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6141323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04-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음양오행(陰陽五行) 총론
1. 음양오행의 개요
2. 음양오행의 연원
3. 음양오행설의 기원과 전개
4. 음양오행의 근본
5. 음양설과 주역
6. 오행의 진의
7. 동양의 수리학
8. 도참설
9. 성리학과 음양오행
10. 음양오행의 문화적 적용 사례
1) 오방색
2) 오방대제(五方大帝)
① 동방|② 서방|③ 남방|④ 북방|⑤ 중앙
3) 불교에서의 오방 적용
① 동방청제 : 지국천(持國天)|② 서방백제 : 광목천(廣目天)|③ 남방적제 : 증장천(增長天)|④ 북방흑제 : 다문천(多聞天)
4) 무속의 오행
① 오방신장|② 오방기
5) 기타 오행의 적용
① 오상(五常)|② 오미(五味)|③ 오감(五感)|④ 오장(五臟)
2장 음양(陰陽)
1. 음양이란?
2. 음양론
3. 음양 이야기
4. 음양론의 정리
5. 음양의 적용
1) 풍수
2) 명리
3장 오행(五行)
1. 오행설의 전개
2. 오행 이야기
3. 상생과 상극의 이치
1) 상생(相生)
2) 상극(相剋)
4. 상생상극 적용
5. 오행의 상극과 상생의 반작용
1) 상생의 반작용
2) 상생의 역작용
3) 상극의 반작용
4) 상극의 편중
6. 편다(偏多)의 이치
1) 목다(木多, 목의 과다)
2) 화다(火多, 화의 과다)
3) 토다(土多, 토의 과다)
4) 금다(金多, 금의 과다)
5) 수다(水多, 수의 과다)
7. 오행의 비화(比和)
8. 오행의 균등과 치우침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음양오행은 사주를 푸는 근본 바탕이다. 사주명리(四柱命理)는 달리 사주라고 부르기도 하고 명리학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같은 의미이다. 명리학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삶을 음양과 오행이라는 거대한 틀에 맞추어 풀어보고 적용한다. 다양한 적용을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하여 인간의 삶에 적용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인간의 삶을 파악하는 음양오행은 기본적으로 음과 양의 조화로 이루어진다.
음양은 자연의 모습이다. 곧 자연이 음양의 모습을 보인다. 생성되어 자라나고 병들고 소멸하는 것이 모두 음양의 이치에 따른다. 귀신의 판단도 이와 같다. 살아 있는 사람에게도 내부적으로는 귀와 신이 있어 사람이 죽으면 신은 하늘로 가고 귀는 땅에 남는다. 따라서 혼백(魂魄)이라는 말이 생겼다. 혼은 정신이고 백은 육체다. 혼은 양이고 백은 음이다. 혼은 신이고 백은 귀이다. 사람이 죽으면 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백은 남아 귀가 되고 백으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