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시민운동/NGO/NPO
· ISBN : 9791155310540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4-09-0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이석태
1부 시대의 공기와 참여연대
1장. 현대 사회운동의 세계사적 맥락과 참여연대의 시대 조대엽
2장.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와 참여연대 정태석
2부 참여연대의 역동 ― 다섯 가지 전략
1장. 참여연대 운동 방식의 흐름과 전망 조철민
2장. 회원 분석을 통해서 본 참여연대의 현재 최종숙
3장. 참여연대 내부 의사 결정 구조와 운영 과정 평가 ― 민주성의 측면에서 박영선
4장. 참여연대의 온라인 미디어 활동 현황과 과제 조희정
5장. 한국 사회 변동과 참여연대의 연대 전략 이창언
3부 20년의 활보 ― 참여연대의 실천과 한국의 변화
1장. 참여연대의 정치 참여와 한국 정치의 변화 정상호·정동철
2장. 사법감시센터 ― 민주적 법의 지배를 위한 긴 여정 한상희
3장. 참여연대와 경제개혁운동 ― 경제 민주화의 관점에서 유철규
4장. 참여연대 평화운동의 성과와 과제 정현곤
5장. 참여연대의 사회복지운동 평가 ―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조흥식
6장. 실천 학문의 장, 참여연대 연구 현황 분석 박영선
4부 미래 20년 ― 전환과 모색
1장. 참여민주주의 이후의 민주주의 ― 생활민주주의와 생활공공성운동의 전망 조대엽
2장. ‘민주주의 2.0’의 실현을 위한 ‘2단계 시민운동’의 혁신 과제들 ― 참여연대를 중심으로 조희연
3장. 참여연대 20년 운동 평가와 운동 방식 개선을 위한 제언 이승희
책속에서
한국 사회가 숨 가쁘게 겪어온 지난 20년은 참여연대에게도 격동의 시간, 질풍노도의 순간들이었다. 창립 초기의 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운동, 부패방지법 제정 운동, 소액주주운동 등을 비롯해 2000년의 총선시민연대 활동, 이라크 파병 반대 운동, FTA 체결과 연관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운동, 그리고 천안함 사건에 이르기까지 참여연대는 지난 스무 해 동안 한국 사회에서 벌어진 격변의 맨 앞에서 개개의 상황이 던지는 문제점을 정확히 포착하고 좀더 진전된 방향으로 해결될 수 있게 노력했다. 참여연대는 그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들에 대해 치열한 비판과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려 애썼다. 참여연대에 주어진 시대적 과제를 외면하지 않고 그 해결의 중심에서 이탈하지 않으려 했다. 아울러 참여연대는 시민의 처지와 눈높이에서 시민의 대변자로서 정치권력과 시장권력을 감시하려 진력했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 아래에서 권력의 하수인 노릇에 익숙해진 검찰과 사법부를 상대로 처음으로 조직적인 감시 활동을 펼쳤다.
시민의 생활 자체를 정치와 민주주의의 본질로 삼는 본원적이고 포괄적인 진화된 민주주의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 시대의 왜곡된 정치 현실은 시민의 실질적 삶이 정치와 민주주의와 국가로부터 배제되고 분리된 기형성에서 대부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런 기형적 삶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정치와 정부의 중심에 시민의 생활을 두고, 시민의 생활 속에 정치와 민주주의와 국가가 내재하는 ‘생활민주주의’적 지향이 도모돼야 한다. 이를 통해 권력에 대한 감시를 참여적이고 숙의적인 제도의 구축과 시민 생활 지향적 정책 실현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모색해야 한다. …… 시민사회의 현장 차원에서 생활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생활공공성 실현 운동에도 새로운 관심을 모아야 한다.
시민의 생활 자체를 정치와 민주주의의 본질로 삼는 본원적이고 포괄적인 진화된 민주주의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 시대의 왜곡된 정치 현실은 시민의 실질적 삶이 정치와 민주주의와 국가로부터 배제되고 분리된 기형성에서 대부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런 기형적 삶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정치와 정부의 중심에 시민의 생활을 두고, 시민의 생활 속에 정치와 민주주의와 국가가 내재하는 ‘생활민주주의’적 지향이 도모돼야 한다. 이를 통해 권력에 대한 감시를 참여적이고 숙의적인 제도의 구축과 시민 생활 지향적 정책 실현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모색해야 한다. …… 시민사회의 현장 차원에서 생활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생활공공성 실현 운동에도 새로운 관심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