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41054564
· 쪽수 : 399쪽
· 출판일 : 2023-11-23
목차
들어가기: 의식과 사유 그리고 문자의 여정 7
제1장 달과 태일(太一)사상 32
1. 달과 북극성 우물 그리고 두레박 32
1.1. 달 월月: 영원한 어머니 빛 34
1.2. 태일-신-역: 大一(太乙)-申-易 41
1.3. 빛방울과 움 속을 흐르는 어머니 태일수 : 水勿-母子 50
1.4. 태일신太一申 - 태일수大一水 ? 땅 곤 坤-님금 왕王 51
1.5. 태일신(태을)과 태을궁: 乙-玄-弓 55
2. 태일현 太一玄(太乙玄) : 달-어둠-어머니 빛 66
2.1. 검을 현 玄: 大一 - 乙 ? 申- 易-玄 66
2.2. 태일수大一水:넉 사-네모 -사방-사시: 水-井-四方-四時 69
2.3. 우물 정井: 우물의 빛 72
2.4. 현자 玄玆: 씨알에 스며들어 빛이 되다 74
2.5. 태일현大一玄의 법: 씨알을 살리는 빛 81
3. 태일현 太一玄의 빛 :영원의 의식과 영혼의 빛 89
3.1. 영원과 영혼의 빛 : 미르 용龍, 님금 제帝, 매울 신辛 90
3.2. 검을 현玄-비울 허 虛-길 양? : 만물을 기르는 어머니 물 -깊은 산 샘물 93
3.3. 태일太一의 사유:井行-母子-水勿 97
3.4. 달의 빛 -님금-미륵-붓다·부처 113
4. 우리말의 형성원리 121
4.1. 말과 소리 121
4.2. 글자- 가림다-가림토-: 빛의 길을 가리키다 125
4.3. 미음-이응-시옷: 네모와 동그라미 그리고 세모 126
4.4. 소리의 형성원리와 의미 127
4.5. 우리말 태을-신-역 134
제2장 정행의 사유: 井行?圓方-五方 140
1. 어둠과 빛의 의식 : 北斗-內外- 南北 140
1.1. 북극성 우물과 두레박: 北-斗 141
1.2. 앞과 뒤: 앞 남南 뒤 북北: 나아가다-돌아오다 144
1.3. 안과 밖 內-外 145
2. 정행 井行: 우물 속 빛의 길 151
2.1. 우물 정 井 : 어머니 모태와 빛의 씨알 151
2.2. 빛의 길은 둥근 길이다: 녈 행行 154
2.3. 클 대大 ? 동남서북 東南西北: 씨알 속 빛의 둥근 길 160
2.4. 우리말의 우물의 빛과 사방의 의식 164
3. 영원의 의식 道 170
3.1. 영원히 흐르는 물 勿-水-永-?-??-道 170
3.2. 높은 산 깊은 샘물- 계곡물: 길 양? 174
3.3. 빛의 영원의 길: 道 178
4. 방위와 수의 의식: 빛이 흐르는 방향과 빛의 증감 185
4.1. 사방-네모: 넉 사四-모 방方 185
4.2. 중앙의 빛 : 우물-씨알 속 빛 十-五-才 -在 189
4.3. 하나 일, 두 이, 석 삼 : 一- 二 - 三(參) 198
4.4. 실-매다-줄: ?-系-受 202
4.5. 다섯 오五 -나 오吾: 우물의 빛의 의식과 자의식 207
4.6. 여슷 륙-닐굽 칠-여듧 팔-아홉 구-열십 211
5. 오행-하도-팔괘: 하늘과 땅에서 흐르는 빛의 형상 213
5.1. 오행 ? 하도 - 팔괘: 五行 - 河圖 - 八卦 213
5.2. 형상의 의식: 우물 속 빛 型-身-同 223
5.3. 움 속을 흐르는 빛 井 -同: 곽점본 노자의 居一과 玄同 226
5.4. 마음우물 속 빛-의식-말: 井-同: 靑-情-淸-精-靜-文-意-語 229
5.5. 복희-빛의 길을 열다 : 햇귀(햇빛) 희-羲 - 옳을 의義 236
6. 북극성 우물과 빛의 의식: 영성과 지혜-모성과 자의식 242
6.1. 영혼의 나침반: 斗-子-必-止- 足-正- 智 242
6.2. 존재는 빛방울이다 : 雨-靈 -零- 洛 -者 -路 251
6.3. 씨알 속 빛의 길: 降-止 -木- 某-果-禾- 來- 世-年-成歲-滅 -戌 261
6.4. 북극성 우물 -어머니 품: 北-井: 亞-壬-癸-中-安-坪-帝 270
6.5. 해질녘 어둠이 내리다-성스러운 빛 : 良-西-北-井 -城-郭-? 278
6.6. 성스러운 빛과 ‘나’ 의 자의식: 癸-成-城-我-戈-聖 285
6.7. 아해-사나이 : 돋아나는 빛-씨알 속 빛을 사르라 290
제3장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 295
1. 하늘 천天 295
1.1. 하늘 우물: 大一-天-井 295
2. 땅 지地: 太一申-흘러내리는 빛 298
2.1. 땅 곤 坤: 大一申-太一水- 王 298
2.2. 내릴 강降(地) 300
2.3. 따 지 地=?: 스며드는 빛 303
3. 둥금 [검-금-큼]: 태일-한을 大- 大一(大乙)-天 308
3.1. 검을 현 누를 황 누리 세: 玄-黃-世 314
3.2. 태고인의 우주론: 하늘과 땅은 달 어머니 빛과 숨결이 흐르는 곳이다 317
3.3. 덕德으란 곰배에 받잡고, 복福으란 님배에 받잡고 321
4. 사람 인人: 살리는 빛-모성-어짐 323
4.1. 빛방울 물勿: 스며들어 씨알의 빛이 되다: 勿-入-人-亡-內-大-身 323
4.2. 빛의 씨알: 火-亦- 光-赤 326
4.3. 피어나는 꽃봉오리 某-黃-菫 329
4.4. 세상을 밝히는 빛皇-?-僕 -樸-璧 330
4.5. 무사無事의 다스림: 생명의 나무-씨알의 빛을 기르는 자 338
4.6. 만물을 살리는 빛- 활과 화살: 商 -乙 -弓-矢-夷- 侯-夜 339
5. 하늘의 아들: 天子 351
5.1. 한울님: [검(玄)-금(金)-광(光)-큼(大)-군(君)] 351
5.2. 구석기 신석기 시대 동이의 세상 - 미륵의 세상 354
5.3. 하나의 뿌리에서 갈라진 두 문명: 말-소리 문명과 문자문명 358
5.4. 도구적 지식과 영지 그리고 지식을 부정하는 노자 369
나오기 379
끝맺는 말 391
참고문헌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