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195356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4-08-23
책 소개
목차
서문 : 디지털 폴리스, 새로운 공동체의 모색 5
1부 디지털 플랫폼과 문화 생산
기다리는 시간 제거하기 : 자동화된 노동의 가시성, 시간성, 취약성 (채석진) 22
매개된 유토피아와 진정성의 탐색 : 귀촌 브이로그를 통해 본 청년의 삶-노동 에토스 (홍남희) 56
가상 세계 대 ‘현생’, 혹은 다중 세계를 횡단하기 : <내언니전지현과 나>와 유저들의 생존기 (배주연) 93
2부 매개된 유토피아의 재현
진보 없는 시대의 유토피아 : 타임루프 장르의 서사학적·기술문화적 맥락과 이데올로기 연구 (유인혁) 124
인류세 시대의 유스토피아와 사이보그-‘되기’ : 『지구 끝의 온실』을 중심으로 (이양숙) 160
중화미래주의, 디지털 유토피아와 테크노 오리엔탈리즘 사이에서 (김태연) 212
3부 디지털 폴리스 그리고 공동체
디지털 시대의 혐오 : 자아상실의 공포와 상상계적 봉합 (이현재) 250
기후 위기 시대의 인공지능 : 한국 SF에 나타난 AI와 기후 위기의 서사 (노대원) 290
사물들의 플랫폼으로서의 디지털 폴리스와 블랙박스를 펼치는 사물의 정치 (김은주) 327
수록 글 출처 362
글쓴이 소개 365
저자소개
책속에서
디지털 기술 혁신은 기술의 접근과 활용에 따른 경제적 구조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공동체의 ‘사회 정치적’ 의미를 재가치화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네트워크 기술의 결합은 친밀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에 이르기까지 미래의 인간관계와 공동체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 분명하다.
― 서문
디지털 경제의 확산 속에서 추구되는 기다리는 시간의 제거는 동등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감각과 돌봄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한 적대감의 확산으로 이어진다. 여기에 ‘우리’는 없다.
― 기다리는 시간 제거하기
청년들의 도시 탈주 욕망, 도시적 삶이 가진 문제와 한계들, 진정성을 찾아 헤매는 청년의 열망이 결합하여 청년 귀촌이 구성되고 있다. 내 삶의 주인이 되는 과정으로 그간 억압되어 있던 ‘나’의 존재를 발견하고, 내가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찾으며, 자연의 일상 속에서 청년들은 위안을 받는다.
― 매개된 유토피아와 진정성의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