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41957810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24-09-23
목차
차례 소개
?머리말 13
제1장 『命理約言』의 소개 16
1. 『命理約言』의 소개 16
2. 원서(袁序) 21
3. 장서(蔣序) 26
4. 위서(韋序) 29
제2장 천간(天干)의 합과 충 32
1. 천간의 의의(意義)와 작용(作用) 32
2. 천간의 합(合) 37
3. 천간의 합화(合化) 40
4. 천간의 충(沖) 45
제3장 지지(地支)의 작용(作用) 48
1. 지지의 의의(意義)와 작용(作用) 48
2. 지지의 충(沖) 57
3. 지지 묘고(墓庫)의 충 59
4. 지지의 암충(暗沖)과 암합(暗合) 61
5. 지지의 방합(方合) 65
6. 지지의 해(害) 또는 천(穿) 67
7. 지지의 형(刑)과 합록론(合祿論)·형합부(刑合附) 69
8. 지지의 암합(暗合)과 육합(六合) 72
9. 지지의 삼합(三合) 76
10. 지지의 십이운성(十二運星) 78
11. 지지의 왕상휴수(旺相休囚) 82
12. 일행(一行)과 일기(一氣) 및 양신(兩神) 83
1) 일행(一行)을 보는 방법 83
2) 간지일기(干支一氣)를 보는 방법 85
3) 양신(兩神)을 보는 방법 87
13. 태세(太歲)와 공망(空亡) 89
14. 역마(驛馬)와 겁살(劫煞) 91
15. 지간복재(支干覆載) 94
16. 각종 신살(神煞) 27종 95
제4장 십성(十星)을 보는 방법과 생극제화(生剋制化) 111
1. 십성을 보는 방법 111
2. 십성의 성정(性情)을 보는 방법 119
3. 비겁(比劫)을 보는 방법과 작용(作用) 121
4. 식상(食傷)을 보는 방법과 작용(作用) 123
1) 식신(食神) 124
2) 상관(傷官) 128
5. 재성(財星)을 보는 방법과 작용(作用) 134
1) 편재(偏財) 135
2) 정재(正財) 137
6. 관성(官星)을 보는 방법과 작용(作用) 140
1) 편관(偏官) 140
2) 정관(正官) 145
3) 정·편관의 제거(制去)와 잔류(殘留) 149
7. 인성(印星)을 보는 방법과 작용(作用) 157
1) 편인(偏印) 159
2) 정인(正印) 160
제5장 간지론(干支論) 164
1. 공협(拱夾)·종국(從局)·양신성상(兩神成象) 164
2. 비겁녹인(比劫祿刃)·종국(從局) 169
제6장 사주팔자(四柱八字)와 행운(行運)을 보는 방법 174
1. 사주팔자의 구성(構成) 174
1) 명(命)을 보는 방법 174
2) 태어난 생년(生年)을 보는 방법 177
3) 태어난 월령(月令)을 보는 방법 178
4) 태어난 일주(日柱)를 보는 방법 184
5) 태어난 시간(時間)을 보는 방법 185
2. 대운(大運)과 유년(流年) 188
1) 대운(大運)을 보는 방법 188
2) 유년(流年)을 보는 방법 193
3. 격국(格局)을 보는 방법 197
4. 용신(用神)을 보는 방법 207
5. 여자의 명(命) 210
6. 소아(어린아이)의 명(命) 216
7. 귀천(貴賤)·빈부(貧富)와 길수(吉壽)·흉요(凶夭)를 보는 방법 218
1) 귀천(貴賤)을 보는 방법 218
2) 빈부(貧富)를 보는 방법 220
3) 부귀(富貴)·길수(吉壽)·빈천(貧賤)·흉요(凶夭)를 보는 방법 221
8. 길흉(吉凶)과 수요(壽夭)를 보는 방법 229
1) 길흉(吉凶)을 보는 방법 229
2) 장수와 조기사망을 보는 방법 230
9. 질병(疾病)을 보는 방법 232
10. 오늘날 공무원 합격 운을 보는 방법 233
제7장 잡론(雜論) 이십사칙(二十四則) 236
제8장 부장신봉벽오행제류(附張神峯闢五行諸謬) 십칙(十則) 252
?맺음말 258
?참고문헌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