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문화 키워드

제주문화 키워드

(제주기독신문에 3년간 연재된 제주 인문학의 주제)

문희주 (지은이)
지식과감성#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1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000원 -10% 850원 14,450원 >

책 이미지

제주문화 키워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문화 키워드 (제주기독신문에 3년간 연재된 제주 인문학의 주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39221077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24-09-09

책 소개

문화는 일상의 삶과 역사, 도덕적 사건에도 있다. 그 모든 것들이 얽히고설켜 삶의 모습으로 나타나 우리에게 문화라는 형태로 다가선다. 저자인 문희주 교수의 책은 바로 그러한 제주문화를 실감나게 접근하여 열어 주는 키의 역할을 하고 있다.

목차

추천의 글:
제주의 아픔과 눈물을 위로와 희망으로 풀어 낸 책: 정영택
문희주는 돌하르방, 작은 거인이다: 안기성
고난이 문화가 되고 설득으로 다가온다: 강성일
제주와 괌은 폴리네시안으로 공통 관심사: 변성유

제주 자연의 키워드
01. 제비들의 강남은 어디인가?
02. 백 리에 퍼지는 향기
03. 고사리 열두 형제와 야곱의 열두 지파
04. 제주찔레 돌가시낭
05. 윤낭 꿀과 삼손의 꿀
06. 토끼섬의 양면성
07. 문주란이 전하는 히브리인의 메시지
08. ᄀᆞᆯ옷의 아픔과 역사
09. 뱀 전설의 오해와 자유
10. 자리돔의 추억과 베드로 고기
11. 봉덕 구이와 갈릴리 생선
12. 수염고래와 김녕리민의 눈물
13. 샤론의 장미와 제주황근
14. 제주도와 바꾸자는 서태후의 병풍
15. 갑인년 보릿고개
16. 한 많은 제주메밀의 전설
17. 제주인과 오롬은 하나다

제주 절기의 키워드
18. 새철立春과 포수제砲水祭
19.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20. 방앳불과 민오롬의 회환
21. 신구간과 출애굽
22. 영등할망의 도래와 풍요
23. 한식의 기원과 부활절
24. 잊혀진 명절, 우리의 수릿날
25. 광해우와 엘리야
26. 물징거와 무지개 약속
27. 백중제와 모세의 만남
28. 마가림 현상과 믿음의 표적
29. 소분과 성묘
30. 추석秋夕과 초막절草幕節
31. 빈약한 제주도의 추석문화
32. 성탄절과 동지팥죽
33. 영광의 땅이 된 이방의 섬

제주 역사의 키워드
34. 삼별초난의 질문
35. 칼의 노래, 그 역사의 뒤안길
36. 상대적 접근으로 본 제주문화
37. 남방불교의 반면교사
38. 남방불교와 제주인의 종교성
39. 탐라왕국의 눈물과 애환
40. 바울의 난파와 인생 항로
41. 하멜의 제주도 난파와 귀로
42. 하멜의 생가 호린험
43. 녹산장과 어승생의 오류
44. 천고마비와 고수목마
45. 폴리네시안과 제주 원주민
46. 고려 시기 제주목사 행적(1)
47. 고려 시기 제주목사 행적(2)
48. 조선시대 제주목사 행적(1)
49. 조선시대 제주목사 행적(2)
50. 출륙금지와 한반도의 왕따정책

제주 생활의 키워드
51. 은광연세恩光衍世 거상, 김만덕
52. 군포막의 역사歷史와 성령의 역사役事
53. 열녀 김천덕과 룻의 이야기
54. 제주인의 절반이 죽은 목호의 난
55. 제주는 부부 중심 사회다
56. 삼무의 원인과 결과
57. 제주는 수렵사회다
58. 이어도와 설렁거스
59. 대낭 방장대와 머귀낭 방장대
60. 제주도 장례문화의 변화
61. 1795년, 갑인년의 흉년
62. 보릿고개와 제자들
63. 귀국선과 제주 흉년
64. 간 빼 먹는다는 오해와 호열자
65. 도비상귀盜匪商鬼의 속이는 저울
66. 제주 잔칫집과 돗괴기반
67. 애달픈 시절, 제주를 살린 것들

Epilogue: 문화는 자연·역사·삶의 바탕이다
부록 1. 역대 탐라 성주·왕자의 사적표
부록 2. 제주목사(방어사)의 사적표

저자소개

문희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에서 나고 자란 본토인으로 1970년대 외항선 기관사로 다년간 항해하였다. 폐 결핵 3기로 하선 후 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하 고 중국 모 대학의 교수와 학장 재임시에 만 주와 내몽골에서 20여 년간 북방지역을 탐사 했다. 태국에서 10여 년간 거주하며 한국어 교수로 활동하였으며 2021년 귀국 시까지 코 디네이터로 외몽골과 중앙아시아, 연해주 등 을 수개월 간 머무르며 탐사하고 《제주문학》 등에 발표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 6년여 간 ‘제 주오롬’과 문화에 대하여 일간지와 월간지 등 에 기고하였다. 현재는 사단법인 제주오롬문화 이사장과 제 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오롬문화탐구반 교수, <삼다일보> 제주오롬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는 『제주문화 키워드』와 『오롬 부르는 소리』 등 30권을 발간하였다.
펼치기
문희주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922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