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배수찬의 서양 고전 읽기 1](/img_thumb2/979113047267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30472676
· 쪽수 : 596쪽
· 출판일 : 2017-01-1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xxi
머리말······················xxiii
이 책의 서양 고전 인용 방식에 대하여·········xxxi
가상 대담: 등장인물들이 직접 들려주는 서양 문화 이야기························· xli
1장 문학, 역사, 철학을 꽃피운 희랍 세계: 기원전 3세기까지
호메로스
전쟁을 통해 고대인들의 심성을 그리다·······12
≪일리아스≫··················24
아이스킬로스
전쟁의 후일담을 비극으로 형상화하다········42
니체, 희랍 비극 일반론, ≪비극의 탄생≫······47
오레스테스 3부작·················64
소포클레스
비극을 완성해 인간의 운명을 묻다·········80
오이디푸스 3부작·················86
에우리피데스
비극을 세속화하고 인기 작가가 되다·······106
<바쿠스의 여신도들>·············112
헤로도토스
인류 최초의 역사가가 되다············120
≪역사≫···················124
투키디데스
아테나이와 희랍 문명의 몰락을 증언하다·····136
≪펠로폰네소스 전쟁사≫············139
소크라테스
인간의 내면과 지성을 발견하다··········150
저자 여럿,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157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학문 편력>, ≪파이돈≫··174
플라톤
올바름을 향한 성스러운 탐구에 헌신하다·····184
≪국가≫···················190
아리스토텔레스
세상의 모든 실용학문을 창시하다·········204
≪범주론≫, ≪명제론≫·············212
≪자연학≫··················231
논술하기: 아리스토텔레스는 세계를 바라보는 데서 어떤 진전을 이루었는가···············246
알렉산드로스 대왕
희랍 세계의 지혜를 세계에 퍼뜨리다·······252
유대인 70인, ≪구약성서 희랍어역: 셉투아진타≫··256
에피쿠로스
욕망을 긍정하는 세속의 철학을 하다·······270
키케로, <에피쿠로스학파 비판>, ≪신들의 본성에 대해≫····················276
2장 기독교 이전의 로마, 헬레니즘 문명을 수입한 라틴어 문화 건설: 기원전 2∼기원전 1세기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희랍의 지혜를 라틴어로 옮기다·········· 292
≪의무론≫·················· 302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로마를 제국화하는 기틀을 다지다········· 314
≪갈리아 전쟁기≫··············· 319
베르길리우스
로마 문명의 자부심을 노래하다·········· 330
≪아이네이스≫················ 335
3장 로마 제국과 기독교의 성장, 라틴어권의 기독교화: 1∼5세기
사도 파울로스
희랍어 서간으로 기독교를 확립하다········ 364
<로마인들에게 보내는 편지>·········· 369
아리우스
정통 기독교의 수립 과정에서 이단으로 몰리다···380
기번, <아리우스주의 논쟁>, ≪로마제국 쇠망사≫· 384
히에로니무스
기독교 성서를 라틴어로 번역해 중세를 열다···· 400
≪유스토키움 양에게≫············· 408
아우구스티누스
기독교의 정통 교리를 라틴어로 기록하다····· 414
≪고백록≫·················· 421
4장 서유럽의 가톨릭화 및 스콜라 철학의 번성: 5∼13세기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관념실재론에 입각해 신을 증명하다········ 446
≪프로슬로기온≫··············· 451
아베로에스
유럽 세계에 아리스토텔레스를 역수출하다····· 460
마이클 스콧 외, 아리스토텔레스 번역······· 463
토마스 아퀴나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성으로 신앙을 옹호하다···· 476
≪신학대전≫················· 482
단테 알리기에리
중세 가톨릭 사상의 정점을 찍다········· 492
≪신곡≫··················· 496
주요 희랍어 목록·················· 513
참고문헌····················· 521
저자소개
책속에서
플라톤의 철학이 희랍 철학의 핵심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그가 살았던 시기는 영광스러운 아테나이의 전성기가 아니었다. 플라톤은 한창 젊은 시절인 스물셋의 나이에 아테나이의 몰락을 지켜보았으며, 스물여덟 살 되던 해에는 아테나이 시민들이 스승 소크라테스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모습을 똑똑히 지켜보았다. 사실 그의 철학은, 현세에 대한 환멸의 철학이라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니다. 이후 그는 글 쓰는 기계처럼 평생을 학문 저술에 바쳤으며, 모든 저술을 대화 형식으로 했다. 마지막 저술 ≪법률≫을 제외한 모든 작품에서 소크라테스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다. 스승에 대한 사랑과 탁월한 글재주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아테나이 최고의 귀족 가문에 속했으니 마음만 먹으면 현실 정치에 얼마든지 참여할 수 있었고, 시라쿠사에서 잠시 이상을 펼치고자 노력했던 적도 있지만, 생애 대부분을 학문과 저술, 교육에 바쳤다. 그는 경험적 현실 세계보다 이상을 더 좋아했다. 지나치게 진지했고, 장가도 안 갔으며, 학문 가운데서도 가장 엄밀하고 이성적인 수학을 사랑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진짜라고 믿거나, 민주주의를 부정하거나, 이상주의적인 독재국가를 꿈꾸는 등,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불합리한 면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철학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이후의 모든 철학에 발판을 제공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