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책 PR론

정책 PR론

전형준, 최준혁, 유영석, 장지호, 박종민, 배지양, 황성욱, 정원준, 임종섭, 박경희, 정주용, 남태우, 조승호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800원 -0% 0원
890원
28,9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정책 PR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책 PR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30440385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15-09-01

책 소개

정책 PR의 개념과 과정, 방법을 소개하는 책. 행정과 소통 전문가 13명이 함께 토론하고 집필했다. 저자들이 각자의 전문성을 발휘해 이론과 실무를 균형 있게 다루었다. 민, 관, 언, 기업과 외국 정부.조직에 대한 정책 PR 사례를 통해 구체적 방법론도 습득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1부 정책 PR의 이해

01 정부 행정의 현대적 개념과 의미
국가, 정부, 행정부의 개념과 기능
공공성의 특성
행정과 경영의 차이
거버넌스 등장과 지방자치제
공공 정책 집행과 행정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02 정책 PR의 개념과 변화
PR의 개념
공식적(제도적) 정책 결정 참여 공중
비공식적(비제도적) 정책 결정 참여 공중
공중의 다변화
정책 PR의 변화

03 정책 PR의 쟁점 변화와 대중매체 분석 모델: 거시적 미디어 환경
매체 환경
의제 형성 과정
프레임 형성 과정
매체 환경 변화와 정책 쟁점의 방향

04 정책 PR 전문가의 직무 역량과 자세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미디어 환경과 특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
여론조사 및 분석 능력
전략적 사고력과 창의적 아이디어 개발 능력
빠른 판단력과 유연한 대응력
종합적 커뮤니케이션 관리 능력
고도의 윤리성

2부 정책 PR의 과정

05 정책 쟁점의 파악과 제시
쟁점에 관한 구조적 이해
쟁점 파악을 위한 리서치 방법
쟁점 파악 결과의 제시

06 정책 PR 공중 분석
정책 쟁점 진행 과정에서 공중과 스테이크홀더의 개념
정책 고객 서비스 개념
공중 세분화를 위한 2차원 패러다임: 쟁점 활성화 전 단계 대 쟁점 활성화 단계
정적 또는 쟁점 활성화 전 단계에서 정책 공중 세분화
동적 또는 쟁점 활성화 상황 단계에서 정책 공중 세분화

07 정책 추진 과정과 정책 PR의 진행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정책 PR를 위한 전략적 모델
정책 추진 과정에서 목표 공중별 정책 PR 전략 수립
정책 성격에 따른 정책 PR 전략 수립

08 정책 집행과 언론 PR
정책 소비자에게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보도자료 작성
언론 브리핑
기자 인터뷰
미디어 미팅과 기자 간담회
기자회견
미디어 트레이닝
오보 대응

09 정책 PR 매체와 활용 전략
정책 PR를 위한 매체의 종류와 특성
정부의 PR 매체 활용 현황
매체 기획 전략과 효과

10 정책 집행과 정책 PR의 평가 모형
정책 PR 평가의 정의
정책 PR 평가의 특징
정책 PR 평가에 대한 오해
정책 PR 평가의 유형
정책 PR 평가 모형
국민 참여적 정책 PR 평가

3부 정책 PR의 방법

11 중앙부처 간 정책 PR의 쟁점과 사례
중앙부처의 정책 PR
예술인복지법과 도서정가제 입안 사례 분석
사례의 정책적 함축
보론: 법률안의 입법 과정

12 언론 대상 정책 PR 방법과 사례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PR 사례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 PR 사례

13 민 대상 정책 PR 방법과 사례
민 대상 정책 PR의 필요성
학교정보공시 정책 PR 사례
서울시 재개발 관련 갈등 대응 사례
국립서울병원 재건축 관련 갈등 영향 분석 사례

14 기업 대상 정책 PR 방법과 중앙 · 지방정부의 사례
고용노동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 홍보
서울시 하이서울브랜드 사업 PR
중앙과 지방정부 PR 사례의 시사점

15 외국 정부 · 외국 단체 대상 정책 PR 방법과 사례
외교 정책의 목적과 특성
지방외교 정책의 개념
정책 홍보
해외 정책 홍보-국가 이미지, 국가 명성, 국가 브랜드
해외 정책 의사 결정 요인과 해외 정책 홍보 전략적 구성과 활동
해외 홍보 커뮤니케이션 전략
해외 홍보 정책에서 쟁점과 위기관리 모델

저자소개

전형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미주리주립대Columbia 저널리즘스쿨에서 박사를 받고 갈등 커뮤니케이션, 정책 PR 등의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현재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연구교수이며, 미국 Pepperdine University, Straus Institute for Dispute Resolution의 갈등조정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이 수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미디어 이용과 공공갈등 인식의 상관관계 분석」「The Korean press and Hwang’s fraud」 등이 있으며, 정책홍보 선진화 방안, 공군 갈등관리 매뉴얼 연구용역 등 여러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펼치기
최준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와 서울대학교에서 PR(public relations)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 PR컨설팅을 제공했다. 저서로 <한국의 PR 연구 20년>(공저, 2016), <반기업 정서와 커뮤니케이션>(공저, 2015), <정책 PR론>(공저, 2015), (공저, 2014, 한국PR학회 제2회 저술상 수상작), <실행이 탄탄해지는 PR기획>(2008) 등이 있으며, 정책 홍보혁신포럼과 <이젠 정책e 홍보다>(2005, 2005년 한국PR대상 PR 연구개발 부문 우수상)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역서로는 <스테이크홀더>(공역, 2008), <여론의 법정에서>(공역, 2006), <미디어 트레이닝>(공역, 2005), (공역, 2005,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반기업정서, 브랜드관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다. PR에 관심 있으며, PR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PR에 관한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 보노(pro bon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 10월에 국내 최초의 PR 팟캐스트 “최준혁의 PR토크”를 개설해 현재도 진행 중이다. 또, 여러 공공기관의 자문위원을 맡아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2013년부터는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한국광고PR실학회, 한국OOH광고학회, 한국광고학회 등의 총무이사, 편집이사, 연구이사, 기획이사, 홍보이사 등을 맡아 PR 및 광고 관련 학문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창출에 조그맣게나마 기여하고 있다.
펼치기
유영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를 졸업하고 2008년 현재 레인보우커뮤니케이션 대표, 경기도 투자유치 자문위원, 국립농산물품질관리 홍보 자문위원. 『여론의 법정에서: 소송PR의 활용』 공동 번역
펼치기
장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박종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고, 독립기념관 이사로 재직 중이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광고PR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등의 총무이사, ≪홍보학연구≫, ≪사회과학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위기관리센터, 기획재정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국가보훈처, 국민권익위원회의 정책홍보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현대 사회와 미디어』(공저, 2014), 『Public Relations Leaders as Sensemakers』(공저, 2014)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Pluralistic Ignorance and Social Distance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in the Source-Reporter Relationship”(2012) 등 15여 편의 국외 논문들과 “트위터를 통한 정치인 자아표현과 공중과의 상호 커뮤니케이션: 고프만(E. Goffman)의 연극적 분석법과 틀 분석의 적용”(2013) 등 80여 편의 국내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배지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미주리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PR학 원론??(2014, 공저)이 있으며 2002년부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연구를 시작해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Public Relations Review,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광고학연구≫, ≪홍보학연구≫, ≪한국언론학보≫, ≪광고연구≫ 등에 CSR 관련 논문을 10편 이상 게재했다. 대구경북언론학회 총무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PR이론 분과장, 한국PR학회 ≪홍보학연구≫ 편집이사 등을 맡았다. 현재 한국광고학회 ≪광고학연구≫와 한국PR학회 ≪홍보학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광고연구≫ 편집위원과 한국PR학회 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황성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며, 동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학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했고, 미주리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PR 전공)와 박사학위(PR 전공)를 취득했다. 제일기획 PR팀의 삼성그룹 해외PR 담당 AE로 근무했다. 주요 저서로 『PR학 원론』(공저, 2014), 『정책 PR론』(공저, 2015)이 있으며, 그 밖에 다수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다.
펼치기
정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PR학 전공 교수이다. 연세대학교(B.S.), Illinois State University(M.A.) 그리고 Purdue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학과에서 PR학 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University of Louisiana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세부 연구 분야는 국정 PR, 정부·정책 PR, 빅데이터 분석 기반 공공PR, 투자자 관계(IR), 지역 관계, 이슈·위기·쟁점·갈등 관리, 국제 PR 등이다. 저서로『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공저, 학 지사, 2021),『빅데이터의 분석 방법과 활용』(공저, 학지사, 2020),『광고홍보 교육의 현재와 미래』(공저, 한경사, 2019),『디지털 사회와 PR 윤리』(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정책 PR론』(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등이 있고, 국내외 다수의 저널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펼치기
임종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연합뉴스에서 사회부와 경제부 기자로 활동했다. 미국의 명문 저널리즘학교인 미주리콜롬비아대학(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에서 언론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로 학부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계학습 기반의 텍스트 마이닝’, ‘융합적 미디어 글쓰기’, 대학원에서 ‘데이터 저널리즘’, ‘텍스트 마이닝 기법’, 언론대학원에서 ‘빅데이터와 디지털뉴스’, ‘텍스트 마이닝과 시각화’ 과목을 가르친다. 그는 학위과정에서 컴퓨터 활용 보도(CAR)를 배웠고 2016년 연구년에 미국 캔자스대학(University of Kansas)에서 R과 파이썬을 공부해 관련 논문들을 발표했다. 데이터 저널리즘, 뉴스 생산, 복잡성 이론에 관심이 있다. New Media & Society,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Journalism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등 유명 SSCI 학술지와 한국언론학보 등 국내 KCI 학술지에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데이터 저널리즘』, 『소셜 미디어와 언론의 관계성』,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지평』 등 다수 이론서를 출간했다.
펼치기
박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통령직속위원회 전략홍보팀장
펼치기
정주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통대학교 행정정보학과 교수
펼치기
남태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펼치기
조승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글로벌통상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제아무리 좋은 정책이 떠올라 실행된다고 해도 정책의 좋은 취지가 국민의 동의와 협조를 얻어 내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에 정부 및 행정기관들은 함께 협조할 수 있는 공중의 도움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정책 PR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_ ‘02 정책 PR의 개념과 변화’ 중에서

갈등의 시대에 정책 PR는 갈등을 감추기 위해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갈등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려는 의도로 활용되어야 한다. 정책 PR가 성공적으로 갈등을 드러내지 못한다면 그 효과는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는 ‘갈등의 흥행’이 곧 정책 PR의 핵심 전략이라는 의미다.
_ ‘07 정책 추진 과정과 정책 PR의 진행’ 중에서

PR라는 개념을 ‘정부가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소통’으로만 국한할 필요는 없다. 중앙부처가 국회에 대해 벌이는 수많은 정책안 알리기 활동도 공식적 PR라고 봐야 한다. 그러나 중앙부처의 국회에 대한 정책 PR에 초점을 맞춘 사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_ ‘11 중앙부처 간 정책 PR의 쟁점과 사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4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