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30816623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0-04-17
책 소개
목차
■ 저자의 말
제1부 현대시의 감상
제1장 감성적 감상 : 순간을 사로잡는 시들
제2장 비평적 감상
시인, 천형(天刑)인가 축복인가
혼탁과 불행, 분열, 파멸로부터의 출구들
축제, 고통의 향연
감각과 의식의 혼융
노동과 사랑과 ‘나’
미녀의 알에서 깨어난 생명의 노래들
유업의 단절 그리고 제자리
탈주, 너무나 인간적인
생명의 윤리:‘기계적’에서 ‘인간적’으로
생명:슬픔으로부터 사랑에게
시인들이 전하는 사물들의 소리들
제3장 분석적 감상
시와 그림이 그리는 이상향의 세계
침묵의 노래
‘질마재 마을’ 사람들의 성(性) 의식
제2부 현대시 창작의 이론과 실제
제4장 김춘수 시의 ‘순수성’의 발현 양상과 시작 기법
제5장 한국 현대시의 갈래적 특성과 시작 기법
제6장 시 창작 과정의 실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백석과 이중섭은 일제 식민지라는 혹독한 시련기에 민족의식을 드러내며 각각 시와 그림의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예술가들이다. 이들의 예술세계에 대한 언급에서 민족성이 배제된다면 중대한 착오가 발생하는 일이 될 것이다. 두 예술가가 추구했던 민족적 성향의 작품들에서 공통된 작품 의식을 발견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백석평전』의 저자이기도 한 화가 김영진은 『이중섭을 훔치다』에서 이중섭의 그림이 백석의 시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이중섭이 그린 엽서 그림이나 <도원> 등의 작품이 백석 시에서 착안되었다고 언급한다. 그는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일차적으로는 두 예술가가 오산학교 선후배였음을 지적하고 다음으로는 작품에 나타난 소재적 차원의 유사성을 들어 설명한다. 백석과 이중섭은 아이와 음식물과 동물들을 그들 작품의 주요 소재로 활용했다. 백석의 시들에는 유년 시절에 대한 회상이나 유년의 시각을 보여주는 시적 자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음식물이나 동물들은 그의 중요한 소재들이다. 이중섭의 그림에서도 누락될 수 없는 소재들이 아이들과 소, 게, 닭, 말, 물고기, 복숭아 등이니 이들은 모두 백석의 시에도 자주 출현하는 대상들이다.
이 글의 목적은 백석의 시와 이중섭 그림에 나타난 유사성을 전기적 사실이나 소재적 차원에서 파악하는 정도를 넘어 작품 자체에 대한 분석과 해명을 바탕으로 두 사람이 추구했던 예술적 의의와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이들의 작품에서는 서사적 상상력과 원형적(圓形的) 이미지를 통한 구성적 유사성이 발견되며 민족 공동체 의식의 표출이라는 공통된 작품 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이 글은 백석과 이중섭 작품의 구조적 유사성을 파악하고 이 유사성을 바탕으로 그들이 표출한 민족 공동체 의식의 의의를 해명할 것이다. 나아가 이 글은 그들이 추구했던 전 인류적 차원의 인간의 보편적 이상과 인간 삶의 이상적 세계를 그들의 작품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시 텍스트의 독해가 새로운 창작을 염두에 두는 독해라면 텍스트의 구조와 언술적 특성에 주목해야 한다. 이 글은 특히‘ 이미지’에 주목하고 있다. 한 편의 시가 구성되기 위해서는 내용과 형식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시의 주제와 그에 따른 시상 전개의 구성 방식은 물론 시가 운문인 한에 있어서 숙고되어야 할 다양한 사항들이 있을 것이다. 시 텍스트 자체의 범위를 벗어나 창작 주체의 시대적, 심리적 정황들과 수용자의 상황까지 고려한다면 시의 구성 인자들은 부정어법으로써만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이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시 창작 과정의 모형을 구안하고 실제화하려는 것은 현대시의 핵심적 특성을 ‘이미지’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시는 ‘감각적 형상화’가 갖는 중요성 때문에 이미지를 수단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미지화란 머릿속에 들어 있는 생각을 하나의 도상으로 그려내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