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91130806617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16-06-22
책 소개
목차
제1장 들어가며
1. 원전확인과 공간에 대한 전망 15
2. 논의의 배경과 방향 23
제2장 현대시 연구와 공간이론
1. 공간이론의 실재 39
2. 시에 나타난 공간의 특성 50
제3장 순환과 공동체의 공간
1. 순환의 공간 61
1) 떠남과 되돌아옴 61
2) 평등한 삶을 향한 의지 78
2. 공동체의 공간 93
1) 민중의 형상 93
2) 남도의식의 실제 115
제4장 반성과 의지의 공간
1. 반성의 공간 133
1) 5월 광주의 후유증 133
2) 죄의식에서 벗어나기 159
2. 의지의 공간 175
1) 지리산, 역사적 삶의 현장 175
2) 삶의 희망 찾기 196
제5장 초월과 생태의 공간
1. 초월의 공간 215
1) 길의 내포 215
2) 미지의 세계 227
2. 생태의 공간 234
1) 환경오염과 문명비판 234
2) 상생을 향한 의지 246
제6장 나오며
부록 1 원전 확인269
부록 2 시인 연보280
참고문헌292
찾아보기300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이성부 시인에 대한 고찰에서 시작되었다. 이성부는 올해로 타계한 지 4년이 되었다. 그간 이성부 시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다른 동년배 시인들에 비해 왕성하게 연구된 것은 아니다. 이성부에 관련된 논의는 주로 주제론적 접근법에 바탕을 두고 있다. 대부분 시집 한두 권 또는 몇 편의 시를 대상으로 한 평론 형식의 글이다. 이러한 글들은 이성부의 시세계 전체를 아우르는 데 한계가 있다. 이성부 시인이 타계한 지도 수년이 흘렀기에 이제는 시인의 시세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시기라고 판단하였다.
이 책에서 이성부와 관련된 모든 것을 모아보고자 했다. 이성부 시를 수집·정리하여 원본을 확정하고, 연보의 사실 관계를 확인하여 이성부 연구의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원전을 정확히 하지 않고서는 본격적인 연구가 어렵다. 원전을 확정하는 것은 연구를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절차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이성부를 공부하는 연구자들에게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이 책을 쓰면서 가장 고민했던 것은 이성부의 시를 ‘공간’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었다. 인간의 삶은 공간 안에서 이루어진다. 모든 공간은 인간의 삶과 사상을 표상하며, 인간의 삶과 밀착되어 있다. 공간은 우리 삶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터전으로, 특히 시의 배경이 되는 공간은 작품을 이해하는 데 바탕이 된다.
물론 이 공간은 이성부의 시에서도 핵심적인 매개로 작용한다. 공간의 이동에 따라 시세계가 더욱 견고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원전을 종합하고 검토·활용하여 이성부가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중심으로 그의 시세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성부 시에서 공간은 그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시를 끌고 가는 핵심적인 주제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구성은 이러한 ‘공간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1장과 2장에서는 공간에 대한 이론과 시에 나타난 공간의 특성에 대해 다루었다. 3장, 4장, 5장은 이성부 시에 나타나 있는 공간을 토대로 그의 시를 통해 시인이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다루었다. 최선을 다해 준비하였지만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다. 이성부 시에 대한 더 확장된 논의가 앞으로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면 한다.
- 책머리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