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41600952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목차
젖은 방 _007
그 이름 아그네스 _019
허기 혹은 질투 _058
가을의 사다리 _108
미완의 책 _168
그의 딸 그의 누이 _221
마지막 무대 _273
해설|인아영(문학평론가)
모든 틈새는 장소다 _31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의 한 살도 나의 열한 살도 이렇게 무대인지 벼랑인지 모를 어떤 모서리에 선 체험이었으리라. 새로운 끝 아니면 시작이었으리라. 둘을 적당히 곱하고 더해 가까스로 도달한 서른 살의 봄 지금처럼.
‘자기소개’는 인생의 새로운 단계,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을 암시했다. 다들 자연스럽게 나를 알고 있으려니 하는 유년의 수동성을 넘어 당당히 내가 바로 아무개라고 자기를 주장해야 하는 세계, 서로의 존재를 매번 정겨운 방식으로 일깨우는 공동체가 아니라 각지고 독립된 개체의 삶을 책임져야 하는 사회, 그런 어른들의 세계로 진입하기 위해 우리는 자기소개를 해야 했다. 자기소개라는 절차는 일종의 폭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소개자는 자기 이름을 모두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명료히 발음해야 했고, 청중은 소개자가 임의로 요약한 그 혹은 그녀의 존재성을 강제로 받아들여야 했다. 자기소개는 소극적인 자들이 도태되고 적극적이고 용감한 자들만이 살아남는 세계로의 입사식이었다. 불리기를 기다려서는 안 되고 어떻게든 적극적으로 부르심을 유도하는 방식, 다른 사람들이 자기 이름을 한시바삐 소비하도록 이름을 세일하는 방식이었다.
거칠게 부서지는 파도와 무섭게 타오르는 불길 속으로 곤두박질치는 꿈의 순간에도 나는 내 이름을 애타게 부르는 목소리를 들었고, 내 귓가에 흐느끼듯 부서지는 그 목소리가 있는 한 언제든 우아하고 아름답게 죽어갈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