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몸이 말을 할 수 있다면

우리 몸이 말을 할 수 있다면

(의학 전문 저널리스트의 유쾌하고 흥미로운 인간 탐구 보고서)

제임스 햄블린 (지은이), 허윤정 (옮긴이)
추수밭(청림출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우리 몸이 말을 할 수 있다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몸이 말을 할 수 있다면 (의학 전문 저널리스트의 유쾌하고 흥미로운 인간 탐구 보고서)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55401972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저자 특유의 유머러스하면서도 담대하고 날카로운 필치로 몸에 관한 101가지 진실을 이야기한다. 단순히 신체 구조와 기능을 풀이하는 책은 많지만, 왜 우리가 우리 몸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지를 다룬 책은 없을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눈 안에서 잃어버린 콘택트렌즈가 뇌 속으로 들어갈 수도 있나요? ● 정상이란 무엇인가요? ● 건강이란 무엇인가요?

1장. 겉모습: 신체 표면
제가 아름다운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보조개는 왜 생기나요? ● 얼굴에 보조개를 만들 수 있을까요? ● 문신은 왜 시간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나요? ● 문신을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까요? ● 껌을 씹어서 턱선을 더 뚜렷하게 만들 수 있을까요? ● 턱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 어떤 사람은 눈이 왜 파랄까요? ● 비중격 만곡증이란 무엇인가요? ● 몸털과 속눈썹은 계속 자라지 않는데 머리카락은 왜 계속 자랄까요? ● 속눈썹을 아예 없앨 수 있을까요? ● 곱슬머리는 왜 생길까요? ● 털을 깎거나 자르면 털이 다시 더 빨리 자라나요? ● 제 키는 다 큰 건가요? 그게 아니라면 더 클 수 있을까요? ● 햇빛화상이란 무엇인가요? ● 여자들은 대부분 왜 목에 툭 튀어나온 울대뼈가 없을까요? ● 우리는 페로몬에 끌리는 존재 아닌가요?

2장. 인지: 감각 작용
가려움이란 무엇인가요? ● 가려운 곳을 긁으면 왜 기분이 좋을까요? ● 면역력을 ‘증진’할 수 있나요? ● 백신은 어떻게 작용하나요? ● 카페인이 수명을 늘려주나요? ● 휴대전화가 암을 유발하는지 아직도 알 수 없나요? ● 귀에서 왜 소리가 날까요? ● 당근을 충분히 먹으면 안경을 완전히 벗을 수 있을까요? ● 잠은 실제로 몇 시간 자야 할까요? ● 낮잠 잘 때는 침을 흘리는데 밤에 잘 때는 왜 안 흘릴까요? ● 자기 전에 휴대전화를 보면 정말 안 되나요? ● 멜라토닌으로 잠이 들 수 있을까요? ● 잠을 덜 잘 수 있는 훈련이 가능할까요? ● 가끔 태양을 쳐다보는 게 정말 그렇게 안 좋은가요? ● 제가 발작을 일으켰나요? ● 웃음은 어떻게 약이 되나요?

3장. 먹기: 생명 유지
배 속에서 왜 꾸르륵 소리가 날까요? ● 밤늦게 왜 나쁜 음식이 당길까요? ● 대장내시경, 이게 최선인가요? ● 종합비타민을 먹어도 괜찮을까요? ● 모든 사람에게서 왜 입냄새가 나죠? ● 탄수화물과 지방, 어느 것이 더 나쁜가요? ● 글루텐이란 무엇인가요? ● 달걀이 오트밀보다 건강에 좋을까요? ● 프로바이오틱스는 효과가 있나요? ● 고과당 옥수수 시럽은 ‘진짜’ 당보다 얼마나 더 나쁜가요? ● 혀에 피어싱한 고리가 빠져서 실수로 삼키면 어떻게 되나요? ● 유제품을 먹어야지, 안 그럼 나중에 뼈가 부러질까요? ● 우리는 고기를 먹도록 만들어졌나요?

4장. 마시기: 수분 보충
하루에 물을 여덟 잔씩 마셔야 하나요? ● 그럼 스포츠 음료를 마셔야 할까요? ● 왜 그렇게 많은 사람이 탈수증으로 사망하나요? ● 스마트워터는 어떨까요? ● 주스는 건강에 좋은가요? ● 왜 비타민워터가 있을까요? ● 탄산수를 마시면 일반 물을 마시는 것과 마찬가지인가요? ● 양치질은 탄산음료를 마신 후에 해야 할까요, 그 전에 해야 할까요? ● 치아 미백은 어떻게 작용하나요? ● 불소는 어떻게 작용하나요? ● 사람들은 왜 유당에 내성이 없나요? ● 술은 정말 뇌세포를 죽이나요? ● ‘내추럴’ 와인이란 무엇인가요?

5장. 관계: 성
남자는 왜 젖꼭지가 있을까요? ● 젖꼭지는 왜 성적 대상인가요? ● 음경은 왜 그런 모습인가요? ● 조루의 기준은 몇 분인가요? ● 남자는 왜 오르가슴을 여러 번 느끼지 못할까요? ● 평균 음핵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요? ● 지스팟은 존재하나요? ● 왜 여성용 비아그라는 없나요? ● 꽉 끼는 바지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 우리 아이가 자기 몸과 성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우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의사들은 성전환에 대해 훈련을 받나요? ● 구강성교로도 매독에 걸릴 수 있나요? ● 제 생식기의 세포들이 어떻게 다른 사람의 뇌를 만드나요?

6장. 지속: 죽음
제 심장은 뛰어야 한다는 걸 어떻게 알죠? ● 급성 심장사란 무엇인가요? ● 심장박동이 왜 엉망이 되나요? ● 심방세동이 그렇게 흔하다면 저에게도 있을까요? ● 감기 치료약은 왜 없나요? ● 코감기에 걸릴 때마다 항생제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어떻게 설득하면 좋을까요? ● 페니실린은 곰팡이로 만드나요? ● 시퍼런 콧물이 나오면 항생제를 먹어야 한다는 뜻일까요? ● 암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 만약 코를 잃게 되면 과학으로 코를 다시 만들 수 있을까요? ● 노화는 피할 수 없는 건가요? ● 인간의 수명은 충분한가요? ● 코에 난 여드름을 짜다가 정말 죽을 수도 있나요? ● 사후 경직이란 무엇인가요? ● 죽은 사람의 몸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 사후 개인의 신체 데이터에는 어떤 일이 생기나요?

에필로그
참고 문헌
추천 도서 목록

저자소개

제임스 햄블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디애나대학교 의학대학 졸업 후 UCLA 영상의학과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현재는 매거진 〈애틀랜틱The Atlantic〉 작가이자 수석 편집자로 활동하고 있다. 예일대학교 저널리즘 선임 연구원 출신으로 하버드 의학대학, 와튼스쿨, 콜롬비아 메일만 공중보건대학 등에서 강연했다. 그의 글과 강연 영상은 〈뉴욕타임스〉, 〈폴리티코〉, 〈NPR〉, 〈BBC〉, 〈가디언〉, 〈워싱턴포스트〉 등에 주요 기사로 다뤄졌다. ‘우리 몸이 말을 할 수 있다면If Our Bodies Could Talk’ 비디오 시리즈는 웨비Webby 최우수 인물상 수상작의 최종 후보에 올랐다. 2014년 타임지는 그를 ‘트위터에서 팔로우해야 할 인물’로, 〈그레이티스트Greatist〉는 ‘건강 분야 미디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했으며 〈버즈피드BuzzFeed〉는 ‘가장 유쾌한 의학박사’로 소개했다. 지은 책으로는 《우리 몸이 말을 할 수 있다면》 이 있다.
펼치기
허윤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다양한 기업에서 마케팅을 하다가 비영리 사회단체에서 일했다. 글밥 아카데미 수료 후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하며 번역을 매개로 시공을 넘어 사람들을 이어 주는 세상의 다리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나는 내 인생이 참 좋다』, 『LOST 로스트』, 『우리 몸이 말을 할 수 있다면』, 『별 헤는 밤을 위한 안내서』, 『나도 나를 어쩌지 못할 때』, 『어느 작은 도시의 유쾌한 촌극』,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유일하게 진짜 턱이 있는 인류다. 언어를 창조하거나 음식을 씹는 과정에서 턱이 진화한다면 남녀 간의 턱 크기와 모양은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턱은 실제로 남녀 간에 차이가 있다. 성적 이형(sexual dimorphism)이라는 진화 개념은 턱이 그렇게 진화한 게 짝짓기 선호도 때문임을 설명해준다. 그러니 오늘날의 얄팍한 겉모습 때문에 괴로워하지 말자. 우리는 수천 년 동안 그렇게 얄팍한 존재였다.
--- [1장. 턱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중에서


인지를 이해한다는 것은 가장 넓은 의미로 보면 자고로 생리학이 철학을 따라가는 격이다. 우리는 복잡한 감각계를 통해 가려움, 아픔, 갈망, 매력, 거부감을 느끼며 우리가 미처 의식하기도 전에 활성화되는 신경 경로를 거쳐 인지 반응을 한다. 그런데 세상을 그런 복잡한 감각계에서 얻은 인지들의 집합이라고 이해하면 모든 것을 전체적으로 바라보기가 쉬워진다. 내 생각엔 공감은 그런 방식으로 생겨나는 것 같다.
--- [2장. 인지: 감각 작용]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540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