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집 진짜 가격은 얼마일까?

우리집 진짜 가격은 얼마일까?

(베테랑 공인중개사가 공개하는 부동산 가격의 진실)

김기석 (지은이)
매일경제신문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6개 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집 진짜 가격은 얼마일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집 진짜 가격은 얼마일까? (베테랑 공인중개사가 공개하는 부동산 가격의 진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55422854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5-07-02

목차

PART 01 부동산 투자, 기본적인 이론 공부로 토대를 구축하라

Chapter 01 부동산 투자의 기초 지식 : 25
부동산 제도가 달라지면 집값에 변동이 생긴다 . 25
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혜안을 키우자 . 29
땅값은 입지, 용적률, 일조권에 의해 좌우된다 . 32
수요와 공급이 부동산 가격을 변화시킨다? . 37
부동산 시장은 예측 가능한가? . 39
미래 가치와 내재 가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라 . 43
집 지을 땅이 부족하다 . 44
기본 중의 기본은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이다 . 46
부동산의 각종 가격 . 51
취득과 관련된 비용 . 53
전 . 월세를 선호하면 수익 공유형 모기지를 . 56
지렛대 원리는 약일까, 독일까? . 58
부동산 거래(시장)는 합리적인가? . 60
부동산의 내재 가치 변화에 집중하라 . 61
정부는 왜 부동산 시장에 개입하는 정책을 내놓는가? . 64
일본의 주택 시장은 우리와 실상이 다르다 . 66
풍선 효과 - 강남을 누르면 강북이 . 68

Chapter 02 집값 산정에 대한 나만의 기준을 구축하라 : 70
사람들은 어떤 기준으로 집을 살까? . 70
전문가가 하는 집값 예측의 허울 . 71
집값의 3중주 . 74
주택 보급률과 집값의 상관관계 . 78
우리 집의 가격은 얼마일까? . 81
동일 단지 내 아파트의 가격 차이 . 83
서울의 접근성과 일본의 현재 . 85

Chapter 03 투자의 맥, 부동산 수익분석 : 90
부동산 가격 동향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90
부동산 시세 조사의 정확성 . 91
가격 산정의 기준이 있다 . 95
부동산 가격 계산하기 . 96
건물에 대한 가격 계산하기 . 101
오래된 건물의 가격은 얼마인가 . 106
땅값 측정이 어려운 이유 . 108
대지 지분은 투자 가치의 중요한 판단 요소 . 110
환산 대지 지분 . 116
신축주택에서 대지 지분이 차지하는 비중 . 118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는 수익성 . 120

Chapter 04 재건축 : 124
재건축이 신축보다 나은 이유 . 124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 126
재건축은 수익성분석이 기본이다 . 127
재건축이 유리한 이유는 무엇인가 . 129
층수는 높아야 한다? . 131

Chapter 05 부동산 투자의 또 다른 수단, 경매 : 133
경매 투자에도 나만의 원칙이 중요하다 . 133
이것이 경매 투자의 노하우다 . 134
경매도 수익성분석이 가장 중요하다 . 141

PART 02 부동산 투자,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전에서의 실력

Chapter 01 주택별 투자 방법을 달리 하라 : 147
아파트 구입 시 선입견을 버려라 . 147
빌라 구입은 왜 어려울까? . 149
빌라를 구입하는 목적에 맞게 투자하라 . 151
빌라를 살 때 알아 두어야 하는 것 . 153
반지하는 무조건 기피해야 하나? . 156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구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159
상가 구입은 입지까지 고려해야 한다 . 161

Chapter 02 부동산 실전 투자하기 : 164
노후 대비는 어떻게 할 것인가? . 164
내 집 마련, 돈이 얼마나 들까? . 168
내 집 마련을 위하여 해야 할 일 . 171
투자 금액대에 따라 찾는 물건이 다르다 . 173
자신의 처지에 맞게 투자하라 . 175
집을 잘 사려면? . 178
투자 유망 상품을 소개해본다 . 179
투자는 타이밍 싸움이다 . 181
2년 후 전세가를 예측하라 . 182
전 . 월세에 대한 향후 전망 . 186
전세 비중과 투자 가치의 관계 . 188
월세 전환율은 다가구주택이 가장 높다 . 190
월세 전환에 따른 수익률 . 192
향후 대세는 수익형 부동산이다 . 195
부동산 구매에 대한 팁, 부부 공동 명의 . 197
내 전세 보증금은 항상 안녕(안전)할까? . 198
최우선변제도 다 되는 것이 아니다 . 202
임대 가치가 부동산의 가치를 결정한다 . 206
일조량 . 207
역세권이냐, 한강 주변이냐 . 209
노후화 된 주택 무시마라 . 210
주택 구입 시의'황금률' . 212
비수기에 사라 . 213
부동산 시장의 암흑기에도 골라잡을 수 있다 . 214
집값의 분수령은 설과 추석이다 . 216
건물의 화장발 . 217

Chapter 03 부동산 투자, 심리(마인드 콘드롤)가 중요하다 : 219
관심을 가져야 기회를 잡을 수 있다 . 219
공인중개사 사무실에 들어가기 싫다고? . 221
내 집 마련은 의지다. 돈이 전부는 아니다 . 222
주택 구입에 대한 관점의 전환 . 226
사람들은"빨간 벽돌집은 안 봐요"한다 . 227
부동산 투자는 심리싸움이다 . 230
부동산은 투기다 . 232
부동산 가격은 간사하다 . 233
절제와 결단력 . 236
다주택자는 죄인인가? . 237
정부 정책에 맞서지 마라 . 239
방송이나 신문 기사는 우리를 헷갈리게 한다 . 241

저자소개

김기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고흥 출신으로, 1976년 여수상고를 다니면서 제일은 행에 입행해 1977년부터 부동산 관련 업무를 시작했다. 이후, 서울에서 늦깎이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2002년부터 마포구에서 공인중개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집 진짜가격은 얼마일까?》가 있다. E-mail : 1215442ks@hanmail.net
펼치기

책속에서

프롤로그 중에서

전세금이 오르는 이유는 딱 하나 물량 부족 때문이다. 전세는 시세의 70% 선에서 유지되는 게 안전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수도권 사방에서 아파트를 짓고는 있지만 난개발 형태의 건설이 대부분이고 서울이나 1기 신도시는 공급에 한계가 있다. 서울의 주택 공급은 이제 한계에 부딪혀 있고 현재 상황에서 재개발이나 재건축이 어려운 이유는 대지의 가격이 높아 분양을 성공리에 마치기에는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분양이 순조롭게 될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동시에 재건축, 재개발에 들어가 일시적 집 부족 현상을 겪을 수도 있고 과잉공급의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모든 문제에 대한 답은 시장 가격이 적정하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에 있다. 정부도 주택 문제만큼은 시장 친화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집은 현물이다. 현물은 시장 가격이 정가다. 시장 가격의 정확한 측정은 재료비와 노임이다. 집값은 대지의 가격에 건축비(노임 포함)를 더한 값이다. 더 이상 더해지는 것은 없다. 저평가된 주택은 주로 신축을 제외한 주택이다. 재조달원가에 거래가율을 곱하면 저평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내 집 마련, 저평가 주택을 찾는 데서부터 출발하자!
주택은 많은 돈이 투자된다.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면 부동산 투자에 신중을 기하고 그만큼 알아가거나 배우는 데 투자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누구나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부동산 가격을 산정할 수 있고 현재 살고 있는 집값이 얼마인지도 알아볼 수 있는 과정의 지침서가 되기를 바란다.
- 김 기 석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