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R학 원론

PR학 원론

한정호, 김병희, 김장열, 김찬아, 박노일, 박동진, 박종민, 배지양, 오창우, 유선욱, 이유나, 이제영, 전형준, 정지연, 조삼섭, 최준혁, 탁재택, 황성욱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400원 -10% 1120원 19,040원 >

책 이미지

PR학 원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R학 원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30400488
· 쪽수 : 486쪽
· 출판일 : 2014-03-17

책 소개

PR는 무엇인가? 다양한 공중들과 관계를 맺고 조직체에 대한 호의와 이해를 얻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PR의 역할은 무엇인가? 사회, 경제, 미디어 환경이 바뀌고, 사회 현상이 복잡해지면서 PR의 중요성이 커졌다. PR는 조직체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경계확장자다.

목차

머리말


1부 PR의 기본 이해

01 PR의 정의와 유형
PR의 정의
PR과 유사 개념들
PR의 국면과 유형
PR의 유형
참고문헌

02 PR의 사회적 기능과 윤리
PR 시대의 도래
PR의 중요성과 사회적 기능
PR의 윤리·법제적 문제들
PR의 법적 문제
참고문헌

03 PR의 기원과 역사
고대의 유사 PR 활동
미국의 PR 역사
유럽의 PR 역사
한국 PR의 발전
참고문헌


2부 PR학의 중요 이론과 모형들

04 PR의 4모형과 개선 모형들
PR 4모형
PR 4모형의 개선 모형들
참고문헌

05 우수 이론과 정황적 수용 이론
우수 이론
정황적 수용이론
결론
참고문헌

06 포스트모더니즘적 이론과 견해들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과 개념들
PR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견해들
PR 연구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적용
포스트모던적 시각에 대한 비판적 견해와 유용성
참고문헌

07 공중 세분화 연구
공중 상황 이론
쟁점 진행 모형과 공중 세분화
참고문헌

08 위기관리
위기관리의 정의
위기관리의 단계
참고문헌

09 조직체 공중관계성 이론과 평판관리
PR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미지
평판관리의 개념과 구성 요소
참고문헌


3부 PR의 실무와 전략

10 PR인의 유형과 활동
PR 실무의 기초와 중요 PR 활동
PR인의 유형: 기술자 vs 관리자
PR 실무자가 갖추어야 할 조건
조직과 PR
참고문헌

11 PR 산업
PR 전문 회사
PR 전문 회사의 유형과 특징
PR 회사의 수익 방식
참고문헌

12 PR 기획
문제 파악을 위한 공중 모니터링
공중 세분화와 타기팅
타깃 공중 분석
목표 설정
메시지 설정
프로그램 입안
평가
예산
일정
참고문헌

13 언론 관계와 퍼블리시티
PR과 언론 환경
PR과 언론 관계 이론
언론 관계 전략과 퍼블리시티
참고문헌

14 이벤트와 스폰서십
이벤트
스폰서십
참고문헌

15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정의
CSR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변화 양상
CSR에 대한 관점의 변화
자선적 사회공헌활동의 종류
사회공헌활동의 효과
CSR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공헌활동 측정지표
참고문헌

16 기업 정체성 프로그램
CIP의 유래와 개념
CIP 전략의 구성 요소
기업 정체성 프로그램의 효과
참고문헌

17 지역사회관계
커뮤니티의 의미
커뮤니티의 유형
PR 대상으로서의 지역사회
지역사회관계 PR의 개념과 정의
인터넷과 지역사회관계
바람직한 지역사회관계 PR과 중요성
성공 전략과 관련 사례
지역사회관계 PR 전략 방안
참고문헌

18 기업 PR 광고
기업 PR 광고의 개념
기업 PR 광고의 목적
기업 PR 광고의 의제설정 기능
위기관리 상황에서의 수습 지원
기업 PR 광고의 장점과 단점
참고문헌

19 공공문제 관리
공공문제 관리의 정의
공공문제 관리 관련 용어와 특징
공공문제 관리 기능의 중요성
공공문제 관리 수단
공공문제 관리의 실행 과정과 사례
참고문헌

20 소셜 미디어 PR
소셜 미디어 개념과 기업 환경 변화
소셜 미디어 PR 활동 방향
참고문헌


4부 특별 공중 분야와 PR

21 사내 PR 전략과 전술
사내 PR의 목적과 중요성
사내 PR 매체
조직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사내 PR의 평가
사내 PR의 미래와 전망
참고문헌

22 마케팅 PR
마케팅 PR의 정의
MPR이 중요해진 이유
MPR의 주요 기능
MPR과 우회 전략
MPR 전술
MPR 기획의 체크리스트
성공적인 MPR 사례
참고문헌

23 IR
IR의 정의
IR의 사례
IR의 기능
공시
IR의 수단
참고문헌

24 공공 캠페인
공공 캠페인의 정의
공공 캠페인의 역사
공공 캠페인과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이론
공공 캠페인 설계의 원리
참고문헌

25 비영리 조직 PR
비영리 조직의 정의와 유형
비영리 조직의 특성과 기능
비영리 조직 PR의 특성
기부와 기금 조성 활동
결론
참고문헌

26 국제 PR
국제 PR이란 무엇인가?
국제 PR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국제 PR의 분야
국제 PR 산업
국제 PR 네트워크 형태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자소개

김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박사를 받았다. 한국광고학회 제24대 회장, 한국PR학회 제15대 회장, 정부광고자문위원회 초대 위원장, 서울브랜드위원회 제4대 위원장으로 봉사했으며, 현재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 부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디지털 시대의 카피라이팅 신론: 챗GPT를 활용한 광고 카피 쓰기』(2024), 『디지털 시대의 광고 마케팅 기상도』(2021)를 비롯한 6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디지털 시대의 광고 산업 생태계를 고려한 광고의 새로운 정의”(2024)를 비롯한 11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한국갤럽학술상 대상(2011), 제1회 제일기획학술상 저술 부문 대상(2012),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의 우수 연구자 50인(2017) 등을 수상했고, 정부의 정책 소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2019)을 받았다.
펼치기
김장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저널리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서강대학교에서 PR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플로리다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인 최초의 미국PR협회 인증 PR 전문가(APR)이며, 2016년에 미국PR협회 펠로(Fellow PRSA)로 선정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자위해예방국장을 역임했으며, PR회사인 코콤포터노벨리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쟁점·위기커뮤니케이션, 공공외교, 헬스커뮤니케이션, PR윤리, CSR 등이다.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Public Relations Review,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밖에 참여한 여러 저서·역서가 있다. 현재 Asi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의 Editor-in-chief를 맡고 있다.
펼치기
전형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미주리주립대Columbia 저널리즘스쿨에서 박사를 받고 갈등 커뮤니케이션, 정책 PR 등의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현재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연구교수이며, 미국 Pepperdine University, Straus Institute for Dispute Resolution의 갈등조정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이 수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미디어 이용과 공공갈등 인식의 상관관계 분석」「The Korean press and Hwang’s fraud」 등이 있으며, 정책홍보 선진화 방안, 공군 갈등관리 매뉴얼 연구용역 등 여러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펼치기
한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미국 미주리 주립대학교 졸업(언론학 석사·박사) 코래드 수석 연구원/한국개발연구원 국민경제교육연구소 홍보연구실장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광고·PR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현재: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저서:『공익 캠페인론』 외 다수
펼치기
최준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와 서울대학교에서 PR(public relations)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 PR컨설팅을 제공했다. 저서로 <한국의 PR 연구 20년>(공저, 2016), <반기업 정서와 커뮤니케이션>(공저, 2015), <정책 PR론>(공저, 2015), (공저, 2014, 한국PR학회 제2회 저술상 수상작), <실행이 탄탄해지는 PR기획>(2008) 등이 있으며, 정책 홍보혁신포럼과 <이젠 정책e 홍보다>(2005, 2005년 한국PR대상 PR 연구개발 부문 우수상)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역서로는 <스테이크홀더>(공역, 2008), <여론의 법정에서>(공역, 2006), <미디어 트레이닝>(공역, 2005), (공역, 2005,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반기업정서, 브랜드관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다. PR에 관심 있으며, PR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PR에 관한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 보노(pro bon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 10월에 국내 최초의 PR 팟캐스트 “최준혁의 PR토크”를 개설해 현재도 진행 중이다. 또, 여러 공공기관의 자문위원을 맡아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2013년부터는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한국광고PR실학회, 한국OOH광고학회, 한국광고학회 등의 총무이사, 편집이사, 연구이사, 기획이사, 홍보이사 등을 맡아 PR 및 광고 관련 학문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창출에 조그맣게나마 기여하고 있다.
펼치기
이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및 광고홍보학과 교수 서울 배재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석·박사 2022년 現) 한국광고학회 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이사 한국광고PR실학회 감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위원 한국콘텐츠학회 편집위원 및 이사 前) 강원언론학회 회장 한국광고PR실학회 부회장 ▣ 저서 및 논문 『방송규제정책론』, 『중국의 광고산업』, 『매스미디어와 미신』, 『신문산업진흥론』, 『미디어와 주관성』,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유형화와 광고홍보학』, 『커뮤니케이션의 비언어화 패러다임 변화』 등 다수.
펼치기
김찬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협회 정책실 연구위원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보회사 피알원 전략연구소에서 이사로 재직하며 기업 및 정부, 비영리 조직의 홍보 컨설팅을 했다. 저서로는 『사회복지 비영리조직의 기금조성을 위한 PR(Public Relations)활동의 의미공유와 기부동기』(2008)가 있다. 논문으로는 “비영리조직의 PR메시지의 상징적 의미와 공중의 의미공유에 관한 연구: 기금조성활동과 기부동기를 중심으로”(2005), “비영리조직 소명과 기금조성활동 메시지의 의미와 유형에 관한 연구: 사회서비스 비영리조직을 중심으로”(2006) 등이 있다.
펼치기
조삼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후에 1989년 제일기획에 입사하여 8년간 근무하다가 1999년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석사를 마치고, 2003년에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텍사스공과대학교 교수, 한국PR학회 16대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The moral compass of public relations(공저, 2017), 연구논문으로 “대학내부 커뮤니케이션이 재학생의 만족도, 신뢰도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연구”(2017),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in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papers”(공저, 2014), “정보원으로서의 광고주와 신문사의 관계성 연구”(공저, 2013), “Advertising as payment: Information transactions in the South Korean newspaper market”(2013), “Measurement validation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2006) 등이 있다.
펼치기
이유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커뮤니케이션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PR학회 제20대 회장, 한국외대 홍보실장, 국제교류처장, 정치행정언론대학원장을 지냈다. 구성원 커뮤니케이션, 정부-정책 PR, 국가브랜드, 공공외교 연구를 <광고학 연구> 등의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공저로는 『디지털 시대의 PR학 신론』(학지사, 2021),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광고와 PR』(한울아카데미, 2017), 『디지털 사회와 PR 윤리』(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등이 있다. 이메일: yunna.rhee@gmail.com
펼치기
박동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로 고려대 신문방송학과(現 미디어 학부) 졸업 후 미국 미시간 주립대에서 텔리커뮤니케이션 석사, 앨라배마대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 학위를 받았다.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수용자의 인지, 태도, 행동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CA), 미국커뮤니케이션 학회(NCA)에서 세 차례 최우수논문상을 받았으며, 한국PR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에서 저술상과 학술상을 받은 바 있다.
펼치기
탁재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뮌헨대학교를 졸업했으며 언론학(전공), 사회학(부전공), 정치학(부전공)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KBS에서 20년 넘게 방송정책 관련 일을 하고 있다. 이화여대, 숙명여대, 서강대, 세종대, 단국대, 건국대, 중앙대, 경희대, 외국어대, 한양대, 성균관대, 고려대, 연세대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강사를 겸직하고 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학술진흥재단 자문위원, 한국언론학회 이사, 한국방송학회 이사, 한국광고학회 이사, 한국PR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미디어 권력 이동』 등이, 역서로 『바이츠제커 회고록: 우리는 이렇게 통일했다』 등이, 주요 논문으로는 <정당PR의 현황과 진로 모색>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고, 독립기념관 이사로 재직 중이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광고PR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등의 총무이사, ≪홍보학연구≫, ≪사회과학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위기관리센터, 기획재정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국가보훈처, 국민권익위원회의 정책홍보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현대 사회와 미디어』(공저, 2014), 『Public Relations Leaders as Sensemakers』(공저, 2014)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Pluralistic Ignorance and Social Distance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in the Source-Reporter Relationship”(2012) 등 15여 편의 국외 논문들과 “트위터를 통한 정치인 자아표현과 공중과의 상호 커뮤니케이션: 고프만(E. Goffman)의 연극적 분석법과 틀 분석의 적용”(2013) 등 80여 편의 국내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노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차의과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전공 교수다. 연세대학교에서 언론학(PR)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주리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친 후 서울디지털대학교에서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로 근무했다(2009∼2013). 한국PR학회 부회장, 한국PR학회 테크놀로지연구회장,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등 학술단체 이사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비전공자의 인공지능(AI) 입문』(2022), 『인공지능 이해와 뉴스 미디어 영상분석』(2022), 『AI·메타버스 시대의 기술적·인문사회적 광고PR 전략』(2022), 『호모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2022) 등이 있다. “인간-AI 커뮤니케이션 연구주제 탐색: 챗GPT와 SMCRE 모형을 중심으로”(2023)와 “부정적 ESG 뉴스 보도와 기업 가치 변동: 생성형 AI 활용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2024) 등 다수의 연구 논문을 KCI, SSCI급 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배지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미주리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PR학 원론??(2014, 공저)이 있으며 2002년부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연구를 시작해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Public Relations Review,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광고학연구≫, ≪홍보학연구≫, ≪한국언론학보≫, ≪광고연구≫ 등에 CSR 관련 논문을 10편 이상 게재했다. 대구경북언론학회 총무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PR이론 분과장, 한국PR학회 ≪홍보학연구≫ 편집이사 등을 맡았다. 현재 한국광고학회 ≪광고학연구≫와 한국PR학회 ≪홍보학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광고연구≫ 편집위원과 한국PR학회 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오창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독일 보쿰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여러 광고 및 PR 관련 학회에서 연구이사, 총무이사, 기획이사를 역임했다. 현재는 새로운 자본주의 아래 광고와 PR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공적 가치 실현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 사회의 잘못된 마케팅 관행을 고발하고 이를 학문적 성취로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 『국제PR 기획과 사례』(편역서, 2014), 『PR학 원론』(공저, 2014), 『홍보론』(공저, 2015), 『로빙』(2015), 『마케팅이 강한 병원』(2016), 『연필로 쓰는 광고기획론』(2018), 『생산적 갈등론』(2018, eBook), 『소셜미디어와 기업의 평판관리』(2019), 『마케팅과 윤리』(2021), 『퍼블릭 어페어즈』(2022)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미디어체계의 폐쇄성과 현실 구성의 항상성”(2012), “PPL 효과 측정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2014),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PR”(2016), “한국에서의 사회갈등 논의의 의미연결망 분석”(2017), “공중의 심리적 기저 ‘인정받기’의 개념적 논의”(2017), “니클라스 루만의 분화이론으로 본 사회의 기능체계로서 스포츠, 움직임의 철학”(2018, 공동), “환경이슈의 정치화에 관한 연구”(2020, 공동)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유선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경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광고홍보학 석사, PR과 헬스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PR학회의 총무이사와 ≪홍보학연구≫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 광고홍보학회 신진학자상 등을 수상했다. 논문으로 “PR회사 보상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2015, 한국PR학회 우수논문상), “PR학에서의 우수 이론의 전개와 우리나라에서의 연구경향”(2014), “진정성 효과”(2013,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 Mapping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hip: Breadth, depth, and agenda of published research in health communication(2010)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황성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며, 동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학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했고, 미주리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PR 전공)와 박사학위(PR 전공)를 취득했다. 제일기획 PR팀의 삼성그룹 해외PR 담당 AE로 근무했다. 주요 저서로 『PR학 원론』(공저, 2014), 『정책 PR론』(공저, 2015)이 있으며, 그 밖에 다수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러한 정의들과는 달리 현대 PR은 생태학적인 정의를 통하여 PR의 활동 영역과 기능을 넓히고 있다. 생태학적인 정의(ecological definition)는 조직체를 사회라는 환경에서 서식하는 하나의 생물체로 보고 PR을 그 생물체가 환경의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조직체 내·외부를 연결하는 활동으로 본다. 조직체의 표피에서 경계 확장자 (boundary spanner) 역할을 하면서 먼저 사회 환경의 변화와 그 변화의 의미를 조직체 내에 전달하고 또 한 조직체의 활동 결과를 환경에 유리하도록 배출한다. 이를 위해 조직체 내부의 커뮤니케이션 활동도 관장한다. 외부의 기온과 날씨 변화에 따라 식물의 잎이 달라지고 동물들이 털갈이를 하듯이 조직체가 외부 사회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많은 정보를 조직체에 투입할 수 있어야 하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듯이 조직체 활동의 결과들을 사회 환경에 배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직체의 PR은 끊임없는 조사 활동을 해야 한다.
_<01 PR의 정의와 유형> 중에서


이러한 맥락에서 대중적인 신문의 등장과 독자들의 의견 제시나 확산은 공중의 형성을 위한 자연스러운 사회적 배경이 된다. 미국의 경우 19세기 초가 이러한 시기였다. 물론 그 이전에도 특정 쟁점에 대해서는 공중이 형성되었지만, 여러 가지 다양한 쟁점들에 대해 공중이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져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미국에 대중적인 신문이 등장한 시기는 1830년대였다. 1820년대에 접어들면서 중산층과 임금 노동자층이 증가하면서 기본적인 생활 문제가 해결된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찾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 가장 보편적인 정보 제공 매체인 신문은 중산층과 임금 노동자들이 구매하기에 부담스러운 가격이었다(1부당 6센트). 신문의 가격이 고가였던 것은 그 이전까지 미국 신문의 주요 독자들이 상류층이었기 때문이다.
_<03 PR의 기원과 역사> 중에서


그루닉은 우수 이론의 규범적인 성향에 대한 비판에 대해 그가 왜 규범적 이론화를 중시하는가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 바 있다. “어떤 영역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고 왜 그러한 상황이 일어나는가에 대한 탐색을 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만일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와 현상의 범주 안에서만 머무르게 된다면 그 영역의 발전이 더뎌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 인간이 위대한 이유는, 그가 현재에 머무르지 않고 이상을 품고 지금과는 다른 어떤 것에 대한 믿음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한 믿음을 실현시키기 위한 노력이 현실이 되는 것이 바로 인간 지식과 기술 진화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마치 우리가 우주에 가는 것을 상상도 하지 못했지만 해낸 것처럼, 영원할 것만 같던 노예 제도가 폐지되는 것처럼, 어떤 사회나 영역이 그냥 하던 대로 모든 것을 하는 것에만 열중한다면 발전은 없다는 것이다. 그루닉은 이러한 신념을 바탕으로 우수 이론 구축에 그의 학자적 인생을 바친 것이다.
_<05 우수 이론과 정황적 수용 이론>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49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