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91138831437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4-05-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공자 사상의 기원
1) 신화의 탄생
2) 농경사회의 등장
3) 고대 국가의 형성
(1) 요·순·우
(2) 하나라
(3) 상나라
(4) 주나라
주공(周公)의 제례작악(制禮作樂)
봉건사회(封建社會)
4) 종교의 발달
(1) 천(天)
(2) 제사
(3) 조상신과 종법제
2. 공자의 시대
1) 춘추시대
사(士)의 등장
2) 노나라
3) 공자의 생애
오소야천 고다능비사(吾少也賤 故多能鄙事)
주유천하(周遊天下)
술이부작(述而不作)
공자지위집대성(孔子之謂集大成)
3. 공자의 배움(學)
1) 지우학(志于學)
쇄소응대(灑掃應對)
불치하문(不恥下問)
불사주야(不舍晝夜)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학이시습(學而時習)
2) 격물치지(格物致知)
삼강령 팔조목(三綱領 八條目)
학금사양(學琴師襄)
격물궁리(格物窮理)
3) 물유본말(物有本末)
필야사무송(必也使無訟)
일이관지(一以貫之)
4) 군자(君子)와 소인(小人)
군자불기(君子不器)
무적무막(無適無莫)
화이부동(和而不同)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惟仁者 能好人 能惡人)
5) 공자의 제자들
유교무류(有敎無類)
후생가외(後生可畏)
승당입실(升堂入室) 자로
단사표음(簞食瓢飮) 안회
호련야(瑚璉也) 자공
언필유중(言必有中) 민자건
유사질야(有斯疾也) 염백우
가사남면(可使南面) 염옹
중도이폐(中道而廢) 염구
언지언 시야(偃之言 是也) 자유
가여언시(可與言詩) 자하
후목분장(朽木糞牆) 재여
일일삼성(一日三省) 증자
과유불급(過猶不及) 자장
백성부족 군숙여족(百姓不足 君孰與足) 유약
가처야(可妻也) 공야장
방무도 면어형륙(邦無道 免於刑戮) 남용
군자재(君子哉) 자천
4. 공자의 도
1) 천명의 확립
(1) 천(天)
(2) 성(性)
성상근 습상원(性相近 習相遠)
인무유불선 수무유불하(人無有不善 水無有不下)
(3) 도(道)
불가수유리야(不可須臾離也)
인자불우 지자불혹 용자불구(仁者不憂 知者不惑 勇者不懼)
2) 관계의 정립
(1) 인의 시작
전전긍긍(戰戰兢兢)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2) 인(仁)
물시어인(勿施於人)
극기복례(克己復禮)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
(3) 인의 확장
덕불고 필유린(德不孤 必有鄰)
인이불인 여례하(人而不仁 如禮何)
회사후소(繪事後素)
3) 인의 구현
(1) 중용(中庸)
불편불의 무과불급(不偏不倚 無過不及)
군자지도 비이은(君子之道 費而隱)
천하지대본(天下之大本)
성자 물지종시(誠者 物之終始)
과유불급(過猶不及)
문질빈빈(文質彬彬)
(2) 수기(修己)
위기지학(爲己之學)
충서(忠恕)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수기이안인(修己以安人)
(3) 치인
혈구지도(絜矩之道)
거직조저왕 즉민복(擧直錯諸枉 則民服)
필야정명호(必也正名乎)
위정이덕(爲政以德)
민무신불립(民無信不立)
5. 공자의 유산
1) 유교의 전래
2) 유교의 명암
가부장적 가족주의
남녀차별
허례허식
3) 유교와 대한민국의 발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