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양기론 陽基論

양기론 陽基論

(성보의 풍수지리)

안종선, 정국희 (지은이)
비앤비북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500원
500원
22,0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양기론 陽基論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양기론 陽基論 (성보의 풍수지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풍수지리
· ISBN : 9791131265918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7-08-25

책 소개

『황제택경(皇帝宅經)』 속의 모든 내용에 대한 적용이 같지 않다 하여도 양택의 중요성은 충분한 설득력이 있다. 특히 많이 논의되고 인구에 회자되는 내용으로 『황제택경(皇帝宅經)』에서는 오허오실(五虛五實)이 매우 중요한 이론으로 다루어지는데, 역시 양택보다는 양기적 관점으로 살피는 것이 옳다고 보인다.

목차

들어가며 | 4

제1부. 이 땅의 풍수지리 | 19
제1장. 우리의 풍수(風水) | 21
제2장. 우리 풍수지리의 이해 | 43

제2부. 양적풍수와 음적풍수 | 57
제1장. 동북공정(東北工程) | 59
제2장. 양기풍수의 개관 | 77
제3장. 도성풍수(都城風水) | 81
제4장. 양택(陽宅) | 90
1. 양택이란? | 90
2. 양기란? | 94
3. 바람 | 105
4. 물 | 106
5. 평면(平面)의 유형 | 108
6. 도로(道路) | 111
7. 식목(植木) | 113
8. 좌향(坐向) | 116
9. 문(門), 주(主), 조(?) | 118
10. 동사택과 서사택 | 122
11. 명궁 | 128
12. 본명궁(本命宮) | 132
1) 방위 | 133
2) 동사명(東四命), 서사명(西四命) | 134
3) 보는 법 | 134
13. 양택의 금기 사항 | 143
1) 수맥(水脈)이 흐르는 터 | 143
2) 산등성이나 산골짜기 | 144
3) 막다른 골목 | 145
4) 대문 앞에 큰 나무 | 146
5) 집안의 나무 | 147
6) 주택 주위에 지나치게 높은 건물 | 148
7) 삼각형의 대지와 삼각형 건물 | 150
8) 다른 사람이 망한 집 | 151
9) 마당의 연못 | 152
10) 고층 아파트 | 153
11) 공간이 넓고 큰 아파트 | 154
12) 두 집을 담을 터서 한 집으로 사용 | 155
13) 간법(看法) | 156
(1) 선간수구(先看水口) | 156
(2) 차간야세(次看野勢) | 156
(3) 차간산형(次看山形) | 157
(4) 차간토색(次看土色) | 157
(5) 차간수리(次看水理) | 157
(6) 차간조산(次看朝山) | 158
(7) 차간조수(次看朝水) | 158
14) 정원수 | 158
15) 기타 | 161

제3부. 풍수지리의 입지 | 163
제1장. 풍수지리 입지의 개요 | 165
제2장. 고도(古都)의 풍수 | 181
1. 한성(漢城) | 181
2. 평양(平壤) | 201
3. 개성(開城) | 207
4. 경주(慶州) | 219
5. 공주(公州) | 229
6. 부여(夫餘) | 242
제3장 한국 전통마을의 풍수 | 248
1. 하회마을 | 249
2. 소산마을 | 257
3. 경주 양동마을 | 266
4. 닭실마을 | 272
5. 주실마을 | 275
6. 두들마을 | 279
7. 외암마을 | 282
8. 한개마을 | 287
9. 금당실마을 | 293
10. 낙안읍성(樂安邑城) 민속마을 | 301
11. 옻골마을 | 304
12. 성읍마을 | 309
13. 강골마을 | 312
14. 도래마을 | 315
15. 원터마을 | 318
16. 왕곡마을 | 323

제4부. 국론(局論) | 329
제1장. 국론(局論) | 331
제2장. 십승지(十勝地) | 339
제3장. 장풍국(藏風局) | 348
제4장. 득수국(得水局) | 358
1. 순수국(順水局) | 363
2. 조수국(朝水局) | 367
3. 횡수국(橫水局) | 370
4. 거수국(據水局) | 372
5. 무수국(無水局) | 373
6. 역수국(逆水局) | 375

제5부. 택지삼요(宅地三要) | 377
제1장. 택지삼요(宅地三要) | 379
1. 배산임수건강장수(背山臨水健康長壽) | 381
2. 전저후고출세영웅(前底後高出世英雄) | 382
3. 전착후관부귀여산(前窄後寬富貴如山) | 382

제2장. 가상법(家相法) | 385
1. 흉상(凶相) | 387
2. 길상 |390

제6부. 양기론(陽基論) | 393
제1장. 양기론의 정의 | 395
제2장. 고서에서 찾아보는 양기 이론 | 410
1. 중국 고서(古書) | 410
1) 『국어(國語)』 | 410
2) 『청오경(靑烏經)』 | 410
3) 『청오경(靑烏經)』 | 411
4) 『황제택경(黃帝宅經)』 | 411
5) 『황제택경(黃帝宅經)』 | 411
6) 『관자(管子)』 | 411
7) 『관자(管子)』 | 411
8) 『회남자(淮南子)』 | 412
9) 『회남자(淮南子)』 | 412
10) 『회남자(淮南子)』 |413
11) 『황제내경(黃帝內經)』 | 413
12) 『시경(詩經)』 『정지방((定之方)』 | 413
13) 『시경(詩經)』 『공류(公劉)』 | 414
14) 『설심부(雪心賦)』 | 414
15) 『설심부(雪心賦)』 | 414
16) 『설심부(雪心賦)』 | 414
17) 『주역(周易)』『계사(繫辭)』 | 414
18)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 | 415
19) 『평사옥척경(平砂玉尺經)』 | 415
20) 『공자(孔子)』 | 415
21) 『금낭경(錦囊經)』 | 415
22) 『지리신법(地理新法)』 | 415
2. 우리 고서(古書) | 416
1) 『삼국유사(三國遺事)』 | 416
(1) 석탈해신화(昔脫解神話) | 416
(2) 사금갑설화(射琴匣說話) | 420
2) 『산림경제(山林經濟)』 | 421
(1) 「복거조(卜居條)」 | 421
(2) 유중림이 증보한 『산림경제(山林經濟)』 | 424
3) 『고려도경(高麗圖經)』 | 424
4) 『격암유록(格庵遺錄)』 | 425
5) 『한정록(閑情錄)』 | 427
6) 『지승(地乘)』 | 428
7) 『택리지(擇里志)』 | 429
(1) 『택리지(擇里志)』 일반 | 429
① 산수(山水) | 433
② 계거(溪居) | 435
③ 수구(水口) | 437
④ 강거(江居) | 439
⑤ 해거(海居) | 440
⑥ 하늘 | 441
⑦ 입지(立地) | 442
⑧『택리지(擇里志)』에서의 양기론 | 443
(2) 다산 정약용의 『택리지(擇里志)』 발문 | 449
3) 이익(李瀷)의 『택리지(擇里志)』 서문 | 453
4) 허균(許筠)의 『한정록(閑情錄』 | 455
5) 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山林經濟)』| 459
6) 유중림(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461
7) 홍대용(洪大容)의 말 | 468
4. 기타 외국 서적 | 468
1)『정치학』 | 468
제3장. 현대적 의미의 양기풍수 | 470
1. 길한 땅 선정방법 | 470
1) 배산임수(背山臨水) | 470
2) 집 뒤가 높고 앞이 낮은 지형?| 471
3) 보국 안쪽 | 472
4) 산의 면배(面背)를 가려 앞면을 선택 | 473
5) 맥이 이어진 땅 | 474
6) 물이나 도로가 감싸주는 안쪽 | 475
7) 주변 산들이 순하고 모양이 반듯한 곳 | 475
8)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되는 땅 | 476
9) 땅이 밝고 단단하며 배수(排水)가 잘되는 지형 | 477
10) 나무나 잔디가 잘 자라는 땅 | 477
2. 양기지로 쓰지 말아야 할 땅 | 478
1) 늪지, 천변(川邊), 연못, 호수를 매립한 땅 | 478
2) 산을 절개한 땅 | 479
3) 골짜기를 보토한 땅 | 480
4) 큰 공장이 서 있던 땅 | 482
5) 재래식 화장실, 축사, 두엄, 쓰레기 매립지였던 땅 | 482
6) 고목이나 큰 나무가 서 있던 땅 | 483
7) 암석이나 자갈이 많은 땅 | 485
8) 점토(粘土)가 많아 질퍽거리는 땅 | 486
9) 먼지가 자주 일어나고 부석부석한 땅 | 487
3. 흉한 양택지와 길한 양택지 | 488
1) 길한 양택지 | 488
2) 흉한 양택지 | 490

저자소개

안종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화천 출생으로 오래도록 책 쓰는 일과 운명학에 미쳐 있다.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서비스경영을 배우고, 한국항공대학교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기업컨설팅 업체에서 활동하였다. 지난 20여 년 동안 종린(宗燐)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며, 200여 권의 시대물, 전쟁소설 《산을 미는 강》, 영화소설 《천사몽》과 《마지막 위안부》 외에도 판타지소설, 퓨전소설, 시집 등을 저술하였으며, 번역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전국을 여행하면서 풍수지리에 몰입하였다. 2000년부터 경민대학교, 서일대학교, 경북교통연수원,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 그린농업대학, (재)경상북도경제진흥원 등 각종 학교와 국영, 지방, 공공기관에서 강의하는 한편, 다양한 기업의 풍수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저서로는 《술술 풀리는 명리학 입문 1》, 《운명을 바꾸는 명리 쉽게 배우기》, 《술술 풀리는 사주명리 입문》, 《술술 풀리는 운세 명리학 입문》,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음양오행 첫걸음》, 《풍수 수납 운명을 바꾸는 정리》, 《풍수 인테리어 운명을 바꾼다》, 《전통의 문화 음택풍수》, 《삶의 터전 양택풍수》, 《경영자 풍수》, 《기를 부르는 풍수 인테리어》 외 다수가 있으며, 현재 네이버 카페 <성보풍수명리학회>와 네이버 블로그 <성보의 풍수여행>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정국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충북 문의출생 청년시절 화학전공 나이 들어 동양철학 입문 원광 디지털대학교 동양학과를 거쳐 국제뇌교육대학교대학원에서 동양학 연구 금성풍수명리학회 회장 대한민국풍수지리연합회 상임이사겸 감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