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3922177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목차
서문
1. 민족의 현실을 직면한 청소년 시절
시인의 출생 / 105인 사건과 아버지의 망명 / 3·1 만세운동 / 방랑이 시작되던 시절 / 민족교육을 받으며 / 민족의 현실을 암시적으로
2. 조국의 독립을 생각하다
3·1운동 기념일을 맞으며 / 시인이 된 검갈매기 / 노스 파크 대학 시인클럽과 영시 / 윌슨 문학회와 코즈모폴리턴 클럽 / 재미한인사회과학연구회를 창립하고 / 고국에 대한 사랑을 문학예술로 표현하고 / 흥사단 가입과 청년 활동 / 이승훈의 서거와 안창호의 체포 / 청년 한흑구의 혈기가 묻은 시 / 친구의 사망과 축출 앞에서 / 의미 있는 고학 생활 / 조선으로 귀국을 준비하며
3. 조선으로 돌아오다
귀국선을 타고 / 『대평양(大平壤)』 창간과 작품 활동의 시작 / 김세형과 재회, 그리고 『먼 길』 / 항일 작품을 발표하면서 / 어머니와 사별 / 『백광(白光)』 창간과 수양동우회 활동 / 검열로 삭제된 원고와 방송 / 성대장 주인의 농촌 생활 / 눈 감지 않은 동면
4. 자유민주주의적인 조국, 평화로운 세계를 꿈꾸며
조국 해방과 닭 울음 / 삼팔선을 넘어 / 아버지의 선종 / 미국에서 체험한 것을 / 이념 대립 속에서 『문화시보』의 편집을 맡고 / 서울을 떠나 포항으로 / 번역과 창작 활동 / 문화운동과 이북인회 조직, 그리고 전쟁
부록 1. 흑구 한세광의 필명과 표기에 관하여
부록 2. 인터넷 게시 사전류에 나타난 한흑구의 이력에 관하여
부록 3. 독립운동가 한승곤(韓承坤)
부록 4. 농촌계몽운동가 방정분(邦貞分)
[그림 1] 한흑구가 다니던 평양 산정현교회 주일학교의 1915년의 모습.
[그림 2] 평양의 숭인학교.
[그림 3] 한흑구(한세광)의 시 「거룩한 새벽하늘」 원문.
[그림 4] 1929년~1930년 사이 노스 파크 대학의 주니어 칼리지 시절의 한흑구.
[그림 5] 1930년 College Freshmen 동기생들의 모습.
[그림 6] 1930년 노스 파크 대학의 시인클럽에서 발간한 동인지 Pegasus 창간호와 판권지.
[그림 7] 한흑구가 최초로 발표한 영시들.
[그림 8] 한흑구가 흥사단 입단 서약을 하였던 흥사단 단소.
[그림 9] 귀국 당시의 한흑구(한세광).
[그림 10] 동우회 추계원족회 참석자 명단.
[그림 11] 평양문인좌담회 장면.
[그림 12] 동우회 평양지방회 명부.
[그림 13] 강서군 성태면 연곡리의 모습.
[그림 14] 1945년 월남 후 서울 생활 시절의 한흑구.
[그림 15]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시절의 한흑구.
[그림 16] 한승곤 목사 장례식.
[그림 17] 광복 후 최상수 민속학자의 집에서.
[그림 18] 『신한민보』(1929년 12월 12일)에 게재된 한흑구가 필명 ‘검갈메기(검갈매기)’로
발표한 시 「무뎨록」의 첫 부분.
[그림 19] 1955년 10월에 발간한 『디 애틀랜틱(The Atlantic)』의 표지.
[그림 20] 1956년 1월에 발간한 『디 애틀랜틱(The Atlantic)』의 표지.
[그림 21] 1949년 한흑구가 번역 출간한 『현대미국시선』(선문사)의 속표지.
[그림 22] 1926년 안창호, 한승곤, 장리욱.
[표 1] 흑구 한세광의 이름과 필명에 대한 표기.
각주 겸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