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순수법학

순수법학

한스 켈젠 (지은이), 윤재왕 (옮긴이)
박영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19,000원 -0% 0원
카드할인 3%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순수법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순수법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30332437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18-09-01

책 소개

한스 켈젠의 <순수법학>. '법과 자연', '법과 도덕', '법의 개념과 법명제 이론', '법이론의 이원주의와 이원주의의 극복', '법질서와 법질서의 단계구조', '해석', '법생성 방법', '법과 국가', '국가와 국제법'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서언 7

I. 법과 자연

1. ‘순수성’ 17
2. 자연적 사실(행위)과 의미 18
3. 사회적 소재의 자기해석(주관적 의미와 객관적 의미) 19
4. 해석도식으로서의 규범 20
5. 행위로서의 규범과 의미내용으로서의 규범 22
6. 규범의 효력과 효력범위 23
7. 법규범의 인식과 법사회학 25

II. 법과 도덕

8. 법과 정의 29
9. 순수법학의 반이데올로기적 경향 34

III. 법의 개념과 법명제 이론

10.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 39
11. 법의 개념범주로서의 ‘당위’ 41
a) 초월적 이념으로서의 당위 41
b) 선험적 개념범주로서의 당위 42
c) 자연법과 형이상학으로의 회귀 45
12. 강제규범으로서의 법 45
13. 불법의 개념 46
14. 사회적 기술로서의 법 49
a) 법질서의 실효성 49
b) 이차적 규범 50
c) 법복종의 동기 51
15. 당위의 부정 53
16. 법의 규범적 의미 55
17. 법의 존재와 법의 당위 57

IV. 법이론의 이원주의와 이원주의의 극복

18. 객관적 법과 주관적 법의 이원주의의 자연법적 기원 61
19. 주관적 법(권리)의 개념 62
20. 권리주체 또는 인격이라는 개념 63
21. ‘주관적 법’ 개념과 ‘권리주체’ 개념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의미 64
22. 법적 관계의 개념 66
23. 법의무의 개념 68
24. 모든 주관적 법(권리)은 객관적 법에 기초한다. 68
a) 법의무로서의 법규범 68
b) 권한으로서의 법규범 69
c) 법생성에 대한 참여로서의 권한 71
25. 인격 개념의 해체 73
a) ‘물리적’ 인격 73
b) ‘법적’ 인격 75
c) 개인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의무와 권한 76
d) 중심적 귀속 77
e) 책임의 제한 78
f) 개인과 공동체의 대립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의미 79
26. 순수법학의 보편주의적 성격 80

V. 법질서와 법질서의 단계구조

27. 규범들의 체계로서의 질서 85
28. 생성의 연관관계로서의 법질서 86
29. 근본규범의 의미 89
30. 개별 국가 법질서의 근본규범 90
a) 근본규범의 내용 90
b) 법질서의 효력과 실효성(법과 권력) 92
c) 국제법과 개별 국가 법질서의 근본규범 93
d) 개별 법규범의 효력과 실효성 94
31. 법질서의 단계구조 96
a) 헌법 96
b) 입법; 법원(法源)의 개념 98
c) 판결 100
d) 사법과 행정 101
e) 법률행위와 집행행위 103
f) 법생성과 법적용 사이의 대립의 상대성 104
g) 단계구조에서 국제법의 지위 104
h) 서로 다른 단계에 속하는 규범들 사이의 갈등 105

VI. 해석

32. 해석의 계기와 대상 113
33. 상위의 법단계와의 관계에서하위의 법단계가 갖는 상대적 불확정성 114
34. 하위단계의 의도적 불확정성 114
35. 하위단계의 의도하지 않은 불확정성 115
36. 규범은 하나의 범위로서,이 범위 내에서 다수의 이행 가능성이 존재한다. 117
37. 이른바 해석방법 118
38. 인식행위 또는 의지행위로서의 해석 120
39. 법적 안정성이라는 환상 121
40. 흠결의 문제 122
41. 이른바 기술적 흠결 124
42. 입법자의 흠결이론 126

VII. 법생성 방법

43. 법형식과 국가형식 131
44. 공법과 사법 132
45. 공법/사법 이원주의가 갖는 이데올로기적 의미 134

VIII. 법과 국가

46. 법과 국가에 관한 전통적 이원주의 141
47. 법과 국가 이원주의의 이데올로기적 기능 142
48. 법과 국가의 동일성 143
a) 법질서로서의 국가 143
b) 법적 귀속의 문제로서의 국가 146
c) 공무담당 기관들의 기구로서의 국가 147
d) 법이론으로서의 국가이론 150
e) 법질서의 실효성으로서의 국가의 권력 151
f) 정당성 이데올로기의 해체 153

IX. 국가와 국제법

49. 국제법의 본질 157
a) 국제법의 단계들: 국제법의 근본규범 157
b) 원시적 법질서로서의 국제법 159
c) 국제법을 통한 간접적 의무부과와 간접적 권한부여 160
50. 국제법과 개별 국가법의 통일성 162
a) 인식론적 요청으로서의 대상의 통일성 162
b) 두 가지 규범체계의 상호관계 164
c) 일원주의적 구성 또는 이원주의적 구성 166
d) 국가 법질서의 우위 167
e) 국제법 부정 169
f) 국제법과 개별 국가법 사이의 ‘모순’의 해소 171
g) 국제법질서의 우위 174
h) 국제법공동체의 기관으로서의 국가 176
i) 순수법학과 세계법의 발전 179

옮긴이 후기 181

저자소개

한스 켈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81-1973. 오스트리아의 법학자. 1881년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나 1973년 오린다(캘리포니아)에서 사망했다. 1901년부터 빈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1906년에 박사학위를, 1911년에 국가법과 법철학 교수자격을 취득했다. 1918년부터 1930년까지 빈 대학 법과대학의 국가법, 행정법 및 법철학 담당교수, 1930년부터 1933년까지 독일 쾰른 대학 법과대학의 국제법 담당교수를 역임했다. 나치에 의해 강제 해직당한 이후 1933년부터 1940년까지 스위스 제네바와 프라하 대학에서 국제법을 가르쳤으며, 1940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1942년까지 하버드 로스쿨 교수, 1942년부터 1952년까지 버클리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를 지냈다.
펼치기
한스 켈젠의 다른 책 >
윤재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문과대학 철학과, 대학원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 및 법사상사 담당 교수로 재직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