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91130400730
· 쪽수 : 146쪽
· 출판일 : 2014-07-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광고 업계의 구조
광고 대행사의 역할과 종류
CF 프로덕션
비주얼 포스트 프로덕션
오디오 포스트 프로덕션
프리랜서 포스트 프로덕션
2장 광고 음악의 정의와 특징
광고 음악의 역할
광고 음악의 차별성
광고 음악의 구성 요소
광고 음악의 기능(사용 방법)
광고 음악 제작 시 고려 사항
3장 광고 음악의 분류
마케팅에 의한 분류
형식에 의한 분류
4장 광고 음악의 제작 과정
사전제작
제작
후반제작
5장 광고 음악 실전
광고 음악 발주 형태
광고 음악의 패턴 분석
30초를 위한 마디 수와 템포 계산 방법
PT와 PPM를 위한 시안 준비
촬영과 편집을 위한 음악 수정
광고 대행사와 광고주 시사
6장 광고 음악 제작 실습-풀송
제작 포인트
제작 과정
7장 광고 음악 제작 실습-풀비지엠
제작 포인트
제작 과정
8장 광고 음악 제작 실습-로고송
제작 포인트
제작 과정
9장 음악 제작 실습-로고사운드
제작 포인트
제작 과정
10장 사운드 디자인
사운드 구성 요소
광고 오디오 포스트 프로덕션의 제작 과정
믹싱
책속에서
훌륭한 광고 음악이란 “주어진 콘셉트에 가장 가깝게 접근한 음악”이라 말할 수 있다. 광고가 반드시 어떠한 목적을 위한 콘셉트(concept)에 의해 기획되고 철저하게 그 정해진 콘셉트를 밑바탕으로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인데, 광고 음악의 세계에서는 아무리 멋지고 훌륭한 음악이라도 주어진 콘셉트가 맞지 않는다면 아무 쓸모없는 음악이 되고 만다. 이렇게 콘셉트에 딱 맞는 음악은 제작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특별한 노하우를 지닌 프로페셔널 음악가들만이 만들 수 있는 것이다.
- '머리말' 중에서
광고 음악에서는 도입부 없이 전개부나 발전부에서 바로 시작되거나 음악의 결말 없이 갑자기 끝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음악의 형식 또는 영상 음악의 구조와 비교해 보면 광고 음악은 굉장히 불안한 음악 형식을 갖추고 있는 것인데, 이는 15초,20초라는 짧은 시간 안에 가장 효과적인 메시지만을 전달해야 하는 광고가 가지는 특성 때문이다.
- '2장 광고 음악의 정의와 특징' 중에서
광고 음악을 제작하는 데 놓치면 안 되는 핵심 키워드는 ‘포지티버티(Positivity)’로, 음악으로 긍정적인 느낌을 연출해 내는 것이다. 이는 제품 판매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사항이 바로 제품의’긍정적인 이미지‘ 창출이기 때문이다. 드물게 어둡거나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 연출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긍정적인 결과 유도를 위한 시각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 '6장 광고 음악 제작 실습-풀송'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