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91155401842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1-04-0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시대의 왜곡이 개인들에게 던지는 질문, “그대들, 어떻게 살 것인가”
1장 개인주의란 무엇인가
근대문명의 코어이자 자유와 평등의 주체
개인주의는 어떻게 등장했고 몰락하는가
근대인의 정체성, 개인?시민?인간
2장 우리는 어떻게 개인이 됐는가
이디오테스, ‘바보’로 불리는 개인의 탄생
‘유한한’ 개인의 ‘절대적’ 고양
‘개인의 연대기’로서의 문학
신민에서 개인으로, 근대문명의 지각변동
과학 공동체가 마련한 휴머니즘
개인주의, 민주주의?휴머니즘과 짝을 이루다
이성의 ‘공적’ 사용과 개인의 ‘이동’ 가능성
이성의 ‘사적’ 사용에서 ‘도구적’ 사용으로
이성과 공감에 바탕을 둔 휴머니즘
‘자연상태(생존)’에서 ‘사회계약(공존)’으로
‘진보’라는 이름으로, 시장경제와 개인의 성장
욕망이 이끄는 자본주의 사회의 풍경
3장 개인은 지금 어떤 시대를 사는가
흩어지는 동시에 비슷해지는 개인들
돈키호테, 현실과 대결하려는 개인들의 모델
소비자들의 ‘차별짓기’를 통한 개성의 실현
죽지도 살지도 못하는 ‘자동화된 삶’
멍청함은 어떻게 ‘키치’가 되는가
데이터교도와 디지털 파놉티콘의 세계
‘거대한 추상화’에서 한 인간의 ‘구체성’으로
4장 개인주의 사용을 위한 15가지 제안
1. 교양, 인간다움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
2. 인공지능, 정신이 아닌 물질의 승리
3. 과학기술, 파괴의 기계인가 공생의 도구인가
4. 이미지, 민낯을 가리는 전시의 세상
5. 거창한 표현들, 삶을 지배하는 언어의 난무
6. 트렌드, 개인의 창의성을 가로막는 허상
7. 얼룩말 무늬, 달팽이들을 위한 최소한의 약속
8. 자존심, 개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윤리
9. 모동숲, 게임으로 알아보는 개인주의 사용법
10. 강한 선택, 삶과 사회에 대한 근본적 책임
11. 강한 평가, 자기와의 올바른 관계 정립
12. 거리두기, 개인주의 문화 정착을 위한 기회
13. 경제의 민주화, 바람직한 미래사회의 기초
14. 증여, 세계공화국으로 나아가는 조건
15. 장미, 이름으로 다 포괄할 수 없는 깊이
나오는 글
비대면 시대의 길목에서 마주하는 인간의 얼굴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개인으로서 존재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 질문에 응답하기 위해 먼저 인류 문명의 전개 과정에서 개인의 상승과 몰락의 경로를 추적해본다.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한 개인으로 살아가면서 어떻게 자신의 존재 의미를 획득했는지 2장에서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주의가 봉착해 있는 딜레마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어떤 것과도 비교될 수 없는 개인의 존재가 대체 가능한 일개의 소모품으로 전락해버리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시도한다. 4장에서는 시장자본주의와 최첨단 기술의 동맹이 개별적 존재에 관한 모든 것을 앞질러 가는 시대에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물음을 던지고, 그 존재의 빈틈을 채워줄 ‘개인주의 사용법’을 제안한다.
소크라테스의 사례가 말해주듯이, 전통 사회에서 개인으로서 산다는 것은 아주 힘겨운 일이었다. 소크라테스의 동시대인들에게 폴리스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것, 즉 시민으로서 행동하는 것은 바람직했지만, 개인으로서 존재하는 것은 공동체의 멸시와 배척, 심지어 징벌을 가져오는 사유가 됐다. 영어의 ‘바보idiot’라는 단어가 개인을 뜻하는 그리스어 ‘이디오테스idi?t?s/?δι?τη?’에서 유래하는 것을 봐도 알 수 있듯, 공동체를 벗어난 외톨이는 죽기로 작정한 바보와 같았다. 아테네 최초의 개인idi?t?s으로 살고자 했던 소크라테스는 필연적으로 바보·멍청이가 될 수밖에 없었다.
과학은 ‘인간적인 과정’이며 과학의 가치는 ‘인간 가치’와 분리되지 않는다. 과학은 발견의 결과보다도 추구하는 과정, 만들어진 개념보다도 사고하는 과정을 더 존중한다. 과학자들의 공동체에서 과학자는 그가 정립한 이론보다는 진리를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더 깊은 존엄을 획득하게 되고, 이 과정 속에 과학정신이 자리 잡는다. 인간이 자유, 평등, 정의, 존엄을 요구하게 된 것은 “과학정신이 인간 사회에 널리 퍼졌기 때문”이라고 브로노우스키는 역설한다. 이처럼 인간 존엄성에 대한 감각을 키우고 인간적인 세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그 중심에 선 것이 ‘과학정신’이고, 그 정신이 발현되는 장소가 ‘과학자들의 공동체’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