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3357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11-15
책 소개
목차
제1부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미디어 격차
제1장 디지털 불평등: 연속선상의 레거시 불평등과 신종 불평등
제2장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격차 담론
제2부 미디어 이용과 사회문화적 격차
제3장 뉴스 이용과 정치사회화 격차
제4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교육 격차
제5장 소수자의 재현과 디지털 격차
제6장 디지털 공간의 젠더 정치학
제3부 미디어 산업에서의 격차
제7장 미디어 산업의 불안정 고용
제8장 글로벌 영상 플랫폼과 문화 소비
제4부 미디어 리터러시와 포용사회
제9장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
제10장 디지털 시민과 콘텐츠 액티비즘의 실천
제11장 알고리즘 리터러시와 이용자의 데이터 주권
제12장 포용사회를 위한 디지털 참여 거버넌스
저자소개
책속에서
신종 디지털 불평등은 레거시 디지털 불평등의 연속선상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인간의 기본권으로서 광대역(broadband) 접근권을 옹호하며 논의했던 디지털 불평등 개념은 새로운 지평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신종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이 경제, 노동에 영향을 미치고,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의 이용이 새로운 유형의 불평등을 낳고 있다. _ “제1장 디지털 불평등”
최근 SNS에서 “어머니가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을 못해 ‘엄마는 이제 끝났다’며 우셨다”는 글이 화제가 되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복잡한 기기가 등장하고, 사람들이 그것에 적응할 틈도 없이 더 새로운 기기가 등장한다. 음성인식이나 터치패드 기능 등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발전하지만, 사람들이 새로운 기기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자신의 목적에 맞춰 능숙하게 사용할 가능성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_ “제2장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격차 담론”
과학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사람들이 더 자주, 더 많이 뉴스를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뉴스를 더 찾게 되는 법이다. 불확실성 감소 이론(uncertainty reduction theory)에 따르면, 정보의 부재나 불충분으로 인해 발생한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정보를 탐색한다 _ “제3장 뉴스 이용과 정치사회화 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