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와 리얼리즘

영화와 리얼리즘

이소현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800원 -0% 2,500원
290원
12,0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200원 -10% 610원 10,370원 >

책 이미지

영화와 리얼리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와 리얼리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5816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16-11-07

책 소개

한국언론정보학회지식총서. 서사적 내러티브에 충실한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부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가능해진 하이퍼리얼리즘까지 영화사를 관통해 온 리얼리즘론을 살펴본다.

목차

영화는 현실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01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
02 영화 장치와 관객
03 영화와 이데올로기
04 사회적 리얼리즘
05 네오리얼리즘
06 리얼리즘의 미학
07 시네마베리테
08 뉴웨이브 영화
09 과잉현실
10 디지털 기술과 리얼리즘

저자소개

이소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캔자스대학교(University of Kansas)에서 영화·미디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대중문화, 영상콘텐츠, 비판커뮤니케이션, 소수자와 미디어 연구 등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주요 저술로는 『영화와 리얼리즘』,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화가 현실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이 질문은 뤼미에르 형제(Lumiere Brothers)의 <열차의 도착(L’Arriv?e d’un train en gare de La Ciotat)>(1895)에서부터 21세기 SF영화 <인터스텔라(Interstella)>(2014)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화에 해당된다. 이 오랜 질문에 대한 다양하고도 상이한 접근들은 리얼리즘(realism)과 형식주의(formalism)라는 두 갈래의 이론적 흐름 속에 자리 잡았다. 리얼리즘이 현실의 객관적 재현이라는 영화의 특수성에 초점을 두고 그 의미 작용과 함의를 고민하는 것이라면, 형식주의는 현실과의 차이(difference?from?reality)로서 예술을 규정하고 영화적 스타일과 기법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리얼리즘 진영의 접근은 현실을 개입 없이 보여 주는 방식으로 미장센(mise?en?scene)과 촬영에 대한 관심을 표출했던 반면, 형식주의자들은 영화의 창의성과 예술가의 개성을 보여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몽타주(montage)와 편집에서 찾았다.
“영화는 현실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중에서


관객이 느끼는 영화적 쾌락 중에서 지배적인 것은 관음증과 페티시즘인데, 정신분석학에서 이 두 가지 쾌락은 남성이 거세 공포(castration anxiety)를 이겨내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된다. 먼저 관음증은 상대방이 모르게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스크린 앞의 관객은 관음증적 위치(voyeuristic position), 즉 스크린에 나타나는 인물들을 몰래 지켜보며 즐거움을 느끼는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페티시즘은 육체의 일부분, 주로 여성의 육체에 과잉적인 의미 부여와 집착을 보이는 것을 말하는데, 가슴, 다리 등 여성의 신체적 특징을 부각하는 의상 및 분장, 그리고 여성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클로즈업과 분절적인 숏들의 연결 등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영화 장치와 관객” 중에서


보드리야르(1995)가 관심을 가졌던 1차 걸프전의 미디어 재현 양상은 시뮬라시옹과 과잉현실에 관한 논의를 더욱 확대시켰다. 전쟁의 현실이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게임과 같은 가상 이미지로 재현되었으며, 인명 학살을 게임의 목표물 제거로 환원시키는 새로운 언술 체계는 이미지와 현실에 대한 혼란을 가중시켰던 것이다. 이런 변화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들 중 하나로, 시대 전반에 드러나는 확실성과 진리의 상실을 반영한다. 과잉현실에 대한 관심은 물리적 실재의 재현이라는 영화 리얼리즘의 전제를 뒤흔들었을 뿐 아니라 <매트릭스(The Matrix)>(1999), <트루먼 쇼(The Truman Show)>(1998) 등 가상과 현실의 분리 불가능성을 다루는 대중 영화들의 인기를 가져오기도 했다.
“과잉현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