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서양문화읽기
· ISBN : 9791130819907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2-12-1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빵과 치즈와 와인의 천국, 프랑스
01 빵집 주인 마음대로 바게트를 만들면 처벌받는다고?
02 프랑스대혁명의 원인이 바게트라고?
03 먹다 남은 바게트 조각으로 빈 접시를 닦는다고?
04 크루아상을 못 먹게 하는 나라가 있었다고?
05 나폴레옹도 치킨을 엄청나게 좋아했다고?
06 마카롱이 프랑스 왕실의 전용 디저트였다고?
07 프랑스인들과 식사하려면 참을성이 필요하다고?
08 프로방스에서는 마카롱보다 칼리송이 더 유명하다고?
09 프랑스에서는 치즈가 신분을 상징했다고?
10 교황의 와인이 있다고?
제2부 알아두면 더 재미있는 프랑스 문화
01 루이 14세가 문화와 예술의 나라의 기틀을 세웠다고?
02 살롱이 예술가들을 파리로 끌어모았다고?
03 에펠탑이 최첨단 소재로 만들어졌다고?
04 유럽에서 프랑스에 흑인과 아랍인이 가장 많다고?
05 17세기에 문을 연 카페가 아직도 파리에서 영업을 한다고?
06 향수의 본거지가 파리가 아니라고?
07 프랑스인들은 여름휴가를 무려 5주나 간다고?
08 프랑스를 상징하는 동물이 고작 수탉이라고?
09 대학입학시험을 일주일이나 본다고?
10 샹젤리제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거리라고?
제3부 로마의 정복지에서 혁명의 나라가 되기까지
01 프랑스인들의 조상 갈리아인들은 누구였는가?
02 갈리아 정복자 카이사르가 베스트셀러 작가였다고?
03 프로방스 지역에 로마의 유적이 많다고?
04 프랑스의 기원은 프랑크왕국이라고?
05 루브르 박물관이 원래는 군사적 요새였다고?
06 바이킹족이 파리 중심부까지 침략했다고?
07 단두대가 평등의 산물이라고?
08 잔다르크와 마리안이 프랑스를 상징하는 여성들?
09 나폴레옹이 탄 것은 멋진 백마가 아니고 늙은 노새였다고?
10 밀레가 <만종>으로 혁명을 꿈꾸었다고?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책머리에 중에서
지긋지긋한 코로나의 끝은 언제일까요.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제했고,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과 미국은 물론이고 마스크 착용도 자율에 맡기고 있습니다. 코로나의 완전 종식은 언제일지 모르지만, 이제 사람들은 코로나와 더불어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책은 거리두기와 자가격리로 해외여행은 생각도 못 하던 시절, 코로나 이후 다시 프랑스를 꿈꾸고 유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생각하며 쓴 글입니다.
유럽이나 프랑스를 생각하면 수많은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생각납니다. 그 모든 것들을 한 권의 책에 다 담을 수는 없지만 어떻게 하면 알짜배기만 쏙쏙 담아놓은 책을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한 결과가 이번 『테마로 읽는 매혹의 프랑스』로 나오게 됐습니다. 프랑스 역사 10가지, 프랑스 문화 10가지 그리고 프랑스 미식에 관한 스토리 10가지, 총 30가지 테마를 바탕으로, 이미 시중에 넘치는 단순한 프랑스 여행기나 무거운 프랑스 역사서와 차별화하기 위해서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비하인드 스토리를 바탕으로 써내려갔습니다.(중략)
코로나로 인해 외국 여행을 포기하고 방구석에서 상상력의 날개를 펼치는 것으로만 만족할 수밖에 없던 이들에게, 이 책이 떠나고 싶어지는 작은 계기가 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일견 가벼워 보이는 30가지 비하인드 스토리를 통해 프랑스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더 깊이 있는 프랑스 이야기까지 독자들이 관심을 넓히는 데 일조하기를 바랍니다.
평등에 대한 프랑스 민중들의 생각이 얼마나 예민했으면 프랑스대혁명 이후 혁명정부였던 국민공회에서 빵을 만들 때, 특히 바게트를 만들 때는 평등 정신에 입각해서 만들라는 일종의 법률을 만들었을 정도였다. 프랑스 사람들에게 평등 정신은 자신들의 존재 이유가 될 정도로 중요한 개념이었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평등을 상징하는 빵이 바로 바게트이기 때문에, 프랑스의 여러 맛있는 음식들 중에서도 가장 프랑스적이고 프랑스의 국가이념을 잘 표현하는 것이 바로 바게트인 것이다. 이런 이유가 더해져서인지 프랑스 사람들의 유별난 바게트 사랑은 특이한 이름만큼이나 세계적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