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폴리스

디지털 폴리스

(디지털 플랫폼, 유토피아, 공동체)

김은주, 김태연, 노대원, 배주연, 유인혁, 이양숙, 이현재, 채석진, 홍남희 (지은이)
갈무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폴리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폴리스 (디지털 플랫폼, 유토피아, 공동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195356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4-08-23

책 소개

카이로스총서 106권. 디지털 기술로 인한 인간 존재의 변화와 디지털 도시성의 변화가 어떻게 공동체를 달라지게 했으며, 어떤 공동체가 생겨날 수 있는지에 관한 탐구이다.

목차

서문 : 디지털 폴리스, 새로운 공동체의 모색 5

1부 디지털 플랫폼과 문화 생산
기다리는 시간 제거하기 : 자동화된 노동의 가시성, 시간성, 취약성 (채석진) 22
매개된 유토피아와 진정성의 탐색 : 귀촌 브이로그를 통해 본 청년의 삶-노동 에토스 (홍남희) 56
가상 세계 대 ‘현생’, 혹은 다중 세계를 횡단하기 : <내언니전지현과 나>와 유저들의 생존기 (배주연) 93

2부 매개된 유토피아의 재현
진보 없는 시대의 유토피아 : 타임루프 장르의 서사학적·기술문화적 맥락과 이데올로기 연구 (유인혁) 124
인류세 시대의 유스토피아와 사이보그-‘되기’ : 『지구 끝의 온실』을 중심으로 (이양숙) 160
중화미래주의, 디지털 유토피아와 테크노 오리엔탈리즘 사이에서 (김태연) 212

3부 디지털 폴리스 그리고 공동체
디지털 시대의 혐오 : 자아상실의 공포와 상상계적 봉합 (이현재) 250
기후 위기 시대의 인공지능 : 한국 SF에 나타난 AI와 기후 위기의 서사 (노대원) 290
사물들의 플랫폼으로서의 디지털 폴리스와 블랙박스를 펼치는 사물의 정치 (김은주) 327

수록 글 출처 362
글쓴이 소개 365

저자소개

이현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교수다. 사회철학과 여성철학을 전공했다. 2004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에서 인정 이론을 여성주의의 관점과 접목한 논문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Identitatsbegriffe aus Feministischer Perspektive)≫(여이연, 2007)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도시인문학’이라는 융합 학문 분야를 구축하는 작업에 집중해 왔다. 도시성을 기반으로 친밀 관계와 감정 양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연구하는 데 몰두했다. 2016년부터는 국내에 새롭게 등장한 온라인 기반 페미니즘에 관심을 기울이는 가운데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난 비체들≫(들녘, 2016)을 출간했다. 최근에는 포스트휴먼, 돌봄, 신유물론, 성차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심화하고 있다. 공역서로는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사월의책, 2011)과 낸시 프레이저의 ≪모욕과 불평등을 넘어≫(그린비, 2016) 그리고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페미니즘≫(아카넷,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재의 다른 책 >
채석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영국 서섹스대학에서 삶의 취약성과 디지털 미디어 사용의 관계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미디어인류학적인 방법으로 디지털 미디어 확산 속에서 구성되는 새로운 양식의 삶, 노동, 정치를 연구해 왔다. 저서 : 『문턱의 청년들』 (2021, 공저),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2018, 편저), 『다양성의 시대, 환대를 말하다』(2018, 공저), 『한국 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 정치』(2011, 공저), 『글로벌 시대 미디어 문화와 다양성』(2006, 공저)
펼치기
이양숙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융합전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최재서 문학비평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대소설과 도시미학, 디지털 도시 문명과 도시공동체, 도시인의 감정과 친밀관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 :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2 : 중국』(2018, 공저), 『임화문학연구 5』(2016, 공저), 『현대소설과 글로벌폴리스』(2016), 『서울의 인문학 : 도시를 읽는 12가지 시선』(2016, 편저), 『1930~40년대 경성의 도시체험과 도시문제』(2016, 공저) 등
펼치기
노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6회 대산대학문학상 평론 부문과 2011년 『문화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연구서 『몸의 인지 서사학: 질병과 치유의 한국 소설』, 공저로는 『디지털 폴리스』 『포스트휴먼과 융합』 『팬데믹 모빌리티 테크놀로지』 『의료문학의 현황과 과제』 등이 있다. 현재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에서 AI 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풀브라이트 방문 학자로 선정되어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 중이다.
펼치기
노대원의 다른 책 >
김태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후, 서울대학교 중문과에서 석사학위를, 중국 베이징대학 중문과에서 현대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교수이다. 저서로 『디지털 폴리스』(‌공저, 2024‌), 『21세기 중국사회의 문화변동』(‌2013‌), 역서로 『아이돌이 된 국가』(‌공역, 2022‌), 『이미지와 사회』(‌공역,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들뢰즈와 브라이도티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포스트 휴먼의 윤리학과 페미니즘, 시민권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 : 『페미니즘 철학 입문』(2021), 『디지털 포스트 휴먼의 조건』(2021, 공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2020, 공저),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2017),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 등 역서 : 『변신 :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2020), 『페미니즘을 퀴어링!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페미니즘 이론, 실천, 행동』(2018, 공역), 『트랜스포지션 : 유목적 윤리학』(2011, 공역)
펼치기
김은주의 다른 책 >
유인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학창작학부 조교수.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근대문학에서 웹소설에 이르는 다양한 서사 형식에 나타난 공간적 실천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웹소설은 네트워크화된 개인을 어떻게 재현하는가?」(2020), 「노동은 어떻게 놀이가 됐는가? : 한국 MMORPG와 게임 판타지 장르소설에 나타난 자기계발의 주체」(2019), 「한국 근대문학의 용산 ― 식민지시기 조선인의 용산 경험과 탈식민적 심상지리의 구축」(2019) 등이 있다. 저서 :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펼치기
배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연구자.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및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겸임교원. 대학과 대학원에서 수학, 정치학, 영화이론, 영화사, 문화영상미디어학을 공부하였다. 현재는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가 기억의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 관해 연구하며, 아시아영화들이 표상하는 국가 폭력과 식민의 기억, 포스트메모리와 젠더, 기억의 정치 등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저서 : Competing Memories of the Gwangju Uprising and Democratization in Post-Cold War Korea (근간, 편저),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2022, 공저), 『연구자의 탄생』(2022, 공저), Korean Screen Cultures : Interrogating Cinema, TV, Music and Online Games (2016, 공저), 『단편영화를 말하다』(2009, 편저)
펼치기

책속에서

디지털 기술 혁신은 기술의 접근과 활용에 따른 경제적 구조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공동체의 ‘사회 정치적’ 의미를 재가치화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네트워크 기술의 결합은 친밀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에 이르기까지 미래의 인간관계와 공동체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 분명하다.
― 서문


디지털 경제의 확산 속에서 추구되는 기다리는 시간의 제거는 동등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감각과 돌봄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한 적대감의 확산으로 이어진다. 여기에 ‘우리’는 없다.
― 기다리는 시간 제거하기


청년들의 도시 탈주 욕망, 도시적 삶이 가진 문제와 한계들, 진정성을 찾아 헤매는 청년의 열망이 결합하여 청년 귀촌이 구성되고 있다. 내 삶의 주인이 되는 과정으로 그간 억압되어 있던 ‘나’의 존재를 발견하고, 내가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찾으며, 자연의 일상 속에서 청년들은 위안을 받는다.
― 매개된 유토피아와 진정성의 탐색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