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 격차

미디어 격차 (양장)

(사회적 불평등의 새로운 흐름과 탐색)

김미경, 김은진, 조인숙, 김소형, 이소현, 장은미, 이경숙, 장미화, 최은경, 신정아, 채정화, 육은희 (지은이),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엮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390원
38,6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디어 격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 격차 (양장) (사회적 불평등의 새로운 흐름과 탐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3357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11-15

책 소개

인터넷으로부터 시작해 빅데이터, 인공지능에 관한 격차 이슈까지 아우르며 우리 사회에서 기술과 미디어로 인해 발생하는 격차를 다면적으로 파헤친다.

목차

제1부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미디어 격차
제1장 디지털 불평등: 연속선상의 레거시 불평등과 신종 불평등
제2장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격차 담론
제2부 미디어 이용과 사회문화적 격차
제3장 뉴스 이용과 정치사회화 격차
제4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교육 격차
제5장 소수자의 재현과 디지털 격차
제6장 디지털 공간의 젠더 정치학
제3부 미디어 산업에서의 격차
제7장 미디어 산업의 불안정 고용
제8장 글로벌 영상 플랫폼과 문화 소비
제4부 미디어 리터러시와 포용사회
제9장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
제10장 디지털 시민과 콘텐츠 액티비즘의 실천
제11장 알고리즘 리터러시와 이용자의 데이터 주권
제12장 포용사회를 위한 디지털 참여 거버넌스

저자소개

채정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ICT법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고,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KBS부산방송총국에서 구성작가로 활동했으며, MBC,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정부 유관 연구기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미디어 산업 및 정책, 법제 분야로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과 AI 알고리즘에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검색 알고리즘은 표현(speech)으로서 헌법적 보호 대상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적 고찰」, 「유료방송플랫폼사업자와 홈쇼핑채널사업자 간 송출수수료 적정성에 관한 법경제학적 분석」 등 검색알고리즘과 유료방송플랫폼 관련 법제도 관련 연구들이 있다. 저서로는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다플랫폼 다채널시대 통일방송』(공저)이 있다.
펼치기
신정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 세계문화예술경영전공 특임교수다. 덕성여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대에서 들뢰즈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지털 다큐멘터리 분석으로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방송작가로 활동하면서 400여 편의 TV 교양다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집필했으며, 한신대학교 초빙교수, OBS 시청자평가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기획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뉴미디어와 디지털콘텐츠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반교: 디텐션(返校, Detention)’의 미디어소통과 진정한 타자-되기: 게임과 영화를 중심으로」, 「1인 미디어의 콘텐츠 액티비즘 실현과 소통: 유튜브 <생각많은 둘째언니> 채널을 중심으로」, 「로컬콘텐츠 기획 및 제작방안 연구: 이문동 문화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족 여성 재현과 돌봄의 윤리」 등이 있다. 저술로는 『뉴미디어와 스토리두잉』,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로컬콘텐츠와 컬처매핑』(공저), 『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정아의 다른 책 >
이소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캔자스대학교(University of Kansas)에서 영화·미디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대중문화, 영상콘텐츠, 비판커뮤니케이션, 소수자와 미디어 연구 등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주요 저술로는 『영화와 리얼리즘』,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강사다.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학사,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고, 젠더·어펙트연구소 전임연구원을 거쳤다. 미디어, 젠더, 광고, PR, 대중문화,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에로비디오의 사회사: 애마부인에서 소라넷까지』(공저, 2018), 『미디어 격차-사회적 불평등의 새로운 흐름과 탐색(공저, 2021)』, 『연결(불)가능한 신체의 역사』(공저, 2022) 등이 있으며, 논문은 “미디어 속 여성 스포츠의 서사와 재현-SBS 예능 <골 때리는 그녀들>을 중심으로”(2022), “인플루언서를 팔로우하는 동기 유형 연구”(2022), “‘유튜브 육아’ 연구-육아 과정에서 어머니의 유튜브 이용과 통제”(2021), “노인들의 SNS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카카오톡을 중심으로”(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장미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21세기 영상 문화, 영화의 포스트시네마로서 매체적 진화에 대해 연구해 왔다. 대학에서 인공지능과 영화에 대한 사고를 진작하는 강의, 인문콘텐츠학, 문화 산업과 스토리텔링, 동서양 복식, 음식 문화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상 예술학 박사 학위를, 파리1대학 조형예술 과학 대학원에서 영화의 시간성의 문제를 다룬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히치콕에게 묻고 싶은 것들』(2013), 『디지털 영화와 들뢰즈의 시간-이미지』(2019), 『앨프레드 히치콕의 서스펜스 테크닉』(2021), 『미디어 격차』(2021), 『포스트시네마가 사유하는 인공지능』(2024)이 있다. 학술 분야에서는 “<블랙 스완> 몰핑 기술을 통해 본 포스트시네마의 신경 이미지적 특성”(2021)을 포함해 여러 편의 논문을 출간했다.
펼치기
김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중앙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역방송발전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충청언론학회장, 충남지역미디어발전위원,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연구이사를 맡고 있다. 최근의 연구 분야는 플랫폼과 데이터격차, 알고리즘과 편향성 및 지역언론발전에 대한 것이다.
펼치기
조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한양대학교 빅데이터연구센터 연구교수다. 국민대학교에서 언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매일경제신문사에서 기자로 일했고, 현재 SR타임스에서 논설위원으로 글을 쓰고 있으며 한국언론학회 저널리즘연구회 총무로 활동 중이다. 연구 분야는 저널리즘, 미디어 효과, 미디어와 공격성 간의 관계, 빅데이터다.
펼치기
김소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초빙교수로, 같은 대학 BK21 박사후연구원과 연구교수를 지냈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現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영국 서섹스대학교에서 『Between the Private and the Public : Affective Politics, Media and Public Engagement in Contemporary Korea』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치적 에이전시로서의 감정과 대중문화, 시민의 정치사회화 맥락, 미디어의 사회적 기억구성 방식에 관해 연구했다. 현재 KBS 시청자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며, AI 미디어와 격차, 미디어의 사회소수자 재현 방식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장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여성주의미디어연구를 전공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여성학협동과정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디어와 젠더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정치권력과 젠더: ‘여성’ 대통령 박근혜 이미지를 중심으로」(공저),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 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공저), 「예능 프로그램의 언니들: 여성성의 일탈과 확장」(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최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과 e스포츠융합전공 대학원 교수다.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골드 스미스 런던대학교(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에서 TV저널리즘 석사학위를 영국 러프버러(Loughborough University)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TV 저널리즘과 방송 및 뉴미디어를 연구했으며, SBS 시청자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최근 게임과 스포츠 그리고 뉴미디어와 ICT의 융합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육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이다.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언론학)를 받았다. 「오보 속 사건의 윤리성과 정정보도의 책임 귀인이 인물과 매체에 대한 평가 변화에 미치는 영향」, 「WHO의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화 이후 언론의 게임 보도에 대한 내용 분석」, 「시간분할성 및 감각추구성향이 드라마 몰아보기에 미치는 영향: 장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요 관심 및 연구 분야는 미디어 심리, 뉴미디어 이용과 효과, 온라인 게임, 디지털 격차와 사회적 포용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신종 디지털 불평등은 레거시 디지털 불평등의 연속선상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인간의 기본권으로서 광대역(broadband) 접근권을 옹호하며 논의했던 디지털 불평등 개념은 새로운 지평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신종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이 경제, 노동에 영향을 미치고,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의 이용이 새로운 유형의 불평등을 낳고 있다. _ “제1장 디지털 불평등”


최근 SNS에서 “어머니가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을 못해 ‘엄마는 이제 끝났다’며 우셨다”는 글이 화제가 되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복잡한 기기가 등장하고, 사람들이 그것에 적응할 틈도 없이 더 새로운 기기가 등장한다. 음성인식이나 터치패드 기능 등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발전하지만, 사람들이 새로운 기기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자신의 목적에 맞춰 능숙하게 사용할 가능성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_ “제2장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격차 담론”


과학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사람들이 더 자주, 더 많이 뉴스를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뉴스를 더 찾게 되는 법이다. 불확실성 감소 이론(uncertainty reduction theory)에 따르면, 정보의 부재나 불충분으로 인해 발생한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정보를 탐색한다 _ “제3장 뉴스 이용과 정치사회화 격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