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학문의 길

학문의 길

(행정학자들의 이야기)

고길곤, 김근세, 김상묵, 김윤상, 박흥식, 양재진, 유재원, 윤견수, 임의영, 정성호 (지은이), 한국행정학회 생애연구성과 공유·확산 위원회 (엮은이)
윤성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1,100원
19,8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학문의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학문의 길 (행정학자들의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305800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04-28

책 소개

오랜 기간 한가지 주제의 연구에 매진을 해 온 행정학자들의 이야기를 담아낸 책이다. 소개하는 열 명의 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후학들에게 학문에 대한 진정성과 연구과정 그리고 탐구 과정에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목차

■ 무엇을 위한 행정학 방법론인가? : 문제 지향과 지식 성장을 위한 행정학 이론을 중심으로 | 고길곤 |
I. 들어가는 말
II. 방법론의 개념과 연구 영역의 변화
III. 인식론과 계량방법론
IV. 과학의 시대를 위한 방법론에서 소통의 시대를 위한 방법론으로
V. 인과이론을 위한 방법론의 동경과 좌절
VI. 무엇을 위한 방법론이 돼야 하는가?

■ 한국 정부조직 연구의 탐구 | 김근세 |
I. 들어가는 말
II. 왜 국가론의 관점에서 정부조직을 연구하게 됐는가?
III. 연구 성과와 과제
IV. 한국 정부조직의 역사적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
V. 한국 정부조직의 정치적 접근: 파워엘리트 이론

■ 공공봉사동기 연구 | 김상묵 |
I. 들어가는 말
II. 공공봉사동기 연구
III. 연구 과정의 교훈
IV. 연구 과제
V. 나오는 말

■ 지공주의(地公主義): 제 평생의 연구 주제를 소개합니다 | 김윤상 |
I. 나의 학문, 나의 인생
II. 지공주의의 잠재력: 화합과 평화의 초석
부록 1. 한국 휩쓴 팬데믹 부동산 투기를 막을 백신 있다
부록 2. 탄생 100주년 존 롤스의 토지 정의

■ 내부고발 생애연구의 회고 | 박흥식 |
I. 들어가는 말
II. 내부고발 연구의 계기: 현실은 우연이고 필연이다
III. 내부고발 연구
IV. 성과
V. 나오는 말

■ 비교 복지국가 연구: 한국 사례를 토대로 한 ‘작은복지국가론’의 일반화 | 양재진 |
I. 들어가는 말
II. 복지국가이론의 유럽중심주의와 작은 복지국가 연구의 필요성
III. 작은 복지국가 연구의 태동과 발전
IV. 나오는 말

■ 한국 지방자치 이론의 구축을 향해서: 생애연구의 시작과 끝 | 유재원 |
I. 들어가는 말: 좋은 질문을 찾아 나선 연구 여정
II. 지방자치 제도 선택에 대한 정치적 분석: 지방자치는 정치적 과정이다
III. 분권은 선인가?: 분권지상주의와 분권만능주의의 환상에서 깨어나라
IV. 자치정부는 얼마나 자율적이며, 얼마나 지방 시민사회에 반응적인가?: 법적 및 정치적으로 집적인 중앙-지방 간 관계; 정치공동체가 아니라 문화공동체로서 지방 시민사회
V. 지방정치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이론화 작업과 단체장주의
Ⅵ. 지방서비스 공급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구조적인 제약은 무엇인가?: 지역 간 경쟁이 약하고 재정의존도가 높은 지방정부 체제
Ⅶ. 지방 거버넌스 연구와 계층제 건재론
Ⅷ. 생애연구로부터 도출된 한국 지방자치의 특색: 제약돼 있지만 한계 없는 도시

■ 한국 정부관료제 연구: ‘공직’ 개념의 재발견 | 윤견수 |
I. 들어가는 말
II. 왜 관료제 연구인가?
III. 관료제 연구의 분석 단위: 공직
IV. 공직 체계의 분류와 관료제의 유형
V. 공직의 정체성 변화: 관료제와 정치
VI. 공직 수행의 원형: 개발연대 관료제
VII. 앞으로의 관료제 연구: 고위공직제
VIII. 나오는 말

■ 공공성: 행정학의 핵심이자 사회적 삶의 지표 | 임의영 |
Ⅰ. 들어가는 말
II. 만남
III. 열매
IV. 계획
V. 나오는 말

■ 그리움의 행정학: 공자와 한국 행정 연구 | 정성호 |
I. 들어가는 말: 우연과 필연, 그리고 그리움
II. 나의 그리움: 민주화, 공공화, 주체화 그리고 변화
III. 나오는 말: 학문적 그리움 키우기/죽이기

저자소개

박흥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현) 미국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행정학 박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중앙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사
펼치기
임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2년에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강원대학교 행정·심리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행정철학과 관료제이며, 공공성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행정학의 학문적 영역을 넓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민주주의와 행정윤리』(2002), 『행정철학』(2006/2016), 『형평과 정의』(2011), 『생각을 여는 행정학』(2015), 『공공성의 이론적 기초』(2019), 『관료제의 이론적 기초』(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김윤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환경대학원, 미국 펜실베니어 대학교(도시계획학 박사)를 졸업하였다. 공군 중위로 전역한 1976년부터 40년 넘게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및 석좌교수로 재직하다가 지금은 자유업 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토지사유제, 서울중심주의, 학벌주의 등 특권적・차별적 사회제도와 관행에 주목하면서 특히 토지 불로소득으로 인한 불평등 문제를 깊이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좌파가 추구하는 이상을 우파도 지지하는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좌도우기론(左道右器論)을 제시하면서 화합과 평화를 추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토지공개념: 행복한 세상의 기초』(2018), 『이상사회를 찾아서: 좌도우기의 길』(2017), 『특권 없는 세상: 헨리 조지 사상의 새로운 해석』(2013), 『지공주의: 새로운 토지 패러다임』(2009) 등이 있고, 역서로는 헨리 조지의 『진보와 빈곤』(1997, 2016), 『노동 빈곤과 토지 정의』(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양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2023년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럿거스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사회보장학회장,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복지국가, 발전국가, 정부학이다. 한국정치학회 학술상(2013), 한국정치학회 인재저술상(2017), 아시아행정학회 아키라 나카무라 최우수논문상(2019) 등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복지의 원리》,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Small Welfare State in South Korea》(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출판부), 《복지국가의 조세와 정치》 등이 있다.
펼치기
고길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현)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조교수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정책학 박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연세대학교 행정학사
펼치기
정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의 델라웨어대학(University of Delaware)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한국 행정과 행정이론을 중심으로 행정학을 연구를 했으며,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이론으로 한국 행정과 한국의 행정학을 설명하는 논문들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시민민주주의 시대의 행정(학), ‘그리움의 행정학’에 대한 사색을 하고 있으며, 동양고전들을 행정학적으로 읽고 해석하는데 관심이 많다. 박사학위 논문은 “Politics of Civil Service Reform: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a Higher Civil Service in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 1953-1961”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행정 연구에 있어 문화심리적 접근의 평가”(1991), “한국 인사행정의 정치이론적 방향모색”(1993), From Imitation to Creation: Public Organization Research in Korea, 1967- 1996(1998), “21세기 한국행정의 업무수행가치 모색”(2001), “한국행정학의 근대성: 담론분석”(2001), “Machiavelli의 군주론과 Ego중심적 통치”(2002), “한국의 행정언어와 정부간의 인사교류 딜레마”(2004), “Reading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 Application of Lacanian Four Discourses”(2007), “미국 정치적 임용제도의 특징과 쟁점” (2008), “공무원과 정치: 정치적 중립과 정치참여”(2009), “‘행정학의 한국화’에 대한 정신분석적 사색”(2013), “민주주의와 관료주의: 내 행정학의 오래된 미래”(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유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현)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정치학 박사 고려대학교 행정학사
펼치기
한국행정학회 생애연구성과 공유·확산 위원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