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태도의 품격](/img_thumb2/979113062572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3062572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9-09-2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때로는 실수로, 때로는 고의로 일어나는 무례한 행동들
1장. 존중하는 태도: 예의는 존중에서 시작된다
사람들은 직장을 떠나는 게 아니라 사람을 떠난다
경험의 차이를 받아들이는 방법
차별 없이 동등하게 존중을 표한다는 것
2장. 사교의 기술: 아주 짧은 시간에 호감을 주는 법
이상적인 직원의 첫 번째 조건 ‘인성’
직접 만나지 않고도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
모든 면접에 완벽히 대처하는 방법
‘옛날 사람’과 ‘요즘 것들’
완전히 새로운 세대가 온다
3장. 프로다운 자세: 어디서나 누군가는 반드시 나를 판단하고 있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알려야 할 당신의 ‘퍼스널 브랜드’
때때로 태도는 사실 그 자체보다 중요하다
우선 포장으로 관심을 끌어야 할 때도 있다
집을 나서는 순간, 우리는 쇼윈도에 전시된다
4장. 매너 있는 행동: 모든 회사생활은 매너에서 시작된다
당신의 출근 첫날을 위한 현실적인 가이드
사소하지만 꼭 피해야 할 매너 없는 행동
눈에 띄는 성과가 없는 회의
회사생활은 ‘팀’으로 움직인다
업무 공간의 혁명이 준 효과
점차 다양해지는 근무 환경에서도 잊지 말아야 할 것
지속적 번아웃을 방지하는 태도의 힘
리더들은 복지의 힘을 알고 있다
점점 더 삭막해지는 회사생활에서 살아남으려면
5장. 대화의 정석: 말 한 마디로도 충분한 소통의 기술
지루함이 드러나는 표정부터 감춰라
상대를 존중한다면 눈 맞춤을 조절하라
막힘 없이 비즈니스 대화를 이어가는 기술
듣기 싫은 목소리, 듣기 싫은 말투
가장 중요한 경청의 기술
변하지 않는 당신만의 습관을 만들어라
내가 생각하는 불변의 진리
6장.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스마트한 도구를 활용하는 스마트한 규칙
언제 어디서든 사람을 안심시키는 목소리
끝없이 이어지는 이메일에 대한 불만
꼼꼼하게 따져봐야 하는 문자메시지
온라인에 새겨진 선명한 발자국
소셜 미디어에서 명심해야 할 세 가지 P
하나도 복잡하지 않은 소셜 미디어
디지털 디톡스
7장. 비즈니스 미팅: 격식이 필요한 순간에 대처하는 법
비즈니스의 80%는 식사 자리에서 이루어진다
좋은 인상을 남기는 테이블 매너
비즈니스 목적에 따라 접대도 달라져야 한다
조금만 알아둬도 충분한 와인 지식
회식에서의 행동은 모두에게 기억된다
에필로그: 프로의 세계에서 ‘태도’는 가장 강력한 메시지다
감사의 말
참고문헌
책속에서
여러 세대가 모여 있어 오해가 생길 여지가 다분한 직장 환경에서 사람들은 때로는 실수로, 때로는 고의로 무례한 행동들을 저지른다. 직장인 열 명 중 아홉 명이 회사에서 무례한 취급을 당하거나 목격한 적이 있고 직장에서 벌어지는 예의 없는 행동 때문에 기업들이 지출하는 비용은 미국에서만 매년 3000억 달러에 이른다. 그럼 어떻게 하면 서로 다른 세대의 구성원들이 직장을 바라보는 이질적인 시선을 하나로 조화시킬 수 있을까? 서로 간의 오해를 줄이고 모두가 존중받는 기업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_ 프롤로그 ‘때로는 실수로, 때로는 고의로 일어나는 무례한 행동들’ 중에서
예의는 존중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며, 존중은 상대방을 높게 대할 때 생겨난다. 존중이라는 기본 조건을 갖추지 않으면 제아무리 예의 바른 행동도 가식적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우리가 존중해야 할 범위에는 타인의 사생활이나 개인적인 공간부터 재산, 관점, 철학, 종교, 성별, 나이 그리고 성격이 모두 포함된다는 점을 명심하자.
_ 1장 ‘존중하는 태도’ 중에서
단순히 똑똑한 구성원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고 해서 능력 있는 팀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결정적 요소는 오히려 각 구성원들의 평균적인 사회지각능력, 즉 인성이었다. 「이상적인 직원 의 15가지 특징」이라는 제목의 《포브스》 기사에는 “가장 지능적인 회사는 미래의 성공에 투자하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직원의 역량으로 ‘인성’을 꼽는다”라는 내용이 실렸다.
_ 2장 ‘사교의 기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