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30440385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15-09-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정책 PR의 이해
01 정부 행정의 현대적 개념과 의미
국가, 정부, 행정부의 개념과 기능
공공성의 특성
행정과 경영의 차이
거버넌스 등장과 지방자치제
공공 정책 집행과 행정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02 정책 PR의 개념과 변화
PR의 개념
공식적(제도적) 정책 결정 참여 공중
비공식적(비제도적) 정책 결정 참여 공중
공중의 다변화
정책 PR의 변화
03 정책 PR의 쟁점 변화와 대중매체 분석 모델: 거시적 미디어 환경
매체 환경
의제 형성 과정
프레임 형성 과정
매체 환경 변화와 정책 쟁점의 방향
04 정책 PR 전문가의 직무 역량과 자세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미디어 환경과 특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
여론조사 및 분석 능력
전략적 사고력과 창의적 아이디어 개발 능력
빠른 판단력과 유연한 대응력
종합적 커뮤니케이션 관리 능력
고도의 윤리성
2부 정책 PR의 과정
05 정책 쟁점의 파악과 제시
쟁점에 관한 구조적 이해
쟁점 파악을 위한 리서치 방법
쟁점 파악 결과의 제시
06 정책 PR 공중 분석
정책 쟁점 진행 과정에서 공중과 스테이크홀더의 개념
정책 고객 서비스 개념
공중 세분화를 위한 2차원 패러다임: 쟁점 활성화 전 단계 대 쟁점 활성화 단계
정적 또는 쟁점 활성화 전 단계에서 정책 공중 세분화
동적 또는 쟁점 활성화 상황 단계에서 정책 공중 세분화
07 정책 추진 과정과 정책 PR의 진행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정책 PR를 위한 전략적 모델
정책 추진 과정에서 목표 공중별 정책 PR 전략 수립
정책 성격에 따른 정책 PR 전략 수립
08 정책 집행과 언론 PR
정책 소비자에게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보도자료 작성
언론 브리핑
기자 인터뷰
미디어 미팅과 기자 간담회
기자회견
미디어 트레이닝
오보 대응
09 정책 PR 매체와 활용 전략
정책 PR를 위한 매체의 종류와 특성
정부의 PR 매체 활용 현황
매체 기획 전략과 효과
10 정책 집행과 정책 PR의 평가 모형
정책 PR 평가의 정의
정책 PR 평가의 특징
정책 PR 평가에 대한 오해
정책 PR 평가의 유형
정책 PR 평가 모형
국민 참여적 정책 PR 평가
3부 정책 PR의 방법
11 중앙부처 간 정책 PR의 쟁점과 사례
중앙부처의 정책 PR
예술인복지법과 도서정가제 입안 사례 분석
사례의 정책적 함축
보론: 법률안의 입법 과정
12 언론 대상 정책 PR 방법과 사례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PR 사례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 PR 사례
13 민 대상 정책 PR 방법과 사례
민 대상 정책 PR의 필요성
학교정보공시 정책 PR 사례
서울시 재개발 관련 갈등 대응 사례
국립서울병원 재건축 관련 갈등 영향 분석 사례
14 기업 대상 정책 PR 방법과 중앙 · 지방정부의 사례
고용노동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 홍보
서울시 하이서울브랜드 사업 PR
중앙과 지방정부 PR 사례의 시사점
15 외국 정부 · 외국 단체 대상 정책 PR 방법과 사례
외교 정책의 목적과 특성
지방외교 정책의 개념
정책 홍보
해외 정책 홍보-국가 이미지, 국가 명성, 국가 브랜드
해외 정책 의사 결정 요인과 해외 정책 홍보 전략적 구성과 활동
해외 홍보 커뮤니케이션 전략
해외 홍보 정책에서 쟁점과 위기관리 모델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아무리 좋은 정책이 떠올라 실행된다고 해도 정책의 좋은 취지가 국민의 동의와 협조를 얻어 내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에 정부 및 행정기관들은 함께 협조할 수 있는 공중의 도움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정책 PR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_ ‘02 정책 PR의 개념과 변화’ 중에서
갈등의 시대에 정책 PR는 갈등을 감추기 위해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갈등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려는 의도로 활용되어야 한다. 정책 PR가 성공적으로 갈등을 드러내지 못한다면 그 효과는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는 ‘갈등의 흥행’이 곧 정책 PR의 핵심 전략이라는 의미다.
_ ‘07 정책 추진 과정과 정책 PR의 진행’ 중에서
PR라는 개념을 ‘정부가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소통’으로만 국한할 필요는 없다. 중앙부처가 국회에 대해 벌이는 수많은 정책안 알리기 활동도 공식적 PR라고 봐야 한다. 그러나 중앙부처의 국회에 대한 정책 PR에 초점을 맞춘 사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_ ‘11 중앙부처 간 정책 PR의 쟁점과 사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