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사/연극.희극론/연극비평
· ISBN : 9791130818153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
제1장 연극이란?
1. 연극의 기원
2. 연극의 시대적 구분
3. 연극 발전의 지역적 차이
4. 연극은 다른 예술에 비해 왜 더디게 나타나는가?
5. 연극, 예술과 오락의 경계에서
제2장 고대 그리스 시대
1. 시대적 배경
2. 고대 그리스의 연극
제3장 헬레니즘 시대
1. 시대적 배경
2. 헬레니즘 시대의 연극
제4장 고대 로마 시대
1. 시대적 배경
2. 제국의 분열과 동서 로마의 분리
3. 서로마의 패망과 로마 연극의 쇠퇴
4. 고대 로마의 연극
제5장 중세 시대
1. 중세 전반기의 시대적 배경
2. 중세 후반기의 시대적 배경
3. 중세 시대의 연극
제6장 르네상스 시대
1. 시대적 배경
2.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3.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연극
4. 혼란의 시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쇠퇴
5. 16세기 영국의 르네상스 시대 연극
제7장 17세기 프랑스 신고전주의 시대
1. 시대적 배경
2. 프랑스의 신고전주의 연극
제8장 18세기 유럽의 연극
1. 18세기 유럽의 시대적 배경
2. 18세기 프랑스의 시대적 배경
3. 18세기 프랑스의 연극
4. 18세기 영국의 시대적 배경
5. 18세기 영국의 연극
6. 18세기 독일의 시대적 배경
7. 18세기 독일의 연극
제9장 19세기 초반 유럽의 연극
1. 시대적 배경
2. 19세기 초의 유럽연극
제10장 19세기 중반(1870년대)의 사실주의 연극
1. 시대적 배경
2. 사실주의란 무엇인가?
3. 사실주의 연극의 특징
4. 사실주의 연극을 대표하는 작가
5. 사실주의 연기-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
6. 자연주의 연극
7. 사실주의 시대의 독립극장들
제11장 20세기 초 반사실주의(아방가르드) 연극
1. 시대적 배경
2. 아방가르드에 대한 이해
3. 상징주의
4. 표현주의
5. 초현실주의
6. 반사실주의 예술가들
제12장 부조리극
1. 시대적 배경
2. 부조리극의 배경
3. 실존주의
4. 부조리극의 특징
5. 부조리극의 대표적인 작가
제13장 포스트드라마 연극
1.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태동
2. 포스트드라마 연극, 그 용어와 개념적 정의
3.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특징
4. 포스트드라마 연극-사건으로서의 연극
5.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이해의 틀-수행성의 미학
6. 관객의 미학적 경험-‘지각의 급변’과 ‘의미의 창발’
7. 문지방 경험의 예
∎ 책을 나가며 :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성과와 한계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많은 연극사가, 인류학자, 사회학자들은 각자 저마다의 분야에서 연극의 기원에 관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지금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인류의 기록이란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인류가 자신들의 삶을 기록하기 시작한 것이 BC 3000년 이집트 그림문자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들을 인정한다면, 연극이 선사시대 어디쯤에서 시작되었을 거라는 막연한 추측 정도는 꽤 신빙성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연극에 관한 최초의 확실한 기록은 BC 6세기경 고대 그리스 시대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따라서 우리의 연극사 연구는 어쩔 수 없이 기록에 근거한 역사만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연극의 기원이 이렇게 불확실함에도 불구하고 고대 그리스 시대 이전에도 현대의 연극과 유사한 형태의 몸짓들이 있었음을 추측하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며, 현대 연극에 필요한 대부분의 요소가 이미 기록 이전에도 있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포에니 전쟁 이후 그리스 비극과 희극의 영향을 받은 로마는 그중에서도 신희극에 관심을 가졌다. 로마인들은 예술의 새로운 방식을 창안하지는 않았지만 뛰어난 실용성을 바탕으로 에트루리아와 그리스의 문화를 자기들의 목적에 맞게 변형하여 토착화시켜 나갔다.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는 것이 로마 최초의 축제 루디 로마니(Ludi Romani)였는데, 이 축제는 그리스의 제우스 신에 해당하는 로마의 주피터 신께 바치는 의식이었다. 이 축제가 바로 에트루리아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리스 문화와 접촉하기 시작한 BC 250년경부터는 연극을 축제에 포함시키게 된다. 그러다가 AD 250년 이후에는 극장에서 1년에 100일이 넘게 공연이 펼쳐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가 시작되면서 서양 연극의 흐름은 다음의 두 가지로 크게 나뉠 수 있다. 하나는 고대 그리스 비극의 전통을 지속하려는 사실주의적, 환영주의적, 희곡 중심적 연극 전통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연극 텍스트의 충실한 재현을 지칭한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근거로 인간에 관한 모방(mimesis)과 도덕적 정화작용, 즉 카타르시스(Katharsis)를 연극의 최우선 과제로 인식한 데서부터 비롯된다. 이러한 인식은 세상을 연극과 동일시하는 르네상스를 거쳐 17세기 신고전주의 시대와 19세기 사실주의까지 이어진다. 다른 하나는 드라마 연극의 충실한 재현에 맞서 ‘연극의 재연극화’를 주장한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연극과 이들의 연극 정신을 계승한 1960년대의 네오아방가르드 연극에 의한 포스트드라마 연극이다. 이들은 연극의 본질이 드라마 텍스트의 재현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텍스트로부터 독립하여 독자적 매체로서의 미학적 체계와 연극적 기능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