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 권으로 읽는 서양사와 한국사

한 권으로 읽는 서양사와 한국사

고종환 (지은이)
푸른사상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3,000원
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000원 -10% 1450원 24,650원 >

책 이미지

한 권으로 읽는 서양사와 한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 권으로 읽는 서양사와 한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사일반
· ISBN : 9791130817156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0-11-05

책 소개

푸른사상 교양총서 시리즈 15권. 서양과 한국에서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주요한 사건들을 연결시켜, 동서양을 아울러 동시대에 일어난 사건들을 나란히 보여준다.

목차

ㅇ 책머리에

01 그리스, 로마 건국신화 VS 우리나라 건국신화
1) 신화란 무엇인가
2) 어떻게 신화를 볼 것인가
3) 그리스, 로마 건국신화와 우리나라 건국신화
4) 로마의 대표 건국신화
5)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건국신화, 단군신화(BC 2333)

02 포에니전쟁 VS 고조선의 몰락
1) 로마가 만든 신병기와 1차 포에니전쟁(BC 264~146)의 승리
2) 2차 포에니전쟁:알프스 산맥을 넘은 한니발의 코끼리 부대
3) 한니발의 초승달 대형
4) 로마와 카르타고의 운명을 가른 최후의 3차 포에니전쟁
5) 고조선의 설립과 몰락(BC 108)

03 카이사르의 갈리아 원정 VS 신라의 건국과 발전
1) 카이사르의 운명을 바꾼 갈리아 원정(BC 58~51)
2) 신라의 건국과 통일 (BC 57~AD 676)

04 로마의 지중해 통일 VS 고구려의 건국과 발전
1) 두 차례의 삼두정치(1차, 2차 삼두정치)
2) 고구려의 건국과 발전

05 게르만족의 대이동과 서로마 멸망 VS 백제의 전성기
1) 서로마제국의 멸망(476)
2) 훈족의 결정적인 두 가지 무기
3) 백제의 전성기(4세기 중반)

06 이슬람교의 탄생과 살수대첩 VS 안시성 전투
1) 이슬람교의 태동(610~622)
2) 무함마드 계승자들의 지하드(633~762)
3) 을지문덕(乙支文德)과 살수대첩(612)
4) 살수대첩에는 수공(水攻)이 있었다? 혹은 없었다?

07 신성로마제국의 탄생 VS 고려의 건국
1) 신성로마제국의 유래와 형성
2) 프랑크 왕국의 분열과 형제간 다툼
3) 후삼국의 성립:고구려와 백제를 계승한다?

08 황제와 교황의 대립 VS 고려와 거란의 충돌
1) 카노사의 굴욕(1077.1)
2) 고려와 신흥강국 거란의 충돌
3) 서희의 북방외교와 귀주대첩(1018.12)

09 9차례의 십자군전쟁 VS 왕과 무신의 대결
1) 십자군전쟁(1095~1270)의 의미
2) 왜 4차 십자군 원정은 같은 기독교 국가를 공격하게 되었는가?
3) 무인들의 반란과 고려의 무신정권(1170~ )
4)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느냐-하층민들의 반란(1198.5~ )

10 프랑스에 억류된 교황 VS 공민왕의 개혁정치
1) 아비뇽 유수는 세금 때문이었다?
2) 명품와인을 만들어 낸 아비뇽 유수?
3) 필리프 4세와 템플기사단 그리고 13일의 금요일
4) 공민왕의 개혁정치(1356~1371)와 영토회복
5) 노국공주에 대한 일편단심과 공민왕의 몰락
6) 노국공주의 죽음과 공민왕의 동성애 정치?

11 유럽의 백년전쟁 VS 이성계의 역성혁명
1) 백년전쟁의 명분
2) 백년전쟁의 실제 원인
3) 영국의 장궁과 프랑스의 석궁
4) 잔 다르크의 등장과 환상체험
5) 영웅에서 하루아침에 부담스런 존재가 된 잔 다르크
6) 바지를 입어서 처형된 잔 다르크
7) 두 영웅 최영과 이성계의 운명을 가른 요동 정벌
8) 위화도 회군과 이성계의 역성혁명
9) 위화도 회군에 관한 두 가지 논란?
10) 우왕과 최영의 치명적인 실수

12 위그노전쟁(낭트 칙령) VS 임진왜란(정유재란)
1) 위그노전쟁의 배후가 된 메디치의 여인
2) 대학살 현장으로 변한 결혼식장:성 바르텔레미 축일의 대학살
3) 낭트 칙령과 절대왕정의 토대 마련
4) 임진왜란의 발발 원인:조선과 일본의 정치적 상황
5) 동래성전투에서 영웅 이순신 장군의 등장까지
6) 조선 의병과 승병의 활약

13 근대유럽을 탄생시킨 30년전쟁 VS 치욕의 병자호란
1) 30년전쟁의 종교적 원인들
2) 베스트팔렌 조약의 중요한 의미와 가치
3) 30년 종교전쟁의 양상과 과정
4) 베스트팔렌 조약의 영향과 결과
5) 베스트팔렌 조약은 독일의 사망신고서
6) 병자호란의 원인들
7) 광해군은 개혁군주인가 미치광이 폭군인가?
8) 광해군을 폐위시킨 쿠데타 인조반정
9) 인조반정의 진짜 이유
10) 병자호란의 상징, 삼전도의 굴욕은 무엇인가?

14 프랑스대혁명과 나폴레옹 VS 영조와 사도세자, 정조
1) 증세는 혁명을 부른다?
2) 대혁명 이후 프랑스 정치상황
3)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는 나폴레옹
4) 나폴레옹의 등장부터 7월 혁명까지
5) 기요틴은 공포의 상징인가, 평등의 산물인가
6) 조선의 정치적인 상황은?
7) 영조는 왜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었나?

ㅇ 참고문헌
ㅇ 찾아보기

저자소개

고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그르노블과 낭트에서 연수한 뒤 국립 파리12대학교 국제어문대학원에서 석사와 준박사(DEA) 그리고 비교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프랑스문화학회와 어문교육학회의 재무이사와 편집위원, 학술연구이사로 활동했고, 2005년 가을부터 아주대학교 불문학과와 교양학부에서 프랑스 문화예술, 불어 강독, 서양 연극사 등을 강의하는 인문학자로 지냈다. 평생 강의를 하는 교수자로서의 삶과 대중들에게 쉽고 유익한 인문교양도서를 저술하는 작가로서의 일을 즐겁고 보람 있는 일로 여기며 살고 있다. 유학 시절 파리에 있는 KBS 방송국에서 KBS 2TV 문화기행 등의 코디와 통역을 담당하면서 유럽 각지를 다니며 접했던 저자의 인문학적 경험이 전공은 물론 서양 역사와 명화로까지 확대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최근에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문화로 관심을 확장 중에 있다. 외국에서 교수자와 작가의 삶을 살고자 하는 꿈을 이루어, 현재는 태국의 국립부라파대학교(구, 왕립)에서 교수로서 태국인 학습자들을 지도하면서 학생들을 위한 전공교재와 대중을 위한 인문교양도서를 저술하면서 살고 있다. 저서로 『오페라로 배우는 역사와 문화』(2010), 『글로벌 다문화교육-프랑스 편』(2012), 『한 권으로 읽는 연극의 역사』(2014,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오페라, 역사를 노래하다』(2016), 『명화, 그것은 역사의 보고다』(2017), 『그림으로 보는 위대한 전쟁사』(2019), 『한 권으로 읽는 서양사와 한국사』(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BC 1세기, 서양에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원정이 있었고 우리나라에서는 고조선이 몰락한 이후 삼국시대 중 가장 먼저 건국되어 발전하기 시작한 신라가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다. 카이사르는 갈리아 원정을 성공리에 완수하면서 로마 시민들에 의해 정치적 명성이 점차 높아가게 됐고, 이를 통해 로마제국의 1인자로 등극할 수 있었다.
삼국시대의 세 나라는 우리가 흔히 고구려, 백제, 신라로 말하곤 해서 신라가 가장 늦게 생긴 나라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반대로 세 나라 중 신라가 가장 먼저 한반도에 등장했던 나라였다. 신라 이후 20년이 지난 BC 37년, 한반도의 북쪽을 중심으로 고구려가 건국되었고 그 이후 또 20여 년이 지난 BC 18년에 백제가 건국되었던 것이다. 즉 건국 순서로 치면 신라, 고구려, 백제가 맞다.


서양사에서는 편의상 5세기부터 15세기까지를 중세로 보는데 이에 의하면 이슬람교가 태동한 610년경은 7세기에 해당하므로 중세 초반에 있었던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 정확히 몇 개의 종교가 있는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중에서도 세계 신자 숫자를 보면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그리고 불교가 세계 4대 종교로 꼽힌다.
흥미로운 것은 기독교와 이슬람교 그리고 유대교(이스라엘 종교)가 성경에 나오는 아브라함과 그의 아들인 이삭의 후손임을 자처하고, 비슷하면서도 결정적인 차이점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 결정적인 차이로 인해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가 서로 갈등하고 반목하는 양상이 지금 우리 시대까지도 이어져오고 있다. 여기서는 그중에서도 이슬람교에 대해 살펴본다.
다신이 아닌 유일신을 섬긴다는 점에서 기독교와 매우 유사한 이슬람교는 언제 어떻게 이 세상에 선보이게 됐을까? 이슬람교는 예언자 무함마드에 의해 아라비아반도에서 610년에 처음 태동하게 되는데, 이 시기 한반도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이슬람교의 태동과 가장 근접한 시기에 한반도에서 벌어진 가장 드라마틱한 사건을 꼽으라면 아마도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이었던 살수대첩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의 명장 을지문덕 장군에 의해 엄청난 수의 수나라 군사가 수장되면서 고구려에 대승을 가져다 준 살수대첩이 벌어졌던 게 바로 618년이었으니 무함마드의 이슬람교 태동과 살수대첩은 상당히 가까운 시기에 동양과 서양에서 벌어졌던 매우 굵직한 사건이었던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817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