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트렌드 포에트리, 틈의 계보학

트렌드 포에트리, 틈의 계보학

(백애송 비평집)

백애송 (지은이)
걷는사람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30원
13,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트렌드 포에트리, 틈의 계보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트렌드 포에트리, 틈의 계보학 (백애송 비평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9119233356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1-15

책 소개

2016년 《시와 시학》에 평론을 발표하고, 같은 해 《시와 문화》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백애송 평론가의 첫 번째 비평집 <트렌드 포에트리, 틈의 계보학>이 걷는사람의 두 번째 인문학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목차

제1부
가깝고도 먼 나라, 고려인들의 디아스포라 ― 이동순론
존재와 비존재, 그 사이 ― 박지웅론
마음으로 전하는 언어 ― 윤효론
미리 올, 봄에 대하여 ― 양균원론
내부로 향한 자아의 시선 ― 조성국론
이지적 감각으로 노래하는 서정 ― 고성만론
자유와 감옥의 경계 ― 조삼현론
사색과 깨달음의 시학 ― 임보론

제2부
사람과 사람, 우리의 이야기 ― 배창환, 길상호론
경건한 삶의 언어 ― 함순례, 유준화론
절제된 언어와 철학적 삶의 메시지 ― 박송이, 유계자론
체험의 구체성과 개성 ― 임경숙, 손경선론
텅 빈, 고요한 울림 ― 김종숙론
유쾌, 상쾌, 통쾌가 필요한 순간 ― 박순원론
운명에 대한 사랑 ― 나병춘론
생활에서 발견한 삶의 지혜 ― 이은봉론
문명과 자연 ― 성배순론

제3부
틈, 그리고 배려
층위의 경계에 놓인 삶
보이지 않는 뿌리의 시간
갇힌 공간에서의 일상과 균형
인간 실존의 근원적 장소

저자소개

백애송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6년 《시와 시학》에 평론을 발표하며 평론가로, 같은 해《시와 문화》에 시를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했다. 시집 『우리는 어쩌다 어딘가에서 마주치더라도』, 연구서『이성부 시에 나타난 공간 인식』, 비평집 『트랜드 포에트리, 틈의 계보학』을 냈으며 현재 광주대학교 초빙교수로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존재 자체만으로 빛을 발하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태어나는 순간 슬픈 존재들도 있다. 각각의 사물에서부터 개별 실존적 존재까지.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뇌하는 시인의 태도는 시 속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박지웅 시인의 시는 존재와 비존재 사이에서 행복이라 불리는 희망을 찾고자 한다.
-「존재와 비존재, 그 사이–박지웅론」


윤효 시인의 시는 일상에서 길어 올린 이야기들이다. 사실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시는 환상과 그로테스크의 아슬아슬한 줄타기가 아니라, 이미지와 수식의 집합체가 아니라, 윤효 시인의 시처럼 일상에서 마음을 다해 얻어낸 이야기들일 것이다. 이 이야기들은 깊은 사유를 통해 정화되어 시의 언어로 우리에게 전해진다. 이때의 시의 언어는 고도의 압축미를 통해 절제되어 표현된다.
-「마음으로 전하는 언어–윤효론」


시는 이야기, 이미지, 정서로 이루어진다. 이은봉 시인의 시에는 이야기와 이미지, 정서가 모두 선명하게 나타난다. 어느 것 하나에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니라 세 개의 요소가 적절하게 어우러져 시를 이루고 있다. 이는 시인의 구체적인 생활과 시가 하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생활이 곧 시가 되고 시가 곧 이은봉 시인의 삶이 된다.
시인의 삶에서 연유되는 시는 나날의 구체적인 모습들을 보여준다.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고 하여 감정을 여과 없이 직접적으로 토로하는 것은 아니다. 객관적인 형상화를 유지하며 보편적인 감정을 토로한다. 이러한 일상의 구체적인 모습은 시인의 견고한 통찰과 생활에서 발견한 삶의 지혜에서 비롯된다. 또한 사물과 주위를 바라보는 따뜻한 연민의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생활에서 발견한 삶의 지혜–이은봉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