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91155401262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8-04-1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창의성을 넘어선 창의성, 인류 진화의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_이상희
들어가는 글: ‘증보판 진화론’이 발견한 인류 진화의 결정적 원리, 창의성
1부 돌과 막대기: 최초로 창의성을 발휘한 순간
1장 창의성은 영장류에서 시작됐다
2장 호미닌의 마지막 후손
2부 저녁에 뭘 먹지?: 함께 식사하며 서로를 길들이는 삶
3장 어떤 위험도 무릅쓰고 ‘칼 만들기’
4장 죽이고 먹고 즐기는 ‘사냥의 파티’
5장 아름다운 질서, ‘공동체’라는 진화의 동력
6장 안정적인 식량 확보를 위한 ‘서로를 길들이기’
3부 전쟁과 성: 인간이 만든 이 아름다운 지옥
7장 전쟁(과 평화)은 (나란히) 진화했다
8장 경이롭고도 성가신 창의적 성의 세계
4부 종교, 예술, 과학: 인류가 우주를 창조하다
9장 이 멋진 세계의 창시자, 종교
10장 아름다움을 향한 모든 창조의 몸짓, 예술
11장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오래된 상상력, 과학
나가는 글: 200만 년의 인류 진화사가 펼쳐내는 창의적 삶의 가이드
감사의 글
주석
리뷰
책속에서
내가 이 책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종합이론’은 진화와 관련하여 당대의 가장 앞선 이해와 해석에 굳건한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해석들은 불과 지난 수십 년 사이에 형성된 것들이다. 진화 이론은 150년도 더 전에 찰스 다윈과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가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를 처음 제기한 이래 8 상당히 변화했다. 현재 진화 과정을 가장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입장을 ‘증보판 진화론적 종합이론’이라고 하는데, 이 이론은 단순한 자연선택을 넘어 각기 다른 다양한 경로들을 중심에 놓고 동식물 등 모든 생물이 진화하는 과정과 이유를 설명한다.
‘길들이기’란 식물이나 동물에게서 인간이 가장 이롭게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이 강화되도록 종을 개조하는 것이다. 밀이나 쌀의 경우, 씨(곡물의 낟알)의 크기를 키우고 이삭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 후대 번식을 인간에게 의존하게끔 만든다. 염소나 소는 더 작고 순한 품종이 나오도록 개발하여 정착지 안에, 또는 주변에 머물며 사람의 지시를 따르는 법을 습득하게 하고, 빨리 성숙하여 인간에게 고기와 우유, 뼈와 뿔 등을 공급하도록 만든다. 개의 경우는 길드는 과정이 확실하지 않다. 아마 개와 사람은 서로를 길들였던 것 같다. 지금 우리가 보다시피, 인간이 식량화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시작했던 매우 드문 길들이기 시도에 속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