 207
Ⅱ 과학기술 거버넌스와 민주적 정당성 210
1. 과학기술과 사회 210
2. 과학기술 거버넌스와 민주주의 212
Ⅲ 비다수주의 기관: 한계와 과제 216
1. 비다수주의 기관: 기능의 다양성 216
2. 비다수주의 기관의 한계 217
3. 비다수주의 기관의 과제 220
4. 비다수주의 기관과 시민 참여 222
Ⅳ 경계 조직의 역할 224
1. 경계 조직과 경계 작업 224
2. 경계 조직과 비다수주의 기관 227
Ⅴ 논의 및 결론 232

제8장
시민 참여와 비다수주의 기관의 역할
Ⅰ 서론 237
Ⅱ 숙의 과정에서 전문가의 역할 241
1. 전문성과 민주성 241
2. 숙의 과정에서 전문가의 다면적 역할 244
Ⅲ 숙의 과정에서 비다수주의 기관의 역할 250
1. 정보에 밝은 시민과 비다수주의 기관 250
2. 시민 참여: 공론 조사와 시민배심원제도 254
3. 숙의의 촉진자로서 비다수주의 기관 259
Ⅳ 맺음말 264

참고문헌 .................................................................................. 270
찾아보기 .................................................................................. 300

저자소개

김다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행정학 박사 동아대학교 석당인재학부 조교수
펼치기
조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연세대학교 글로벌창의융합대학 글로벌행정학과 조교수 ∙ University of Oxford, 정치학 박사 ∙ 비교정치경제, 사회정책, 행정이론 분야 연구
펼치기
강상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Bristol 행정학 박사 고려대학교 비교거버넌스연구소 연구교수
펼치기
윤성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박사(헌법 전공)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책임연구관 UC Berkeley Law School Visiting Scholar (Fulbright 중견연구자 선정) 한양대학교 로스쿨준비반 지도교수 법무부 변호사시험(공법), 사법시험(헌법) 시험위원 법학적성시험(추리영역), 입법고시(상황판단영역) 출제위원 한국공법학회 학술장려상(헌법 분야) 한국법교육학회 법교육 논문상 (現) 한양대학교 정책학과 교수 (現) 한국공법학회 「민주주의와 헌정개혁」 연구포럼 대표 (現) 한국법교육학회 학술1이사, 법과사회이론학회 연구이사 [주요 저서 및 논문] <공저> 『법의 미래』 (2022) 『법의 딜레마』 (2020) 『법학에서 위험한 생각들』 (2018)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2016) <주요 논문> 학부 법(학)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제언-기초·이론교육 강화 및 전문․시민교육 다층화 모색- (2025.2) 국회 입법과정에서 법안의 합헌성 검토 충실화를 위한 입법 거버넌스 개선 방안-숙의법제위원회 도입과 발의 前 합헌성 검토 강화를 중심으로-(2023.10) 숙의민주주의와 헌정개혁-브루스 애커만과 제임스 피쉬킨 이론의 우리 헌정에의 시사- (2023.6) ‘하버드-아시안 소송’에서 인종을 고려한 대학입학정책과 아시안 차별의 딜레마에 대한 헌법적 검토 (2022.10) 헌법재판과 여론-숙의·대화 거버넌스를 통한 한국 헌법재판의 재구조화 모색-(2022.6) 대의민주주의를 넘어, 하이브리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새로운 민주적 거버넌스 모델을 위한 시론-(2020.12) 미국헌법상 표현의 자유의 지지논변으로서 사상의 시장론 (2013.12) J. S. Mill 민주주의론의 기초개념으로서 숙의(熟議) (2013.4)
펼치기
윤성현의 다른 책 >
강명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정치학 박사 포스텍 인문사회과학부 부교수
펼치기
강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행정학 박사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펼치기
김영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Arizona State University 행정 및 정책학 박사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펼치기
박정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KDI 국제정책대학원 박사과정 국민권익위원회 혁신행정데이터담당관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