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동자원체제

공동자원체제

장훈교 (지은이)
부크크(bookk)
24,6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600원 -0% 0원
0원
24,600원 >
24,6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460원
22,1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동자원체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동자원체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37282988
· 쪽수 : 602쪽
· 출판일 : 2022-05-29

목차

01. 분석 방법으로서 ‘Commons’ 번역과 그 정의 = 공동자원체제

02. 현대 공동자원체제 프로젝트의 지형


1부 공동자원체제 접근의 역사적 출처


03. 유스티니아누스 법전과 “레스 코뮤네스”(res communes)

04. 잉글랜드 공용지(common or common land) 개념의 확장: 공동자원체제 설명의 표준 모형 등장

05. 식민화와 ‘테라 눌리우스’(Terra nullius)

06. 비서구 공동자원체제와 다른 질문들


2부 개릿 하딘과 공동자원체제의 비극


07. 개릿 하딘: 삶과 연구의 궤적

08. 공동자원체제의 비극: 개릿 하딘의 다른 독해를 위한 준비

[추기(追記)] 개릿 하딘의 ‘비극’ 개념

09. 공동자원체제의 비극에 관한 비판 유형과 그 핵심 논지

10. 죄수의 딜레마, 그리고 협력 진화 게임

11. 파편재산체제의 비극(Tragedy of Anticommons): 공동자원체제의 과잉 사유화에 따른 과소이용의 딜레마


3부 엘리너 오스트롬과 그 비판적 독해


12. 공동이용자원(Common Pool Resource) 범주의 확립과 공동자원체제 경제학의 공고화

13. 권리의 다발: 공동자원체제에 관한 배타적인 사적 소유의 사회적 제한과 다중적인 권리체제의 적용

14. 디자인 원리(Design principle)와 그 비판 및 대응

15. 엘리너 오스트롬의 다중심적 접근(polycentric approach)

16. 엘리너 오스트롬의 방법론적 난점과 공백

17. 공동자원체제와 시장, 그리고 비인간 행위성의 상호작용: 어장, 시장, 성게, 그리고 갯녹음

18. 인간 너머의 공동자원체제(The more than human commons)와 공동(재)생산활동(commoning)의 한계


4부 공동자원체제와 사회운동


19. 공동자원화 사회운동과 그 패러다임 진화

20. 새로운 농민 운동과 공동이용자원(Common Pool Resources) 개념의 확장

21. 디자인 원리(Design principle)를 통한 공동자원화 사회운동 분석의 가능성

22. 공동(재)생산활동(commoning): 사회운동의 시각

23. 두려움 없는 도시들: 유럽 새로운 도시자치주의 운동과 공동자원체제

24. 한국 공동자원화 사회운동의 부상: 예비 분석


5부 공동자원체제와 현대 생활안전체제의 재구성을 위한 탐구


25. 공동보장 윤리의 재발견과 현대 돌봄 윤리와의 접합

26. 신호 기반 다중심 조정 체제

27. 공동자원체제의 현대적 제도화를 위한 정책적 정의와 일반적 관리 원칙의 모색

28. 공동자원생활체제(commonfare) 제도 설계를 위한 서설

29. 공동자원체제와 선분배, 그리고 민주주의

30. 장기제도화 이행 관리를 위한 원칙 탐구


참고문헌

저자소개

장훈교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75년 경기도 가평에서 태어나 인천에서 자라고 배웠다. 1994년 한양대 전자공학과에 입학하기는 했지만, 졸업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2004년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 들어갔다. 2014년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의 조절사회 개념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첫 책은 밀양 송전탑 반대 운동을 다룬 『밀양전쟁: 공통자원 기반 급진민주주의 프로젝트』(2016)이다. 2016년 여름부터 일년 반 정도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이란 곳에서 일을 했다. 다음 해 2017년 12월부터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에서 일을 했다. 제주에서 약 4년을 보냈다. 제주에서 두 권의 책을 냈다. 틈틈이 공부하던 노동사회 관련 고민을 정리한 『일을 되찾자: 좋은 시간을 위한 공동자원체계의 시각』(2019)과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에서 진행하던 연구조사 활동을 정리하고자 쓴 『비틀리는 사회혁신: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2021)이다. 2021년 8월 구리로 이주해 현재 살고 있다. 지금은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강사로 일하며 책을 쓰고 있다. 도서관, 연구소, 작업장이 함께 어우러진 ‘모든이의 민주주의’라는 작은 공간을 꿈꾸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