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30400532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4-03-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 연구와 변인
연구의 목적
변인의 정의와 유형
02 측정
측정의 의미
개념 확인과 개념적 정의
조작적 정의
측정 척도
측정 실시와 척도 수정
03 표본의 선정
모집단과 표본
표집오차
표본 크기의 결정
표본 선정 방법
조사 방식
04 자료 분석
기술통계
추리통계
05 가설과 유의수준
가설의 정의
가설의 종류
가설의 요건
유의수준 설정
가설 검증의 오류
06 SPSS 시작
07 변수 계산
새로운 변인 생성
연속형 변인의 범주화
08 단일표본 카이스퀘어 검증
단일표본 카이스퀘어 개요
범주의 요건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09 교차분석
교차분석 개요
교차분석 절차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0 다중응답 분석
다중응답 분석 개요
분석 사례
다중응답 범주형 분석
다중응답 이분형 분석
다중응답 교차분석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1 독립표본 t-test
독립표본 t-test 개요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2 대응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개요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3 일원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개요
사후분석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4 이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개요
상호작용 효과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5 반복측정 분산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 개요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6 공분산분석
가외변인 통제와 공분산분석 개요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7 상관관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개요
상관관계분석 절차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8 회귀분석
회귀분석 개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회귀분석의 목적
회귀분석의 절차
회귀모형의 구축 방법
회귀모형의 간명성과 다중공선성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19 더미변인을 이용한 회귀분석
더미 회귀분석 개요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20 요인분석
요인분석 개요
요인분석의 목적
요인분석의 적합도
요인 적재치와 아이겐 값
요인의 회전
요인점수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21 측정 항목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측정 항목의 신뢰도 분석
신뢰도 분석 사례
측정 항목의 타당도 분석
타당도 분석 사례
실제 논문 적용 사례
책속에서
이 책은 초보자들이 통계 기법을 수월하게 이해하고 익숙하게 사용하게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일반 방법론 부분은 대폭 생략하고 통계 기법 소개와 활용에 초점을 맞췄다. 구체적으로 책의 첫 부분은 가설설정과 분석을 위한 필수 사항들을 설명했다. 두 번째 부분은 통계 프로그램인 SPSS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기본 방안들을 설명했다. 세 번째 부분은 사회과학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계기법 14가지를 선정해 설명한다. 이 부분에서는 각 기법의 설명과 실제 활용법을 소개한다. 또한 각 통계 기법마다 실제 학위논문에서 사용된 사례를 제시했다.
_ <머리말> 중에서
오늘 저녁식사에 올라갈 된장국의 간을 보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모집단은 냄비 안에 있는 된장국이다. 그러나 맛을 보기 위해 된장국 전부를 마실 필요는 없다. 전부를 마시는 것을 ‘맛을 본다’고 하지는 않을 것이다. 기껏해야 한두 스푼 정도 맛을 보아 전체의 간을 측정한다(이다 야스유키, 2010). 다시 말해 표본은 모집단의 일부로 연구자가 직접 조사를 진행하는 집단을 말한다. 표본조사는 분석 대상 사례 수가 적기 때문에 전수조사에 비해 시간이나 비용이 적게 들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나, 모집단의 일부만을 조사했기 때문에 오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_ <03 표본의 선정> 중에서
형사재판의 과정을 보면 아무리 극악한 살인범이라고 할지라도 최종 판결이 있기까지는 무죄로 추정된다. 이른바 ‘무죄추정의 원칙’이다. 따라서 검사는 증거 제시를 통해 “피고인이 무죄다”라는 추정을 반증해서 무죄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고, 변호사는 “피고인은 무죄다”라는 추정을 계속 옹호한다. 이 과정에서 만약 검사가 ‘피고인은 무죄’라는 추정을 반증하지 못하면, ‘무죄’라는 추정이 그대로 받아들여져서 피고인은 무죄로 풀려나게 된다. 이러한 형사재판 과정과 마찬가지로, 통계적 가설 검증에서도 반증법을 사용한다. 형사재판에서 “피고인은 무죄다”라는 추정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영가설이다.
_ <05 가설과 유의수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