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다르마의 축복

[큰글자책] 다르마의 축복

정효구 (지은이)
푸른사상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1,950원
37,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다르마의 축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다르마의 축복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3081727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0-12-20

책 소개

푸른사상 산문선 21권. 문학평론가 정효구 교수의 산문집. 바다, 하늘, 들녘, 꽃과 나무와 새 같은 자연물, 아이들이 뛰어노는 학교 마당과 하얗고 깨끗한 식탁보 등의 인공물, 그리고 허공, 만다라, 숫자 영(零) 등과 같은 정신적 존재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일체 만유로부터 다르마의 풍경을 발견하고 그 축복을 흠뻑 누린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바다, 사라지는 기쁨 | 초원, 길을 잃는 기쁨 | 강, 그저 흘러가는 기쁨 | 하늘, 생각이 멈추는 기쁨 | 들길, 평화로운 숨길의 시간 | 밤, 아무도 모르는 시간 | 들녘, 너그러움에 물드는 시간 | 절[拜], 육신이 마음을 가꾸는 시간 | 언덕, 양지만큼 밝아지는 곳 | 정원, 마음을 가꾸는 도량 | 과수원, 아무 일이 없는 곳 | 달, 평화 너머의 신화 | 사막, 잉여를 말린 삶 | 마당, 아래쪽에 사는 기쁨 | 울타리, 낮을수록 넓어지는 곳 | 산, 여여(如如)한 부동의 길 | 새들, 단순한 자유의 기쁨 | 바위, 오래된 은자의 기쁨

제2부
새싹, 살 만한 땅을 만드는 기적 | 훈풍, 피안이 주는 위로 | 자작나무, 문득 환해지는 길 | 교정(校庭), 여백이 만든 비경 | 산맥, 일념과 정진의 대장정 | 무논, 영원을 닮은 생명의 땅 | 미루나무, 신화처럼 높은 세계 | 일주문, 오래된 한 마음의 길 | 수수, 삼계(三界) 너머를 상상하는 일 | 왕소금, 삼가는 마음의 거룩함 | 야자수, 호흡이 느려지는 곳 | 큰 수레[大乘], 큰 것을 진정 알게 하는 시간 | 빈 집, 존재의 새로운 차원 | 나비들, 가벼움을 가르치는 선지식 | 합장, 두 손이 찾은 궁극 | 법명(法名) 1, 이름을 넘어선 이름 | 법명(法名) 2, 마음을 넘어선 마음 | 당호(堂號), 도량이 된 거처

제3부
열매들, 정진이 만든 보석 | 영(零), 해결되는 기쁨 | 선원(禪院), 장식을 모르는 삶 | 도반(道伴), 한 곳을 보며 가는 길 | 여백 1, 그냥 두고 보는 마음 | 여백 2, 출가자의 마음 | 휴일, 본심자리에 머무는 시간 | 하지(夏至) 저녁, 방심해도 좋은 시간 | 정자(亭子), 유토피아의 작은 원형 | 성신(星辰), 먼 곳이 주는 축복 | ‘물의 책’, 쓰지 않는 기쁨 | 공양(供養), 밥이 법이 되는 신비 | 만다라, 온전하고 원융한 마음 | 고목(古木), 안심의 시간 | 승복(僧服), 부재의 잿빛 신비 | 사찰 이름, 여법한 만트라의 문장 | 무주공산(無主空山) 1, 불인(不仁)의 마음 | 무주공산(無主空山) 2, 무주(無住)의 놀이터

제4부
산수화, 인간 이전의 원경 | 구름, 무상(無常)을 사는 삶 | 무밭/배추밭, 가을이 아낀 생명 | 사철나무들, 계절을 넘어선 형이상학 | 허공(虛空), 만유를 허용하는 큰마음 | 풀벌레들, 노래하는 은둔자 | 참새들, 진실을 품은 삶 | 잠자리들, 가벼운 날개의 꿈 | 수녀님, 맑고 향기로운 원석 | 다탁(茶卓), 법향(法香)의 테이블 | 귀가(歸家) 1, 본향으로 가는 기쁨 | 귀가(歸家) 2, 영원으로 사는 기쁨 | 열반송(涅槃頌), 크나큰 정화의 송가 | 매미의 울음, 직심과 일념의 마음 | 해풍(海風), 시원으로 돌아가는 기쁨 | 여래십호(如來十號), 다르마의 축복 | 스승과 제자, 본심을 가꾸는 시간 | 성지(聖地), 전등록(傳燈錄)이 살아 있는 자리

제5부
하얀 식탁보, 초월을 꿈꾸는 문명 | 초추(初秋)의 양광(陽光), 잉여를 정리한 햇살 | 청산도(靑山道), 푸르름이 만든 길 | 성탄일/석탄일, 만인을 쉬게 하는 휴일 | 예수님의 조상(彫像), 더 낮아질 수 없는 마음 | 절기(節氣), 아름다운 사계의 묘용 | 평원(平原), 수평의 놀라운 위의 | 양심(良心), 간섭할 수 없는 성지 | 꿈 없는 잠, 한 생각도 없는 공터 | 불영(佛影)/불영사(佛影寺), 특별한 존재가 될 수 없는 기쁨 | 영동(嶺東)의 풍경, 선사시대의 마음 지대 | 다리, 참마음의 길 | 이동식 선생, 동토(凍土)에 봄을 가져다주는 마음 | 억새꽃, 꽃을 넘어선 꽃의 정경 | 대숲, 북방의 수성(水性)을 공부하는 시간 | 파도 소리, 처음으로 돌아가게 하는 율려(律呂) | 서리와 눈[雪], 좌절과 초월의 기쁨 | 「법성게(法性偈)」, 영원을 가르치는 송가

저자소개

정효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출생.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1981)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1983)와 박사학위(1989)를 받았다. 1985년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하였다. 대한민국문학상 신인상, 시와시학상, 현대불교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존재의 전환을 위하여』(1987), 『시와 젊음』(1989), 『현대시와 기호학』(1989), 『광야의 시학』(1991), 『상상력의 모험 : 80년대 시인들』(1992), 『우주공동체와 문학의 길』(1994), 『20세기 한국시의 정신과 방법』(1995), 『백석』(편저, 1996), 『20세기 한국시와 비평정신』(1997), 『몽상의 시학 : 90년대 시인들』(1998), 『한국 현대시와 자연 탐구』(1998), 『시 읽는 기쁨』(2001), 『한국 현대시와 문명의 전환』(2002), 『시 읽는 기쁨 2』(2003), 『재미 한인문학 연구』(공저, 2003), 『정진규의 시와 시론 연구』(2005), 『시 읽는 기쁨 3』(2006), 『한국 현대시와 평인(平人)의 사상』(2007), 『마당 이야기』(2009), 『맑은 행복을 위한 345장의 불교적 명상』(2010), 『일심(一心)의 시학, 도심(道心)의 미학』(2011), 『한용운의 『님의 침묵』, 전편 다시 읽기』(2013), 『붓다와 함께 쓰는 시론』(2015), 『신월인천강지곡』(2016), 『님의 말씀』(2016), 『불교시학의 발견과 모색』(2018), 『다르마의 축복』(2018), 『바다에 관한 115장의 명상』(2019), 『파라미타의 행복』(2021), 『사막 수업 82장』(2022), 『영성 수행으로서의 시읽기와 시쓰기』(2024)가 있다.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무한을 느끼게 하는 바다 앞에 서면 나는 어느새 무한이 된다. 나를 잊고, 너를 잊고, 시간을 잊고, 공간을 잊고 바다와 함께 무한이 되는 것이다. 이 때, 그토록 집착했던 우리 존재의 실체와 경계는 봄눈처럼 사라지고 만다. 이처럼 나라는 존재가 시킨 이도 없는데 아침 이슬처럼 사라지고 마는 신비경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더욱이 존재가 사라질 때의 감미로움과 해방감을 어떻게 전달해야 할까?


사막에서 우리의 몸은 한없이 가벼워진다. 일체의 물기 있는 것들을 털어버리고, 질척대는 희로애락의 감정들을 털어버리고, 몸무게가 제로를 향하는 것이다. 사막의 그 가벼움은 단순한 물리적 무게감의 덜어냄이 아니다. 그것은 공성(空性)을 내재화한 자의 가벼움이다.?
?공성(空性)! 그것은 얼마나 온전한 가벼움인가. 어느 한구석으로 치우지지 않은 중도(中道)의 공성은 세상을 균형 있는 가벼움의 세계로 만든다. 사막에서 이런 공성의 흔적을 본 사람들은 세상 일이 어긋날 때마다 사막에 마음을 포개고 운다. 그런 속에서 어긋났던 일들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면서 치유되고, 어긋난 것 그 자체가 본래는 진리 그 자체임을 알며 생기를 얻는다.


누구나 알다시피 어떤 숫자에 영을 더하거나 빼도 그 숫자는 변함없이 그대로이다. 나는 여기서 생각한다. 어떤 존재를 단 하나의 간섭도 하지 않은 채 그대로 둘 수 있는 존재란 얼마나 대단한 경지의 삶을 살고 있는 것인가 하고 말이다. 영은 어떤 존재도 그대로 두고 본다. 아무런 주관적 관여를 하지 않는다. 그야말로 어디에도 다녀온 흔적이 없는 영의 이 고차원적 삶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숫자 영은 만유의 삶을 그대로 인정하는 최고의 방편행(方便行)을 구사하고 있는 것 같다. 다녀갔으면서 다녀가지 않은 중도행(中道行)을 이 땅에서 선명하게 보여주는 것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