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91130460925
· 쪽수 : 837쪽
· 출판일 : 2015-02-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xi
제1부 자본주의 사회에서 농업 발전
제1장 서론 ····················3
제2장 농민과 공업 ················10
제3장 봉건시대의 농업 ··············22
a) 삼포식 경작 ················22
b) 지주의 대경영에 의한 삼포식 경작의 축소 ···25
c) 농민은 극빈층이 된다 ············35
d) 삼포식 경작 체계는 농업의 견딜 수 없는 질곡이 된다 ···············44
제4장 현대 농업 ·················50
a) 육류 소비와 육류 생산 ···········50
b) 윤작경제. 분업 ···············57
c) 농업에서 사용되는 기계 ···········65
d) 거름, 박테리아 ···············82
e) 농업, 하나의 과학 ·············89
제5장 현대 농업의 자본주의적 성격 ·········95
a) 가치 ···················95
b) 잉여가치와 이윤 ·············103
c) 차액지대 ·················116
d) 절대 지대 ················127
e) 토지 가격 ················137
제6장 대경영과 소경영 ··············158
a) 대경영의 기술적 우위 ···········158
b) 소농가의 과잉노동과 과소소비 ·······185
c) 협동조합 제도 ··············207
제7장 자본주의적 농업의 한계들 ·········232
a) 통계 데이터 ···············232
b) 공업에서 소기업의 몰락 ··········247
c) 토지의 제한성 ··············255
d) 대기업이 반드시 더 나은 것은 아니다 ····259
e) 라티푼디움 ················269
f) 노동력의 부족 ···············280
제8장 농민의 프롤레타리아화 ···········296
a) 토지의 소분할 경향 ············296
b) 농민 부업의 여러 형태 ···········315
제9장 상품 생산 농업의 증대하는 어려움 ······351
a) 지대 ···················351
b) 상속권 ··················357
c) 신탁유증과 일자상속법 ··········360
d) 도시의 농촌 착취 ·············375
e) 농촌 들녘의 인구 감소 ···········386
제10장 국제 식량 경쟁과 농업의 공업화 ······419
a) 수출 공업 ················419
b) 철도 체제 ················425
c) 식량 분야의 경쟁 ·············433
d) 곡물 생산의 후퇴 ·············450
e) 공업과 농업의 통일 ············467
f) 공업의 농업 축출 ·············507
제11장 미래 전망 ················533
a) 발전의 추진 동력 ·············533
b) 사회주의적 농업의 요소들 ·········542
제2부 사회민주적 농촌 정책
제1장 사회민주주의에는 농촌 강령이 필요한가? ···553
a) 농촌으로! ················553
b) 농민과 프롤레타리아 ···········557
c) 계급투쟁과 사회 발전 ···········578
d) 토지 국유화 ···············586
e) 삼림과 하천의 국유화 ···········598
f) 촌락공산주의 ···············604
제2장 농촌 프롤레타리아트의 보호 ········616
a) 공업 및 농업 사회 정책 ···········616
b) 단결권, 고용자 조례 ············619
c) 어린이 보호 ···············624
d) 학교 ···················648
e) 여성노동 ·················664
f) 이주노동 ·················669
g) 정상 노동일과 시간, 일요일 휴무 ······679
h) 주거 문제 ················689
i) 소작료 ··················699
제3장 농업의 보호 ················702
a) 기업가 이해관계의 대변자가 아닌 사회민주주의 ·················702
b) 봉건적 특권. 수렵권 ············705
c) 산재 농지 ················712
d) 토지 개량 ················718
e) 전염병 극복 노력 ·············723
f) 국가보험 ·················727
g) 협동조합, 농업 교육제도 ··········735
제4장 농촌 인구의 보호 ·············740
a) 경찰국가의 문화국가 전환 ·········740
b) 자치행정 ·················745
c) 군사주의 ·················746
d) 학비, 구빈세, 통행세 등의 국유화 ······753
e) 무료 소송 ················758
f) 현대 문화국가의 비용 ···········764
g) 부르주아적 조세 정책과 프롤레타리아적 조세 정책 ···············770
h) 농민 계층의 중립화 ············791
제5장 사회혁명과 토지 소유자의 수탈 ·······797
a) 사회주의와 소농 ·············797
b) 자기 집의 미래 ··············810
해설 ······················819
지은이에 대해 ··················831
옮긴이에 대해 ··················836
책속에서
400마르크의 화폐소득이 있는 소농을 생각해 보자. 그는 집세를 내지 않고 식량의 상당 부분을 직접 생산한다. 그는 필시 넉넉하게 생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가 불행히 프롤레타리아트로 내던져질 수 있다. 그는 도시로 들어가야 하고, 거기서 연소득 800마르크를 받는 일자리를 구한다. 소득은 두 배가 되었는데도 그의 형편은 악화될 수 있다. 그는 이제 집세를 내야 하고, 필시 일터에 출퇴근하는 철도 요금도 내야 한다. 예전에는 아무런 돈도 들지 않았던 우유, 계란, 채소, 돼지고기를 이제는 비싼 돈을 주고 사야 한다. 자식들은 더 이상 맨발로 뛰어다닐 수 없고, 더 나빠진 위생 조건은 의사와 약사에게 더 많은 지출을 요구한다. 그러나 소득 통계자에게는 그 사람이 지금 예전보다 두 배로 좋은 형편에 있으며, 주민의 복지가 꾸준히 증가한다는 증거가 반박할 수 없이 제출된 것이다.
확실한 것은 농촌 위기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더 이상 중단되지 않으리란 것, 그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고정 재고에 속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서유럽의 농업을 짓누르던 자본주의의 부담이 이제는 합중국, 러시아 등 경쟁자들도 짓누르기 시작한다면, 이것이 입증하는 것은 서유럽에서 농촌 위기가 끝나 간다는 것이 아니라 그 영역이 점점 더 확장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