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436067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3-08-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 커뮤니케이션의 어원과 정의
2. 커뮤니케이션 모형
3. 커뮤니케이션 유형
제2장 커뮤니케이션의 잡음
1. 물리적 잡음
2. 신체적 잡음
3. 의미적 잡음
4. 심리적 잡음
5. 사회 문화적 잡음
제3장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진화
1. 미디어의 진화 단계와 원인
2. 몸짓과 울음
3. 음성언어
4. 문자
5. 인쇄 매체
6. 사진
7. 전파 매체
8. 인터넷
9. 모바일
제4장 언론의 역할과 중요성
1. 언론 및 매스미디어의 역할
2. 언론 보도의 기본 요건
3. 표현의 자유
4. 언론 탄압과 표현의 자유 제한 사례
5. 언론 자유 수호를 위한 노력
제5장 언론과 사회체제
1. 권위주의 이론
2. 자유주의 이론
3. 사회책임주의 이론
4. 소비에트 전체주의 이론
제6장 매스미디어 효과 이론
1. 탄환 이론
2. 2단계 유통 이론
3. 이용과 충족 이론
4. 의제 설정 이론
5. 침묵의 나선 이론
6. 프레임 이론
제7장 인쇄 미디어
1. 인쇄 커뮤니케이션 모형
2. 신문의 발달
3. 한국 신문의 역사
4. 지역신문
5. 잡지
6. 인쇄 미디어의 조직 구성
7. 뉴스 가치
8. 인쇄 미디어의 미래
제8장 방송 미디어
1. 방송 커뮤니케이션 모형
2. 방송의 발달
3. 한국 방송의 역사
4. 방송사의 조직과 구성
5. 방송의 영향
6. 방송의 유형
7. 시청률 측정
제9장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1. 정보사회와 뉴미디어의 특성
2.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3. 스마트 미디어
4. 정보사회와 관련된 문제점
제10장 대안 미디어
1. 대안 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2. 대안 미디어의 등장 배경
3. 대안 미디어 유형
제11장 정치와 미디어
1. 정치 커뮤니케이션
2. 매스미디어와 정치
3. 정치와 여론
4. 텔레비전 토론
5. 정치광고
제12장 설득 커뮤니케이션
1. 수사학
2. 선전
3. 광고
4. PR
제13장 언론 미디어 제도
1. 방송 제도의 유형
2. 미디어렙
3. 신문 지원제도
4. 신문과 방송의 겸영
5. 미디어 관련 법안 및 제도 개정
참고 문헌
책속에서
물론 기존의 미디어 또한 계속해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겠지만, 그 역할과 영향력은 축소될 수밖에 없다.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하는 변화는 문화의 다양성이 증대되고 표현의 영역이 확대되는 양상과 궤를 같이한다. 이제는 전통적인 의미의 규제가 불가능하고, 기술적인 발전으로 인해 표현의 한계 역시 거의 사라진 상황이다.
디지털 미디어 사회, 즉 정보사회에서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플랫폼 통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의
모습은 사회적 기능뿐 아니라 그 역기능까지 양 극단을 너무나도 뚜렷하게 보여준다. 투명하고 개방적이며 열린
토론 사회의 모습과 동시에 정반대로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창조적인 사회에 위험하고 위협이 되는 모습이 공존
한다. 이러한 미디어 그 자체가 만들어내는, 혹은 미디어를 둘러싼 환경은 기존의 매체들과 인터넷 등 새로운
매체가 가까운 장래에 처하게 될 상황을 미리 보여준다.
언론은 사회의 공기(公器)이다. 언론은 그 사회의 거울이자 양심이며, 권력을 감시하고 비판할 뿐 아니라 사회적 약자를 대변해야 한다. 예컨대 언론은 사회의 특정 이슈를 부각해 여론을 형성한다. 또한 여러 사회문제를 알리고 정치 및 자본 권력을 감시함으로써 건전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표현의 자유는 공적 이익을 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만약 언론이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지 못하거나 특정 권력 편에 서서 그들을 대변한다면 건강한 시민사회를 구현하기는 힘들다. 다시 말해 다수의 시민들은 언론이라는 창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기 때문에 창이 왜곡되면 올바른 정보를 얻기가 힘들다. 또한 언론이 자신의 권한을 일부 정치권력이나 자본권력을 대변하는 데 사용한다면, 그 피해는 결국 다수의 시민들에게 돌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