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광고/홍보
· ISBN : 979113043505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5-02-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 CSR란 무엇인가
CSR에 대한 다양한 관점
CSR에 대한 구체적 정의
CSR를 해야 하는 이유
CSR 범위에 대한 논란
CSR에 대한 오해
CSR 수혜자 논란
생각해 보기
핵심 개념
참고 문헌
02 CSR 활동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국내 CSR 현황
CSR 활동의 기대 효과
생각해 보기
핵심 개념
참고 문헌
03 기업이 CSR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업이 보는 CSR 활동 저해 요인
주요 공중이 보는 CSR 효과 저해 요인
CSR 동기에 대한 의심
CSR 동기 해석에 영향을 주는 요인
CSR 동기 측정 방법
생각해 보기
핵심 개념
참고 문헌
04 CSR 활동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주요 기업 속성
주요 CSR 전략 속성
주요 CSR 커뮤니케이션 속성
주요 개인 속성
생각해 보기
핵심 개념
참고 문헌
05 CSR 활동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ISO26000
NSF CSR 인덱스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
기타 CSR 관련 지수
생각해 보기
참고 문헌
06 CSR 활동의 주체는 누구인가
정부 및 공공기관
시민 단체 및 비영리 단체
대기업 및 중소기업
프로보노
수혜자 및 지역 사회
생각해 보기
참고 문헌
07 CSR 활동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좀 더 적극적인 배려소비자의 등장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의 진화
프로보노와 협력을 통한 전문성 증대
다양한 CSR 주체의 역할 증대
CSV에 대한 관심 증대
CSV의 대표 사례
생각해 보기
핵심 개념
참고 문헌
부록 가볼 만한 CSR 관련 사이트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윤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영리 기업이 사회적 기업도 아닌데 사회에 다양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얼핏 보면 이율배반이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활동에는 유·무형의 비용이 들기 마련이므로, 기업의 이윤을 감소시키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논리는 기업이 외부의 도움 없이 완전히 자생할 수 있다는 가정을 충족할 때나 가능한 것이다. 현실적으로 외부의 도움 없이 기업이 완벽히 독자적으로 생존하기는 어렵다. 열린 체계적 관점(open system approach)에서 보면, 기업을 둘러싼 외부 환경과 교류하지 않는 체계들은 결국 평형성(equilibrium)이 무너지게 마련이다.
_ ‘01 CSR란 무엇인가’ 중에서
과거에는 단순히 일회성 기부를 통해 해결하기 어려웠던 사회 문제들이 기업들의 전문 비영리 단체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형태를 통한 장기 지원으로 이어져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CSR 전문가들은 SK가 진행하는 ‘행복도시락,’ ‘행복나래’ 등 사회적 기업 지원 사업, 유한킴벌리의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 삼성의 드림클래스, 교보 다솜이, 현대자동차의 기프트카 캠페인 등이 사회 문제 해결에 실제로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라고 평가했다.
_ ‘02 CSR 활동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중에서
과거 우리나라의 사회공헌활동은 대부분 기업이 연말연시에 일회성 생필품을 빈곤층에 기부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이후 점차 임직원의 노동과 시간을 투입하여 빈곤층을 돕는 방향으로 발전하다가 최근에는 임직원의 재능을 활용한 기부 등으로 옮겨가는 추세다. 아직 생소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에 장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공헌 활동을 하는 프로보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프로보노(pro bono)는 한 분야의 전문가가 재능을 활용하여 사회에 공헌하는 것을 말한다.
_ ‘06 CSR 활동의 주체는 누구인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